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그날은 정말 뜨거운 밤이었습니다.

M5는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차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너무 차가운듯 보이지만 만지면 손을 데고 말정도로 뜨거운....

말이 많은 디자인은 한단계씩 진화해야할 것을 두단계를 한꺼번에 건너뛰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 E34나 E39가 훨씬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언젠가는 크리스뱅글의 시도가 올바랐는지 그렇지 않았는지 평가가 되리라 봅니다. 지금은 그냥 기다릴 뿐입니다.

최근 BMW의 실내장비는 User friendly라는 기본 개념을 완전히 무시한 컨셉입니다. 직관적이지 못하고, 구형 BMW오너들이 차에 대해 완전히 새로 배워야하는 부작용이 작지 않습니다. 자동차 전문가들에게도 요즘 BMW의 조작법을 익히는 것은 호기심보단 귀찮음이 더 큽니다.

8000rpm을 넘게 돌리는 무지막지한 유연성은 프라이드 격투황제 효도르가 마루운동을 하고 덤블링을하는 모습은 연상시킵니다.

SMG3는 E46 M3의 SMG2보다 다운시프트시 회전수 보정은 좋아졌지만 시가지 주행에서 거친면이 많아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아 보입니다.

V10 507마력을 뿜는 초고회전 엔진은 실내에서 스위치 조작으로 400마력과 507마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했는데, 400마력으로 달릴 때 연비가 혁신적으로 좋다는 데이터가 없다면 이러한 기능은 완전 오버라고 생각합니다. 507마력짜리 스포츠 엔진을 구지 적은 힘으로 달리게 할 이유가 작습니다.

스티어링 휠 우측 M버튼은 운전자가 프로그램해둔 상태로 전환됩니다. 시승차는 SMG 가장 빠른 변속모드, 507마력 사양 EDC 서스펜션 가장 하드한 세팅으로 동시에 전환됩니다. 만약에 이 기능이 없다면 도로에서 갑자기 배틀모드로 바뀔때 귀찮은 조작을 두세번 해야합니다.

E34와 E39 M5는 2세대와 3세대로서 존재가 분명했습니다.
E34는 우리나라에는 제가 소개하기전까지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차였고, E39 M5는 우리나라에 정식수입되었기 때문에 매니어라면 다 아는 차종입니다.
E60 M5에는 하이테크 장비로 운전매니어들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보여주려고 한 무리수가 보입니다.
BMW의 전자장비의 내구성을 비춰봤을 때 현재 M5에 장비된 모든 장치들을 모두 100%컨디션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워랜티가 끝난 후 엄청난 지출이 뒤따를 것입니다.
그만큼 BMW의 전자장비는 한번도 내구성적인 측면에서 저를 만족시킨 적이 없습니다.
시가지를 D모드로 운전하면서 느낀 점은 스포티한 차니까라는 한마디로 그냥 얼버무리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D모드가 변별력이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불규칙하게 거칠게 반응하는 모습에서 어떤 패턴을 찾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시승차만의 문제이거나 SMG3가 아직 숙성되지 않았다는 증거일 것입니다.
400마력으로 운행할 때는 큰 힘을 줄여놓은 것이기 때문에 400마력보다 출력이 낮게 느껴집니다.
즉 E39 M5 400마력짜리 보다 훨씬 펀치가 없게 느껴집니다.
때문에 이 모드로 10분간 운행해보고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았습니다.
고속화도로에 올려놓고 가속을 하면 저속에서 희매가리 없던 음색이 살아나면서 중후한 회전음색을 발휘합니다.
M3의 철판 떨리는 음색이 작게나마 살아있는데, 6기통 M3엔진보다 훨씬 럭셔리하고 기품이 있고, 무엇보다 회전수가 상승할 때 어마어마한 힘이 함께 실린다는 점이 너무 인상적입니다.
시프트 업이 계속적으로 되어나가는데도, 속도계 바늘의 상승속도는 전혀 떨어지지 않는것처럼 속도가 붙을수록 힘이 더 살아나는 착각속에 빠지게 합니다.
SMG3는 스포츠 드라이빙 모드에서 완벽한 싱크로나이징을 보여주지만 시프트 업시 출력이 완전 차단 후 한번에 붙을 때 발생하는 충격은 M3보다 늘어난 파워만큼 커졌습니다.
이 충격은 SMG의 싱글클러치 구조를 바꾸지 않는한 영원히 없앨 수 없는 부작용이며, 코너에서 밸런스를 깨는 요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시프트 업을 하는 타이밍에 가속패달을 살짝 놓았다 밟아 변속충격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프트 업 상황에서 가속패달을 완전히 놓을 필요없고, 100% 와이드 오픈 쓰로틀에서 30% 정도만 힘을 빼었다가 다시 밟아도 변속충격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대신 SMG의 가장 빠른 변속모드를 선택했다해도 가속패달을 놓았다 밟으면 변속시간은 약간 천천히 진행됩니다.
고속코너에서 가속을 해나갈 때 그냥 가속패달을 끝까지 밟고 변속을 하면서 발생하는 변속충격은 코너에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SMG를 재미있게 그리고 변속기에 무리를 덜 주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변속충격이 없게 변속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단 8200rpm기준으로
2단 110km/h
3단 160km/h
4단 210km/h
5단 250km/h
6단 270km/h(7500rpm)
7단 270km/h(6200rpm)
6단 270은 눈깜짝할 사이에 점령합니다.
힘자랑도 유분수지, 이렇게 쉽고 황당하게 저 영역을 돌파하는 차는 세상에 그리 많지 않으며 세단중에서는 서너손가락에 꼽을 정도입니다.
엔진의 파워가 나오는 과정이나 회전에 실린힘의 느낌이 일반 대배기량과 틀린 점은 대배기량으로 단순히 밀어붙이는 토크빨이 아니라 회전이 상승하면서 실리는 토크와 끈기이기 때문에 E55 AMG엔진의 상승 느낌보다는 고속에서 훨씬 드라마틱하게 느껴집니다.
중고속코너에서의 밸런스는 동급 최고인 것이 분명합니다.
그동안 제가 항상 테스트 하는 구간의 3개의 기록을 단숨에 깨버리는 위엄을 토해냈습니다.
첫번째 구간은 초고속고속화도로에 진입하는 램프에서 코너를 빡세게 돌아 탈출할 때의 속도인데, 300마력 때의 차량이 본선에 진입할 때 도달하는 속도가 170km/h정도 됩니다.
M5는 190km/h로 탈출합니다.
고속코너에서 원심력과 접지력을 이겨내는 힘이 워낙강하기 때문에 직선처럼 코너에서 속도를 높입니다.
코너를 빠져나와 터널 진입할 때 E39 M5가 220km/h을 약간 상회하는데, E60 M5는 터널 진입시 250km/h를 돌파합니다.
터널 빠져나올 때 270km/h 리미트에 걸린 상태로 나옵니다.
무섭게 빠르고, 너무나 정교한 세팅이었습니다.
고속에서 파워를 100%쏟어내면서 초고속 코너를 타이어가 작살나도록 달릴 수 있는 몇 안되는 차입니다.
이어지는 좌우측 코너에서 우측 코너를 230km/h로 안전하게 클리어할 수 있는 차는 별로 없습니다.
역시 230km/h로 맞춰놓고 코너의 중간을 지난 후 풀쓰로틀을 하면 400마력 언더의 차량은 워낙 강한 횡그립 저항 때문에 속도가 쉽게 붙지 않고 게다가 최대출력을 그속도에서 전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큽니다.
하지만 E60 M5는 여전히 최대각을 그리는 코너를 230km/h로 돌고 있는 상황에서 풀가속을 하며 스티어링 휠이 펴질 때 260km/h를 마크하며 빠져나오고 직선에 접어들자 또다시 리미터에 부딪칩니다.
초고속에서 횡력과 싸우는 상황에서 파워를 쏟아낼 때 스티어링의 조타각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경이로움 그 자체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파워가 위와 같은 고속상황에서 걸릴 때 조타각이 변하는 것 때문에 파워를 거는 오른발에 힘이 빠지는 법입니다.
고속코너에서의 안정감과 코너에서 횡력을 이기면서 가속하는 능력을 종합해보았을 때 왠만한 수퍼카의 그것을 상회합니다.
이 코너는 3번의 노면 기복차가 있는 위험한 코너이고 섀시와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수퍼카라해도 200km/h도 부담스러운 구간입니다.
기술적으로 세팅실력에서 BMW M디비젼 인원들이 뭔가 확실한 결과물을 창조했다는데 대해 기립박수를 보냅니다.
그냥 빠른 BMW로 전락할 수도 있는 수퍼세단이지만 투여된 기술과 노력이 너무나 눈부시기 때문에 E60 M5는 좀 더 좋은 평가를 받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출력과 수치에 주눅든 평가가 아니라 실체를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는데 대해 저 역시 시승후 굉장히 만족도가 컸던 차종입니다.
P.S. 시승할 수 있게 해주신 이영수 원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estkwon-

2006.05.11 17:31:05 (*.79.175.92)

그날의 짜릿했던 감동이 아직도 지워지지 않고있습니다. 초고속 코너를 돌아나갈때 정말 청룡열차(시트에 몸이 묶인체로 거의 튕겨져 나가기 직전의 횡중력을 받으며 달리는 느낌)가 따로 없었습니다. 제가 바로 옆에서 동승했거든요. 아무튼 권영주님의 드라이빙 실력은 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너무 즐거웠고 감사드립니다.
2006.05.11 22:08:05 (*.91.9.190)

저도 BMW는 워런티 기간내만 잼있게 타야 하는 차인 듯 싶습니다. 전자장비가 많은 건 편하긴 한데 보증기간이 끝나면 아무리 여유있는 오너라 하더라고 불편하게 느껴질 듯 하네요. 물론 8방미인과 놀려면 그정도 불편을 감내해야하는 것은 맞지만^^
2006.05.11 22:18:59 (*.77.231.20)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는 잘못 접근하면 몰매를 맞을수 있기에 건너뛰고^^, 일반 세단이 아닌 M그룹은 불명한 그들만의 카테고리가 있어야 하는데, 요즘의 M은 더이상 그들만의 카테고리를 찾아볼수 없는 만능선수와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저의 M3사랑도 식어가는지도 모르겠지만...
모든것을 다 수용하려는 욕심은 결국 메니아를 잃어버리게 된다는...
언젠가 누구의 결정이 옳았는지 알수 있는 날이 오겠죠^^
그래서 저의 M3사랑도 식어가는지도 모르겠지만...
모든것을 다 수용하려는 욕심은 결국 메니아를 잃어버리게 된다는...
언젠가 누구의 결정이 옳았는지 알수 있는 날이 오겠죠^^
2006.05.12 01:41:14 (*.19.42.145)

영주님은 엠직원들에게 기립박수를............
글을 읽고난 뒤의 전 영주님한테 기립박수를 쳐드리고 싶습니다..
어떻게 그런 기억들을 고속 주행하면서 다 기억하시나요..혹시 시승하면서 레코딩을 따로 하시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합니다...
이번 시승기가 제일 역작이라고 느껴지는건 마음속에
빨간 엠3이를 보내고...하얀 M5의 뽐뿌가 계속 밀려와서일까요 ^^;
글을 읽고난 뒤의 전 영주님한테 기립박수를 쳐드리고 싶습니다..
어떻게 그런 기억들을 고속 주행하면서 다 기억하시나요..혹시 시승하면서 레코딩을 따로 하시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합니다...
이번 시승기가 제일 역작이라고 느껴지는건 마음속에
빨간 엠3이를 보내고...하얀 M5의 뽐뿌가 계속 밀려와서일까요 ^^;
2006.05.12 11:22:35 (*.236.3.225)
예전 시승했던 차는 실내 우드트림이었는데, 지금은 알루미늄 계열로 바뀐 것 같군요... 훨씬 멋져 보입니다.
시승기 잘 봤습니다...
시승기 잘 봤습니다...
2006.05.12 11:28:34 (*.55.192.254)

익숙해진 쥔장님의 글도 참 박진감 넘치고요, 차주이신 원장님의 청룡열차 부분에선 내 몸의 피가 쏠리는 착각을 잠시... 얼매나 리얼하게 전달하셨으면... 것도(전달력) 참 재주입니다. / 바둑 고수가 한 수 한 수 골프고수가 한 번 간 골프장을 구석구석 기억하듯이 드라이버 고수시면 매 순간 도로위의 차량행렬 조차 뚜렷이 떠오를 듯 합니다. 절대고수란 반증이죠.
2006.05.12 11:33:00 (*.55.192.254)

바리안트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차량 셋팅은 매우 실용성이 넘쳐나던데... 4기통 FSI 라면 쫌 다이나믹함에서 딸리지 않을까하고, TSFI라면 세단같은 부드러움 내지 조용함은 기대하기 힘들것 같기도 하고... 아직 시승차량이 없어서 구경만하고 왔는데...
2006.05.12 12:00:33 (*.127.196.89)
그나마 전혀 적응할수없는 7시리즈(이건 BMW에대한 테러에 가깝지요...뚱뚱하고 못생긴... )보다는 신형5 시리즈는 훨 나아보입니다 제눈의 기준으론... 신형3도 적응이 안되더군요... 이전이나 신형S클래스나 신형 BMW 7시리즈는 대대로 엉터리 디자인의 예로 남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참... 독일라라는 것도 벤츠 비엠이 이럴거라고는 상상도 못해봤습니다...) 디자인은 꽝... 성능은 당연히 좋겠지요...엔지니어들이 워낙 뛰어나니...
2006.05.12 12:03:41 (*.127.196.89)
여튼... 그보다 쥔장님의 글을 읽으니까 지금 제가 코너를 돌고있는듯한 느낌으로 콩닥콩닥... 했습니다... 좋은시승기 감사합니다 ^^ (비엠과 벤츠의 디자인만보면 쓸데없이... 혈압이 올라서...ㅠㅠ 이병 고쳐야 하는데... )
2006.05.12 13:14:43 (*.189.163.250)

너무 실감나게 잘 읽었습니다. 언젠가 한번쯤은 소유해보고 싶은 (능력이 된다면 모든 제너레이션의 컬렉션을 갖추고 싶은) 차종인데, 마스터님이 부채질하시는군요. ^^
2006.05.14 01:05:57 (*.61.72.37)

와...E60 M5 너무 무서운 머신이네요 ^^ 한번쯤 도전해보고싶은 머신입니다.
세단과 스포츠머신의 결합 처럼 보이네요 ^^;
세단과 스포츠머신의 결합 처럼 보이네요 ^^;
2006.05.14 19:04:02 (*.48.76.141)

E60 M5 독일서 리밋해제된차량 시승해봐서 알고는 있었지만..
마스터님 글보니- 가슴이 터질려고 하네요. M6는 어덜지..
마스터님 글보니- 가슴이 터질려고 하네요. M6는 어덜지..
2006.05.15 22:43:33 (*.71.115.65)
마스터님..글 보면 정말 눈앞에서 제가 운전하는것 같은 착각이 들정도로 현실감이 있습니다...^^..정말 잘 잃었습니다...글구 비교대상이 될런지 모르겠지만 cls55amg와 비교 시승기 한번 부탁 드립니다...차는 제가 마련하지여...^^
2006.05.16 17:22:43 (*.145.76.171)

수퍼카 영역의 출력에.. 얘기만 들어도 어느정도일지 짐작이 가는데, SMG3 의 변속쇼크는 SMG2 와 별 다르지 않은가봐요..? 전 그 느낌..영~마음에 안들던데.. 출력이 높던 낮던 간에, 스로틀 연결 변속시에는 순간피칭으로 인한 손실.. 약오프 온 시에는 타이밍 손실이 아깝다는 생각이죠.
2006.05.16 22:45:48 (*.35.74.87)

저는 어느 정도의 뒤가 날아가는 것을 허락하게끔 만든 자세제어장치 DSC의 'M다이내믹 모드'에 반했습니다. 이렇게까지 만든 세팅을 보면서 확실히 M엔지니어들은 환자임에 틀림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