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운전하지는 그래도 18년정도 되었고 첫차가 프라이드 수동이었습니다.
그후에는 쭉 오토만 하고 있다가 이번에 수동차량이 생겨 운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오랬만이고 첫차를 운전할때는 그냥 운전만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중고
지만 수동차량을 운전하는데 약간의 조언을 들을까 해서 글을 씁니다..
물론 테드에서 검색도 했습니다....(그래도 잘 몰라서...ㅠㅠ)
질문..
1. 수동차량 클러치는 어떻게 하면 망가지나요? (태워먹는다?)
(반클러치를 많이 쓰면 안좋은가요?)
2. 변속후에 악셀을 밟으며 클러치를 빨리떼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천천히 떼는것이 좋은지?
(제가 아직 미숙하여 차가 쿨럭댑니다. 가끔씩 특히 고단에서 저단으로 내려올때 엔진부레이크 걸리면서 쿨럭대지요 이때 저단으로 내릴때 악셀링을 해주면 서 변속하면 덜한것 같기도 하구요 숙달이 않되어 잘 안됨)
3. 속도를 줄일때 특히 시내에서 5단으로 가다가 신호등에 정지시 기어를 미리빼나요?(바로 중립으로 한상태에서 브레이크만으로 속도를 줄이나요?)
아니면 5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며 속도를 줄이면서 거의 20km정도에서 기어를 중립?
아니면 5-4-3-2-1등으로 내리면서 속도 줄이며 중립으로 가나요?
참 질문도 이상하지만 여러분의 의견을 좀 듣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그후에는 쭉 오토만 하고 있다가 이번에 수동차량이 생겨 운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오랬만이고 첫차를 운전할때는 그냥 운전만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중고
지만 수동차량을 운전하는데 약간의 조언을 들을까 해서 글을 씁니다..
물론 테드에서 검색도 했습니다....(그래도 잘 몰라서...ㅠㅠ)
질문..
1. 수동차량 클러치는 어떻게 하면 망가지나요? (태워먹는다?)
(반클러치를 많이 쓰면 안좋은가요?)
2. 변속후에 악셀을 밟으며 클러치를 빨리떼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천천히 떼는것이 좋은지?
(제가 아직 미숙하여 차가 쿨럭댑니다. 가끔씩 특히 고단에서 저단으로 내려올때 엔진부레이크 걸리면서 쿨럭대지요 이때 저단으로 내릴때 악셀링을 해주면 서 변속하면 덜한것 같기도 하구요 숙달이 않되어 잘 안됨)
3. 속도를 줄일때 특히 시내에서 5단으로 가다가 신호등에 정지시 기어를 미리빼나요?(바로 중립으로 한상태에서 브레이크만으로 속도를 줄이나요?)
아니면 5단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며 속도를 줄이면서 거의 20km정도에서 기어를 중립?
아니면 5-4-3-2-1등으로 내리면서 속도 줄이며 중립으로 가나요?
참 질문도 이상하지만 여러분의 의견을 좀 듣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2009.04.13 13:08:18 (*.239.28.97)

1. 반클러치 상태에서 rpm을 높은상태로 오랫동안 올리면 클러치디스크가 마모되는 정도가 큽니다. 심하면 흰연기가 나면서 타는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클러치가 망가지지는 않습니다. 반클러치는 되도록 적게 쓰는 편이 좋지만,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그다지 신경쓰지 않아도 될 정도 입니다. 익숙해지시면 반클러치를 점점 적게 쓰게 되실테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2. 고단에서 변속시보다 저단에서 변속시에는 아무래도 클러치 떼는 시간이 길어지게 마련이죠. 더블클러치나 원클러치를 사용하면 다운시프트시에 변속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되도록이면 정차하기 바로 직전에 기어를 빼는 것이 좋습니다. 기어를 너무 일찍 빼버리면 엔진브레이크의 도움없이 풋브레이크만으로 감속을 해야하기 때문에 안전상 안좋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저단으로 기어 변속을 해가면서 감속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상주행에서는 그냥 변속없이 감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고단에서 변속시보다 저단에서 변속시에는 아무래도 클러치 떼는 시간이 길어지게 마련이죠. 더블클러치나 원클러치를 사용하면 다운시프트시에 변속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되도록이면 정차하기 바로 직전에 기어를 빼는 것이 좋습니다. 기어를 너무 일찍 빼버리면 엔진브레이크의 도움없이 풋브레이크만으로 감속을 해야하기 때문에 안전상 안좋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저단으로 기어 변속을 해가면서 감속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상주행에서는 그냥 변속없이 감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09.04.13 13:50:34 (*.251.5.1)

1. 클러치가 완전히 떨어지거나 완전히 붙지 않은 상황에서 load가 걸리면 - 특히 엔진 회전수를 높이면 - 마모가 심해지겠죠. 대체로 액셀on에서 붙는 것이 액셀off에서 붙는 것보다 마모가 심합니다. (예: 파위시프팅, 혹은 박자를 잘못 맞춰 액셀을 밟으면서 반클러치)
2. 액셀을 밟으며...라기보다, 업시프트든 다운시프트든 RPM보정이 정확한 상태에서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겠고 그러면 천천히 붙이든 빨리 붙이든 기계적 무리는 별 차이 없을 것입니다. RPM이 상승하면서 천천히 붙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3. 별 차이 없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제동거리가 줄어든다기보다는 관성의 도움으로 차의 거동을 컨트롤하기가 용이합니다. 감속하다가 빠른 재가속을 염두에 두고 운전하신다면(예: 빨간불이어서 속도를 줄이고 있는데 바로 신호를 받게 되는 경우 등) 다운시프팅하면서 감속하는게 유리하겠지만 일상운전에서 굳이 그럴 필요는 있나 하는 생각입니다. 다만 적극적 방어운전의 경우 가속하면서 회피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예: 옆차가 갑자기 옆구리로 뛰어든다) 적절한 토크밴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5단으로 꽂고 있는데 시속 20킬로에서 액셀 밟아봤자 차는 그대로죠. 0.1초만에 번개같이 2단으로 변속할 수 있으면 패스.
2. 액셀을 밟으며...라기보다, 업시프트든 다운시프트든 RPM보정이 정확한 상태에서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겠고 그러면 천천히 붙이든 빨리 붙이든 기계적 무리는 별 차이 없을 것입니다. RPM이 상승하면서 천천히 붙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3. 별 차이 없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쓰면 제동거리가 줄어든다기보다는 관성의 도움으로 차의 거동을 컨트롤하기가 용이합니다. 감속하다가 빠른 재가속을 염두에 두고 운전하신다면(예: 빨간불이어서 속도를 줄이고 있는데 바로 신호를 받게 되는 경우 등) 다운시프팅하면서 감속하는게 유리하겠지만 일상운전에서 굳이 그럴 필요는 있나 하는 생각입니다. 다만 적극적 방어운전의 경우 가속하면서 회피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예: 옆차가 갑자기 옆구리로 뛰어든다) 적절한 토크밴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5단으로 꽂고 있는데 시속 20킬로에서 액셀 밟아봤자 차는 그대로죠. 0.1초만에 번개같이 2단으로 변속할 수 있으면 패스.
2009.04.13 15:08:08 (*.229.100.53)

3. 브레이킹 시 정차직전까지 클러치온(연결상태) 시키는게 나은 이유는.. 브레이크 부담을 덜어주는 부분과 함께 엔진과 구동계 연결이 되어있어 점진적인 감속이 용이하고, 타이어록을 억제할 수 있어 좋습니다.
2009.04.13 18:57:03 (*.41.24.84)

1,2번은 이미 좋은 답변이 많구요,
3번은.. 5-4-3-2-1로 내려보시면... 브레이크 밟으면서 힐앤토로 악셀쳐주고 변속하는게 한번만 미스해서 rpm이 높게 올라가면 오히려 차가 쑤욱~나간답니다. ㅎㅎ;
게다가.. 각 변속때마다 클러치 밟을때 구동계가 떨어져서 엔진브레이크가 안걸려서... 실제로 제동거리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전 한참 앞에 신호에 막혀서 속도 줄여서 정차해야할때는 힐앤토 연습하는겸 2~3단 정도까지는 내립니다. ^^;
3번은.. 5-4-3-2-1로 내려보시면... 브레이크 밟으면서 힐앤토로 악셀쳐주고 변속하는게 한번만 미스해서 rpm이 높게 올라가면 오히려 차가 쑤욱~나간답니다. ㅎㅎ;
게다가.. 각 변속때마다 클러치 밟을때 구동계가 떨어져서 엔진브레이크가 안걸려서... 실제로 제동거리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전 한참 앞에 신호에 막혀서 속도 줄여서 정차해야할때는 힐앤토 연습하는겸 2~3단 정도까지는 내립니다. ^^;
오토에서도 오르막에 서서 브레이크안쓰고 악셀로만 차를 뒤로 밀리지 않게 서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명서에도 나와있지만 차에 나쁘다고 하죠. 수동차도 이처럼 클러치를 미끄러트리는게 태워먹는 길입니다.
2. 클러치는 기본적으로 밟을때는 빨리, 놓을때는 천천히 입니다.
급하게 놓을경우 충격이 오죠. 물론 익숙해지면 (기어가 들어가있는 단수와 엔진회전수 부분이 잘 맞아 떨어지게 변속할때) 확 놓아도 충격 없습니다. 말씀하신 방법이 수동운전에 익숙해지는 과정입니다.
3. 엔진브레이크를 쓰시는게 좋습니다. 기어빼고 브레이크 잡는것과 기어 넣은상태로 브레이크 밟는것을 한번 테스트 해보십시요. 차이가 납니다. 좀더 적극적으로 기어를 하나씩 대리면서 브레이킹을 해보면 제동거리는 더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