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제가 자주 가는 싸이트에서 퍼온 글입니다..
--------------------------------------------------------------
보통 전방에 커브길 나타나면
1번 ---- 커브진입이 보이면 브레이크살살 밞아가면서 커브길 반쯤 돌때까지 브레이크를 밝아가면서 운전
2번 ---- 커브진입이 보이면 브레이크 살살 밟아 감속시킨후 커브길 회전하면서 악섹레이터를 지긋이 눌러주면서 운전
자 여러분들은 운전습관은 ?
2번이 정답입니다
커브를 돌면서 악셀을 지긋이 밝으면 속도를 높히는겁니다 고로 커브길돌면서 브레이크밞는 습관을 줄입시다
----------------------------------------------------------------
전 지금껏 1번인줄 알고 그렇게 운전 했었는데.. (HD, NF, TG등등 생각해 보니 FF 뿐이네요..T.T)
물론 브레이크를 깊이 밟는다거나 하면 차가 뒤집어질수도 있으니 정도껏 밟아야겠죠..
2번이 정답이라길래 좀 의외라서요..
트랙에서라면 모를까..
어떻게 운전하는게 맞나요?

아주 흔한 이야기 중에 코너에서 Out-In-Out 라인 그리기도 있는데 실은 위치마다 in-in-in 이 나을 때가 있고 out-out-out이 나을 때도 있고... 모 그렇습니다. 선준님 말씀처럼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장땡이지요~
그나저나... 1번이 나을 때가 있고 2번이 나을 떄가 있습니다. 주행 상황에 따라 다르겠쥬
그립 이내에서는 어떻게 하든 상관없습니다. 차가 날라가고 뭐하고 전혀 없습니다. 윗분들처럼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됩니다. ㅋㅋ
재미있는건, 눈길같이 그립이 몹시 낮아진 상태에선 1번처럼 하면 뒤가 흐르는 느낌을 많이 받을수 있습니다..뭐 그것도 속도가 그만큼 낮다면 별 의미없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그립이내에서는 어떻게 하든 상관없군요..
저도 처음 본 내용인데 아무래도 테드가 자동차 전문 커뮤니티라 잘 아실꺼 같아 올려봤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그냥 시내길에서는 브레이킹도 할필요없죠, 뭐 ^^
그냥 엑셀 오프만하고 코너를 빠져나간다거나
미리 감속하여 부드럽게 그냥 빠져나가죠...
F1 드라이버나 일반운전자나 가장 좋은 운전습관은 부드~럽게
코너인지도 모르게 스무~스 하게 빠져나가는 것이 가장 좋은 코너탈출요령아닐까요
저는 한가지 원칙은 있습니다만,
"엔진이 코너를 눈치못채게 토크를 가장 서서히 올리고 가장 서서히 내린다. "입니당.
눈길, 우천시 모두 안전하게 코너를 빠져나가는 방법이더라구요 (경험상)

저는 비오던날 산길을 달릴때 직선에서 브레이킹을 끝내지 못하고 코너까지 브레이크 밟고 들어갔다가 뒤가 돌아서 사고난적이 있어요.
그 뒤로는 가능하면 코너 들어가고나서는 악셀오프로 엔진 브레이크 정도만 이용하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있어요.
그리고 FR차로 바꾼 이후에는 태백에서 힐앤토 잘못쳐서 RPM보상이 제대로 안돼서 후륜이 잠겨서 차가 돌아갈뻔한적이 있었고...
그 뒤로는 엔진브레이크가 후륜으로 잡힌다는 생각이 들어서 코너 전에 가능하면 브레이킹을 좀 더 하고 코너에서는 이븐스로틀 정도로 빠져나가긴 하는데......
아.. 인간은 학습의 동물인가;;;

맞아요 그때 그때 달라요더군요.
그래도 전 기본적으로 2번을 사용합니다.
하중이동과 더불어 그립과 악셀링의 벡터를 맞추는 것이 기본이겠죠
너무 싱거운 질문이라 ........
사실은 저도 잘 못합니다. 안전이 허용된 한도내에서 최대속도로 돕니다. 물론 보행자는 최우선!!!
정석은 이렇습니다.
1) 코너 진입전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 한도까지 감속하고
2) Cliping poing를 지나면서 전방시야가 clear 할때
3) 그 량의 최대토크를 유지하는 rpm대역을 사용하여
(물론 스틱은 힐엔토, 오토는 강제 유지)
4) 슬립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풀악셀로 달려간다.
위사항의 적정점은 차량마다 모두 다릅니다.

하하....운전에 정석이 어디있나요....상황에 따라서 그때그때 틀린게 맞는거 아닐까요?? 모로가도 서울만가면 그만.....어떤 방법으로 타던 빠르면 그만입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