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차종은 2001년식 2리터 터보 사브입니다. 터보차에 인터쿨러의 용량은 무조건 클 수록 좋은건가요? 인터쿨러의 역할이 터빈을 거쳐 데워진 공기를 냉각화 시켜서 엔진으로 다시 보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이때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최대한 낮출수록 좋은건지요? 아니면 적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오히려 해가 되는거인지요?
2010.10.02 13:06:56 (*.8.191.194)

경험상으론 낮을 수록 좋습니다. 문제가 생길 정도로 낮아질 일은 없는 듯 하더군요.
심지어 NOS의 경우는 눈꽃이 생길 정도로 냉각시켜서까지 공기를 밀어넣습니다..
단, 인터쿨러의 용량이 크면 리스폰스는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공기가 인터쿨러를 통과해서 들어가는 시간이 조금 느려진달까..
악셀 반응이 좀 둔해지는 느낌이 있어서, 저는 적은 용량으로 최대 효율 세팅을 찾게 되더군요.
2010.10.02 17:18:00 (*.102.233.12)

인터쿨러의 역활은 터빈에서 압축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일이 맞긴한데 그건 단순히 온도만 떨어트리는게 아니고 공기 온도가 낮으면 밀도가 높은 성질을 이용하는 겁니다.(유체역학을 배우신 분이면 아실 듯..)온도가 높으면 밀도가 낮고온도가 낮으면 밀도가 높은..제가 배우기로는 체적만 많아진 공기를 밀도까지 높이는 작업을 하는게 인터쿨러입니다.
낮은공기 = 높은 밀도 의 예는겨울철 전투기 이륙거리가 훨씬 짧고(동일 기지, 동일 기종, 동일 외장일 때..)민항기는 고고도 운항시 연비-_-;;가 좀 더 좋다는 사실입니다.(물론 고고도 운항은 제트기류에 의한 영향도 있구요.)
제트엔진은 공기를 바로 압축해서 사용하는 엔진이라 공기밀도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그래서 민항기의 경우도 엔진 인테이크쪽에 물을 분사하는 기종도 있습니다.
낮은공기 = 높은 밀도 의 예는겨울철 전투기 이륙거리가 훨씬 짧고(동일 기지, 동일 기종, 동일 외장일 때..)민항기는 고고도 운항시 연비-_-;;가 좀 더 좋다는 사실입니다.(물론 고고도 운항은 제트기류에 의한 영향도 있구요.)
제트엔진은 공기를 바로 압축해서 사용하는 엔진이라 공기밀도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그래서 민항기의 경우도 엔진 인테이크쪽에 물을 분사하는 기종도 있습니다.
2010.10.02 23:21:29 (*.141.33.138)

터보차징은 단순히 공기를 실린더 안에 송풍기처럼 보내는 것이 아닙니다. 말그대로 '차징' 입니다. 즉 공기를 압축하는 건데
압축해야 하는 부피가 크면 클수록(터보~인테이크~인터쿨러~인테이크~서지탱크 내부의 총부피) 압축압이 일정 수준까지 이르는 시점(부스팅 시점) 이 늦어지게 됩니다. 즉 터보 부스팅 시점이 늦어지면 아무래도 리스폰스에는 영향을 미치나 일단 부스팅 압력이 일정수준까지 이르게 되면 흐름양이 높은쪽이 더 많은 출력을 내게 됩니다. (배압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인테이크의 길이에 의한 관성과급 효과는 크게 관계 없습니다.
2010.10.05 00:40:25 (*.199.133.139)

질문해주신 내용에 필요하신 답을 하려면 원하시는(달아보려고 하시는 )인터쿨러의 사이즈 가로-세로-두께 탱크의형상 메이커명
정도를 말씀해주시면 답이 쉬워질것 같습니다.
차가우면 차가울수로 성능 향상에는 좋습니다만.. 어느수준이상 온도를 낮추기는 쉽지않습니다.
말씀하신차종은 장착위치등을 대대적으로 공사?를하지않는 이상 엄청큰 인터쿨러는 인스톨이 어려우므로
일상주행+스포츠주행이시라면
일반적인 사이즈에서의 장착가능한사이즈가운데..즉 선택하실수있는것중에 효율좋코 사이즈도 큰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직접하실 것이 아니시라면 당연히 튜너와 상의하시는것이 정석입니다.
인터쿨러의 변경은 비교적 커다란 하드웨어적 변화이므로 EMS의 보충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