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차에 넥서스 7 매립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xda 쪽에서는 몇천 명 단위로 많이들 하는거라 검증된 거고 딱히 문제 없는 구성입니다 (12v-5v dc adapter, otg charging 가능한 커널, otg-y cable, usb dac, 기타 등등)
이론적으로는 wakelock을 강제로 다 끄게되고 시동 끄면 firm sleep에 들어가기 때문에 12시간 방치시 1-2% 정도 배터리 소모가 있고 fast charge가 가능해서 10분 운전에 1-2% 차오르기 때문에 주행을 꾸준히 해주면 따로 꺼내서 충전할 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가끔 뭔가 꼬여서 전력을 더 먹을 때도 있고 일주일 내내 운전을 안(못)하거나 하루에 10분 이내로 운전하는 일도 많이 생겨서 가아끔 꺼내서 충전을 할 일이 생기곤 합니다. 베젤 뜯는 것이 어렵지는 않은데 차 안에서 직접 해결 할 수 있으면 좋겠어서 뭔가 장치를 추가했으면 하네요.
현재 구성은 acc 전원에 dc-dc adapter가 물려 있어서 키가 acc 포지션으로 들어가면 전원이 인가되어 타블렛이 sleep에서 벗어납니다. key off 가 되면 전원 공급이 끊기니 타블렛이 카운트다운후 다시 deep sleep으로 들어가구요. 여기에 추가하려는 것은 물리적인 on/off switch를 하나 달아서 시동 끄기 전에 타블렛 배터리가 많이 떨어졌다 생각되면 차량 배터리 (항시 12v 전원 선)에 연결해서 일정 시간 충전 하고 자동으로 꺼지게 하는 것입니다. 스위치 존재 유무를 까먹을 수 있으니 한번 꺼지면 스위치를 리셋해주기 전까지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요.
자동으로 꺼지고 리셋하는 것은 ebay에서 $5 정도에 구할 수 있는 타이머 릴레이로 해결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구매완료, 배송중. 염려가 되는 부분은 acc와 constant 12v가 이어지거나 하면 acc 쪽으로 역류해서 어딘가의 퓨즈가 끊기(면 다행)거나 배선이 과열되거나 할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질문은:
1) 역시나 ebay에서 $12 정도에 dc transfer relay를 구할 수 있습니다. 메인 전원과 보조 전원을 연결하고 메인 유실되면 보조 전원에 연결하고, 메인 전원이 복구되면 보조 전원과의 연결을 끊는 구성입니다. 저는 전원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기에 이걸로 잘 작동할 것 같습니다만... 이게 굳이 필요할까요? 그냥 acc랑 constant 12v 를 병렬로 dc to dc 입력에 연결하고 acc 입력단 쪽에 rectifying diode 정도 넣어주면 해결이 되는 문제가 아닐까요? 잘 모르겠어서 여쭙습니다. transfer relay가 아닌 일반적인 relay로도 된다는 것 같습니다만 어떤 식으로 구성을 해야 할까요?
2) diode만으로 해결이 된다면 어떤 규격 (순방향 전압, 역방향 전압, 허용 전류 등?) 정도면 적당할까요? diode가 있을 경우 fuse도 추가를 하는게 나을까요?
3) acc나 constant 12v나 제네레이터가 돌고 있는 상황에서는 끽해야 1-2 볼트 차이나지 않을까요? 이게 bridge 될 경우 상기한 역류로 인한 퓨즈 용량 초과 외에 생길만한 다른 문제가 있을까요?
4) otg-y 전력 입력단에 선을 하나 내서 usb 배터리팩 연결로도 해보았는데 당연하게도(?) 잘 됩니다만 매번 이걸 충전해둬야 한다는게 좀 귀찮네요. 스위치/다이오드/릴레이를 다는 것 외에 더 신박한 방법이 있으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ebay에서 이런 간단한 것들을 사면 국내에서 못구하거나 구해도 4-5배 폭리 취해 파는 것에 비해 무료 운송으로 받아 볼 수 있어서 좋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시간이 좀 걸리다보니 가능하면 집근처 공구상가 전자상점에서 살 수 있는 간단한 재료들이 선호되네요 ㅎㅎ
하지만 릴레이 자체가 무선이라 전력도 좀 먹을 것 같고 자주가 아니고 어쩌다 한번 쓰기에는 비용도 그렇고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 같아요. 그게 더 엘레강트하고 만드는 보람?도 있겠지만 그래서 포기 했습니다 ㅠㅠ
그냥 샘숭이나 lg 타블렛이 아니고 슬림롬이나 리니지os 기반에 전원관리에 특화된 것들이라 정말 오래가거든요. 문제 없으면 대기 2주 너끈합니다. 가끔 문제 생길 때가 있긴 하지만요. 그럴때를 대비해서 해놓으려는 겁니다 ㅎㅎ 제 생각에 2시간 정도 충전하면 완충 될거 같고 그렇다고 그냥 그 상태로 한달두면 차 배터리 방전될거 같아서... (인터넷에서 찾아본 usb 충전기 소모량으로 역산...)

실외 주차라면 태양광 충전도 생각해볼만 할텐데요....
타이머스위치 역시 깜빡 잊고 작동을 안시키면 1주일 후 차량에 탑승했을때 넥서스7을 꺼내서 충전해야 하는건 동일합니다. 아예 신경 끌 수 있게 만들지 않는 이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건 마찬가지 같아요.
acc와 상시를 다이오드만 이용해 묶는건 좋지 않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차라리 그냥 상시에만 연결하시고(블박처럼) 저전압 차단장치를 다는게 나을수도 있구요.
시동off상태에서 배터리 암전류를 넥7충전/비충전 비교해서 측정해보면 대충이라도 차량배터리 소모량에 대해
알 수 있으니 관리가 될거 같습니다.
이에 더해서 저전압 자동 시동 경보기가 있다면 금상첨화일듯 하네요.
블박/다용도 보조배터리 때문에 배터리 공부하고 간단한 회로 공부해서 원하는 전압에 차단하는 회로를 만들어본적이 있었는데 활용도가 있을거 같습니다만 그 회로에 대해선 기억이 나지 않네요 ㅠㅠ
그런데 베터리 방전 후 넥7을 꺼내야 하는 이유는 전원을 켜야하기 때문인가요? 부팅에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넥7 전원버튼을 병렬로 하나 빼서 시동후 전원을 켜주는것도 방법일듯 합니다.
기본적인 동작 모드는 전원 꺼졌을 때는 deep sleep으로 들어가는 겁니다. 커널에서 자동으로 되도록 되어있고 셧다운 (실제로는 deep sleep이지만) power on animation도 각각 지정되어 있습니다. 별건 아니지만 oe 느낌이 나도록 ㅎㅎ 저전압 방지 장치도 좋은데 그러면 음악을 자동으로 멈추고 화면을 자동으로 끄는 기능 (발열이나 lcd 수명, 쓸데없는 신경 끌지 않기 등 용도로 필요한 기능이라 생각합니다)이 작동하지 않게 되지요. 그래서 물리 스위치는 '디버그'모드로 어쩌다 가끔 쓰고자 하는 겁니다. 사실 빈도를 생각하면 그냥 시가잭 쪽에 보조배터리 하나 충전해 다니다가 그거 필요할때 꽃아주는걸로도 되겠지만 어느 정도 공작의 재미나 성취감 면도 들어가 있습니 다 :)
주차는 주로 지하 또는 가정집 차고에 합니다 ㅠㅠ

저두 몇 년째 티맵 전용으로 폰을 거치하고 다니고 있는데 deep sleep 커널이라던가 그런건 필요가 없었습니다.
물론 매일 운행하는 환경이라 그렇기도 하지만 간간히 일주일 동안 세워둬두 방전되지 않더라구요.
그냥 루팅롬에 태스커와 루트플러긴으로 충분했습니다.
하지만 김태욱님 증상(?)처럼 가끔 하루만에도 방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매립해놓은건 아니라서 그냥 시동 걸고 충전될때 폰 키면 됩니다.
저전압 감지는 최후의 보루 정도로 생각하시고
따로 시동이 꺼진걸 감지하는건 acc에 블투동글을 하나 물리고 태스커로 이 동글의 연결을 트리거로 쓰시면 될 듯 합니다. 동글과의 연결이 끊어지면 말씀하신 음악을 자동으로 멈추고 화면을 자동으로 꺼지게 할 수 있겠지요.
완충되고 deep sleep에 빠져있는 3.7v 4Ah짜리 배터리를 12v 60ah짜리 배터리가 5v로 충전을 2주 동안 계속 해준다고 해서 블박방전과 같은 배터리 방전은 일어나지 않을거 같습니다만...
deep sleep 커널을 사용해보지 않아서 모르겠는데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deep sleep모드로는 진입을 못하나보죠?
궁극적으로는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 해서 충전을 시켜줬다 때줬다하는 매니지먼트 회로가 있으면 딱인거 같네요.
타이머 스위치라던가 acc와 상시를 물리기 위한 릴레이.. 등등은 좋은 조합은 아닌거 같습니다.
특히 acc와 상시를 다이오드로 역전류만 차단하는 부분은 만일을 위해서라도 피하셔야 할듯하구요~
음.. 1번에 대한 답변으로 메인전원=acc, 보조전원=상시로 봤을때, 5핀 릴레이
85, 86은 acc,접지 / 87은 acc입력 / 87a는 상시입력 / 30은 폰충전 아답터 전원선
으로 연결 하시면 acc가 꺼졌을때 상시전원을 연결시키고 acc가 켜지면 acc를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아 본문과는 별도로 저도 최근에 여러가지로 궁리하다가 거치 내비는 도저히 못쓰겠어서 안쓰던 G2에 lineage os 얹은 걸로 태스커로 티맵 자동 구동하도록 해서 써보고 있습니다. 공짜라서 태스커 대신 llama 쓰지만 그게 그거겠지요. 저는 헬로 모바일 써서 무료 데함 유심이 없습니다 ㅠㅠ 지금은 그냥 써먹을만한가 테스트용으로 bt 테더링으로만 굴려보고 있습니다.
시동꺼질 때 (수동 초보라 요즘도 종종 ^^)와 시동 켤 때 acc 꺼졌다 켜졌다 하는 것 대응으로 3초간 조건 다시 체크하는딜레이 두고
- 전원 연결되고 비행기 모드 중이면 (3초 후) 화면 켜고 화면에 "내비 가동 준비 중" 메시지 토스트, 비행기 모드 해제, 모바일 데이터 연결 (현재는 필요 없지만 일단 넣어놓음), 블루투스 기능, GPS 기능 켬, 티맵 프로세스 실행 제한 해제
- 비행기 모드 해제되면 (3초 후) 티맵 실행
- 전원 차단되면 (3초 후) 티맵 실행 제한 적용, 블루투스 끔, GPS끔, 와이파이 끔, 비행기 모드 진입
- 비행기 모드 진입되고 전원 없으면 화면 끔
기억하기에 아마 이 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블루투스는 켰을 때 바로 지정된 기기 (메인 폰)에 테더링 연결 하도록 해놓았고 카드보드지로 직사광선 막이용 패널도 만들었습니다. 사용 중에는 충전도 잘 되고 좋은데 생각 보다 방전이 빠르더군요. 당연히 군더더기 앱은 하나도 없고 안쓸 만한 것은 모조리 앱 설정에서 사용 불가로 해놓았습니다. 웨이크락 죽이는 기능이 없는 os 이고 xposed도 아직 누가 대응 버젼이 없다 보니 웨이크락 죽이기가 어렵네요. 그리고 가끔 연결 시에 한 2-30초간 티맵이 실행은 제대로 되는데 현재 위치를 못잡아서 길안내가 안됩니다 (GPS가 꺼진 걸로 인식하면 아예 실행이 안될텐데 요상하네요) <- 이런 현상은 어쩌다가 생기더군요. 끝으로 BT 연결이 지멋대로 끊길 때가 있는데 사용량이 적으니 자기가 알아서 끊어버리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끊겨도 재탐색이나 실시간 업데이트 못 받는거 빼고는 안내는 잘 되지만요. 대부분의 문제는 데함 유심 쓰면 해결될 거 같지만 생각 보다 방전이 있는게 의아 스럽습니다. 직사광선 커버는 아직 장착 안했는데 직사광선 발열 문제일까요? 집에서 그냥 설치만 해두고 sleep 모드로 두었을때는 예상대로 전력 소모가 거의 없었습니다...만 잘 아시다시피 전력 관리 문제가 판단이 그렇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특정 상황에서만 비정상으로 작동해서 전력 소모가 큰 사용자앱이나 플레이스토어 위치 추적 관련 프로세스 같은 것들이 항상 같은 패턴으로 작동하지는 않아서...
넥서스 7은 차량 매립을 전제로 한 롬이 여럿 나오고 있는데, 충전하면서 otg 기기 사용 (호스트 모드, 보통 음질과 매립 용이성 위해 외장 usb 사용하므로 필수 입니다), 상기한 전원 관리 (웨이크락/RTC 알람 억제, 쾌속 충전 등), 후방 카메라용 이지캡 드라이버 내장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슬림 롬이라던가 가벼운 것 기반이기에 구기기이지만 매우 빠르고 부드럽습니다. 저는 1세대 2세대 한대씩 운용하고 있는데 1세대는 lineage OS (nougat 기반), 2세대는 timur rom (MM기반, https://timur.mobi/timurs-kernel-n7-2013/ ) 쓰고 있습니다. 사람마다 사용목적은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는 otg 호스트 모드 충전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들 합니다. 용도가 크게 헤드유닛 대체, 후방카메라, 라디오, 토크 앱 정도인데 전부 otg 디바이스 연결을 전제로 하기에... 아무튼 내장된 powereventmanager 모듈의 트리거가 전원이 공급 되느냐 끊겼느냐 밖에 없습니다. 1세대 기기는 PEM과 라마 병행 사용해보니 서로 충돌이 좀 나는 것 같더군요.
둘다 전원관리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동훈님 말씀대로 가끔 방전될때도 있습니다. 1세대는 제가 매일 모는 차라 직접 대응이 가능한데 2세대는 저는 가끔 정비 정도만 하는 차라서 잘 모르는 사람도 (아니면 제가 가끔 정비 할 때) 조치가 쉽도록 하고 싶네요 ㅎㅎ
전압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전압 관리 앱 등으로 불가능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그런 앱 자체가 웨이크락으로써 작용하니 평소에는 좋은 영향이 아닐 듯 합니다.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서.. acc와 상시가 브릿지 될 경우에 정확히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제네레이터가 돌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상시쪽에서만 돌아야할 회로가 acc에 연결되어 배선이 과열되거나 퓨즈가 나가거나 하는 정도 아닐까요? 저도 염려가 되어 일단 선뜻 시도는 해볼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만 우선 문제에 대한 이해를 하고 싶습니다 ㅎㅎ

acc와 상시가 브릿지 되었을때 만에 하나..정말 만에 하나입니다만
시동을 꺼놨는데 상시가 acc로 전원을 공급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퓨즈가 끊어지는 정도뿐이라면 시도해볼 수 있지만 언제 어떻게 고장날지 모르기에 더욱이 불안정한 브릿지는 피해야 한다고 봅니다. 릴레이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구요.
기본적으로 두 소스는 분리되어야 합니다.
1) 일신상의 사정으로 차를 보통 제가 쓰는게 아니어서 시스템을 잘 모르는 사람도 잘 쓸 수 있게 하고 싶습니다. 스위치가 타이머 릴레이로 작동하게 되면 제가 가끔 차 봐줄 때 눌러 놓고 가면 되고 나중에 잊고 안 꺼도 상관 없을거같아서요.
2) 베젤을 뜯기 편하게 해놓긴 했는데 처음에 이래저래 기능을 추가하느라 열고 닫는게 너무 잦아지다보니 나중에 다시 덮을 때 약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별건 아니지만 살짝 귀찮네요 ㅠㅠ
대신 수동소자만 가지고 회로짜려면 머리 좀 굴려야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