Q & A
글 수 25,388
플러그 교체 시기가 되어 자가정비겸 교체 하려고 합니다.
센터에서 부가세 포함 82000 원 공임포함하면 10만원합니다.
절약차원이기도하지만 멀쩡한 K&N필터를 빼버리는 난감함도 있거니와 주중에 시간빼기와 센터 예약이 너무 밀려서..시간상 절약이 더 큽니다.
보쉬 제품이 들어가는데
FR6KPP332S 라는 품번을 쓰고..센터에서는 # 101905631B 라는 품번을 쓰는데 같은거입니다.^^
인터넷 쇼핑몰은 FGR7DQI 로 수입차들이 통용되고 있습니다.(4만원)
윗 것은 그냥 1극 백금이고..밑에 것은 4극 퓨전입니다.
4극퓨전이 반값이나 싸고 좋다는것이 사실로 보이는데.
플러그 자체가 수입차라고 다른게 있나요?
"수입차 전용" 이런 문구가 의심스럽습니다.^^;;
열가 6 에 16mm ...지만 열가 7을 장착시 별다른 문제는 없는건가요?
센터에서 부가세 포함 82000 원 공임포함하면 10만원합니다.
절약차원이기도하지만 멀쩡한 K&N필터를 빼버리는 난감함도 있거니와 주중에 시간빼기와 센터 예약이 너무 밀려서..시간상 절약이 더 큽니다.
보쉬 제품이 들어가는데
FR6KPP332S 라는 품번을 쓰고..센터에서는 # 101905631B 라는 품번을 쓰는데 같은거입니다.^^
인터넷 쇼핑몰은 FGR7DQI 로 수입차들이 통용되고 있습니다.(4만원)
윗 것은 그냥 1극 백금이고..밑에 것은 4극 퓨전입니다.
4극퓨전이 반값이나 싸고 좋다는것이 사실로 보이는데.
플러그 자체가 수입차라고 다른게 있나요?
"수입차 전용" 이런 문구가 의심스럽습니다.^^;;
열가 6 에 16mm ...지만 열가 7을 장착시 별다른 문제는 없는건가요?
2009.01.14 12:11:44 (*.14.66.163)

점화 플러그 관련 검색하면 아실 것이지만 보통 열가6에서 7로 수치가 높아지면 점화플러그가 보다 높은 엔진온도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제 경험상으로 보면 열가 1차이가 심각한 차이를 만들지는 않지만 민감한 분들이라면 느낄 정도는 되는거 같습니다.
결과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다른 조건이 같은 경우(제 차가 GTI는 아닙니다만) 열가 7로 교환시 이전에 비해서 저회전 토크가 다소감소 (정도가 심한 경우엔 점화불량으로 실화가 생기기도 하지만 순정이라면 이정도는 아닐 겁니다) 고회전에서 보다 원활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와인딩이나 고속주행을 자주 하시는 경우 한 단계 높은 플러그 써도 괜찮습니다만 시내 주행이 많은 상황에서는 굳이 쓸 이유가 없을거 같네요.
결과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다른 조건이 같은 경우(제 차가 GTI는 아닙니다만) 열가 7로 교환시 이전에 비해서 저회전 토크가 다소감소 (정도가 심한 경우엔 점화불량으로 실화가 생기기도 하지만 순정이라면 이정도는 아닐 겁니다) 고회전에서 보다 원활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와인딩이나 고속주행을 자주 하시는 경우 한 단계 높은 플러그 써도 괜찮습니다만 시내 주행이 많은 상황에서는 굳이 쓸 이유가 없을거 같네요.
2009.01.14 12:13:08 (*.131.231.173)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하수민님 잘 지내시죠? 플러그 정도는 자가정비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순익님 말씀처럼 간극은 지켜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간혹 GM 차종들 보면 길이가 독특한 것들이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수입차라고 해도 국제표준 규격에 따르므로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열가는 +1 정도는 무방합니다. 오히려 터보차의 특성상
더 유리할 수도 있지만 시내주행만 하는 경우라면 카본이 퇴적될 소지가
더 많습니다만 우려하실 정도는 아닙니다.
냉형의 열가를 사용할때는 엔진에서의 인히비터 역할을 하는 플러그의
존재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 조여주실때 규정토크만 지켜주시고
삽입시 플러그 전극이 휘거나 하지 않도록만 하시면 문제 없을듯 합니다.
성공 하시기 바랍니다.
하수민님 잘 지내시죠? 플러그 정도는 자가정비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순익님 말씀처럼 간극은 지켜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간혹 GM 차종들 보면 길이가 독특한 것들이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수입차라고 해도 국제표준 규격에 따르므로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열가는 +1 정도는 무방합니다. 오히려 터보차의 특성상
더 유리할 수도 있지만 시내주행만 하는 경우라면 카본이 퇴적될 소지가
더 많습니다만 우려하실 정도는 아닙니다.
냉형의 열가를 사용할때는 엔진에서의 인히비터 역할을 하는 플러그의
존재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 조여주실때 규정토크만 지켜주시고
삽입시 플러그 전극이 휘거나 하지 않도록만 하시면 문제 없을듯 합니다.
성공 하시기 바랍니다.
2009.01.14 13:15:08 (*.78.62.2)
헤드가 알미늄인 차들은 살짝 더 조였다가 난리나는 수가 있습니다............... 주의하시길.........
품번은 잘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품번은 열가, 간극 등 여러 정보들이 들어가 있는지라
품번은 잘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품번은 열가, 간극 등 여러 정보들이 들어가 있는지라
2009.01.14 13:45:41 (*.134.245.245)

직분사엔진은 예민해서 a/s기간이 남아있다면 그냥 센터에서 하시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데요..행여 있을 트러블에 핑계거리를 제공해줄 소지도 있고, 차후 일정기간 보장도 되고, 전 그냥 직영센터를 권하고 싶네요..
2009.01.14 22:55:00 (*.22.116.168)
답변감사드립니다.
제가 매일 굴리는 차면 그나마 나은데...얼만 남지않은 워런티 기간 생각하랴. 쓸데없는 생각만 많습니다.
뜸 했던 E39 스테빌 강화형 브라켓을 어떤식으로 만들까도 고민중이고..^^
다시금 답변감사드립니다.^^
서울은 많이 춥죠? 안전운전하세요.^^
제가 매일 굴리는 차면 그나마 나은데...얼만 남지않은 워런티 기간 생각하랴. 쓸데없는 생각만 많습니다.
뜸 했던 E39 스테빌 강화형 브라켓을 어떤식으로 만들까도 고민중이고..^^
다시금 답변감사드립니다.^^
서울은 많이 춥죠? 안전운전하세요.^^
2009.01.15 10:49:33 (*.67.101.82)

제가 토크렌치를 빌려드릴 수 있는데 오늘 비행기로 떠나네요 ^^ 혹시 DIY를 2월 6일 이후로 하신다면 가능합니다 ^^;;;
FR6KPP332S는 0.7mm로 검색이 되는데 다시 한 번 확인하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되네용.
열가문제는 잘 모르므로 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