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이걸 올릴까 말까 하다가 일단 여기에만 올려봅니다.
혹시라도 유출되믄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니.. 외부 유출은 삼가해 주세여^^
현대차 관계자 분 안 계시져???
아주 우연한 기회에 BH 시승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현대서 비엠과 벤츠를 타겟으로 한다고 공언하고
내심 작정하고 개발하고 있는 최초의 후륜 구동 승용 차량입니다.
아직 완성 단계가 아니라서 상당히 부족한 부분도 많았습니다.
내장도 엉망이었고 특히 소음이나 진동은 아예 고려를 하지 말라고 하더군요
인터넷상으로 스파이샷도 나왔던 거 같은데 내부는 만족스럽습니다.
벤츠 S 클래스틱한 곡선 위주의 인테리어 입니다.
개인적으로 그랜저부터 시작된 인테리어 디자인에 점수를 후하게 줄 수 있는데
BH 역시 한 단계 발전된 양상을 보여줍니다.
빠르면 내년도 출시라고 하는데.. 충분히 현대적이며 감각적입니다.
근데 7인치 화면이 없는 게 문제입니다.. 수정할 꺼라고 하니 상당히 바뀔 수도 있을 듯
외장은 위장막이 완벽하게 쳐져 있어서 알 수가 없었습니다.^^
위장막에 자물쇠까지 다 채워져 있더군요@@@ 머 틈이 없습니다--;;
비록 짧은 거리의 시승이였지만 현대서 상당히 고심한 흔적이 보입니다.
미션도 이전보다 나아보였습니다. 6단 미션은 개발이 끝난 상태여서
일단 올렸다는데.. 변속 충격 없고 이전보다 직결감이 좋습니다.
지금의 허접한 5 단 미션하고는 비교 불허 정도입니다.
엔진은 람다 3.8 개량해서 올릴 예정이랍니다. 에쿠스에 올린 거겠죠?
원래는 4.6 타우? 엔진인가가 올라가는 게 정석인데.. 아직 개발이 덜 됐답니다.^^
수출형은 4.6 부터 올라갈 꺼라고 하는군요.. 덩치로는 3.8 정도로도 무난한 정도
힘은 충분.. 기본 이상 나갑니다. 그랜저보다 덩치가 크니까 순발력은 조금 떨어질 듯
대략 크기는 오피러스 정도인 거 같습니다. 에쿠스보다는 작구요
실내는 디자인도 좋고 매우 널찍합니다. 뒷자리도 타봤는데 승차감 좋더군요
상당히 부드럽습니다. 그러면서도 코너링이나 핸들링 감이 살아있습니다.
서스쪽도 상당한 진척이 있는 듯 했습니다. 벤츠와 유사하다고 해야할 정도였습니다.
현대의 발전 속도가 무섭다고 느꼈습니다. 확실히 예전의 현대가 아니군요..
개발 단계서 부터 마이바흐까지 분해해 가면서 상당히 애를 많이 썼다고 실토합니다.
아산만 연구소에만 작살난 마이바흐가 2대 랍니다. 나사 하나까지 다 분해했답니다.^^
머 그걸로 뭘 어떻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몽구 아저씨 추진력 하나는 알아줄만 합니다.
경험도 없이 맨땅에 헤딩해서 포니 만들던 현대.. 이젠 진짜 프리미엄급에 들이대려나 봅니다.
지금 북미서 호평 받고 있는 아제라 반응에 은근히 고무되어 있다는데..
자동 6단 4.5 신형 엔진에 후륜 구동이면 먼가 나올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아직 미완성이라.. 그넘의 마무리 부족 및 완성도가 최후 과제겠지만
국내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명작이 탄생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blog.daum.net/rainbow-bridge
혹시라도 유출되믄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니.. 외부 유출은 삼가해 주세여^^
현대차 관계자 분 안 계시져???
아주 우연한 기회에 BH 시승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현대서 비엠과 벤츠를 타겟으로 한다고 공언하고
내심 작정하고 개발하고 있는 최초의 후륜 구동 승용 차량입니다.
아직 완성 단계가 아니라서 상당히 부족한 부분도 많았습니다.
내장도 엉망이었고 특히 소음이나 진동은 아예 고려를 하지 말라고 하더군요
인터넷상으로 스파이샷도 나왔던 거 같은데 내부는 만족스럽습니다.
벤츠 S 클래스틱한 곡선 위주의 인테리어 입니다.
개인적으로 그랜저부터 시작된 인테리어 디자인에 점수를 후하게 줄 수 있는데
BH 역시 한 단계 발전된 양상을 보여줍니다.
빠르면 내년도 출시라고 하는데.. 충분히 현대적이며 감각적입니다.
근데 7인치 화면이 없는 게 문제입니다.. 수정할 꺼라고 하니 상당히 바뀔 수도 있을 듯
외장은 위장막이 완벽하게 쳐져 있어서 알 수가 없었습니다.^^
위장막에 자물쇠까지 다 채워져 있더군요@@@ 머 틈이 없습니다--;;
비록 짧은 거리의 시승이였지만 현대서 상당히 고심한 흔적이 보입니다.
미션도 이전보다 나아보였습니다. 6단 미션은 개발이 끝난 상태여서
일단 올렸다는데.. 변속 충격 없고 이전보다 직결감이 좋습니다.
지금의 허접한 5 단 미션하고는 비교 불허 정도입니다.
엔진은 람다 3.8 개량해서 올릴 예정이랍니다. 에쿠스에 올린 거겠죠?
원래는 4.6 타우? 엔진인가가 올라가는 게 정석인데.. 아직 개발이 덜 됐답니다.^^
수출형은 4.6 부터 올라갈 꺼라고 하는군요.. 덩치로는 3.8 정도로도 무난한 정도
힘은 충분.. 기본 이상 나갑니다. 그랜저보다 덩치가 크니까 순발력은 조금 떨어질 듯
대략 크기는 오피러스 정도인 거 같습니다. 에쿠스보다는 작구요
실내는 디자인도 좋고 매우 널찍합니다. 뒷자리도 타봤는데 승차감 좋더군요
상당히 부드럽습니다. 그러면서도 코너링이나 핸들링 감이 살아있습니다.
서스쪽도 상당한 진척이 있는 듯 했습니다. 벤츠와 유사하다고 해야할 정도였습니다.
현대의 발전 속도가 무섭다고 느꼈습니다. 확실히 예전의 현대가 아니군요..
개발 단계서 부터 마이바흐까지 분해해 가면서 상당히 애를 많이 썼다고 실토합니다.
아산만 연구소에만 작살난 마이바흐가 2대 랍니다. 나사 하나까지 다 분해했답니다.^^
머 그걸로 뭘 어떻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몽구 아저씨 추진력 하나는 알아줄만 합니다.
경험도 없이 맨땅에 헤딩해서 포니 만들던 현대.. 이젠 진짜 프리미엄급에 들이대려나 봅니다.
지금 북미서 호평 받고 있는 아제라 반응에 은근히 고무되어 있다는데..
자동 6단 4.5 신형 엔진에 후륜 구동이면 먼가 나올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아직 미완성이라.. 그넘의 마무리 부족 및 완성도가 최후 과제겠지만
국내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명작이 탄생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blog.daum.net/rainbow-bridge

2006.06.02 02:30:19 (*.140.47.139)
오~ BH를 타보시다니...대단하시네요... 개인적으로 기다리고 있는 차량입니다... 3.3과 3.8이 올라간다고 들었는데 3.3은 아닌가봐요?? 여튼 확실히 지금과는 다른 차량이 나오리라 기대합니다...^^
2006.06.02 03:11:13 (*.52.225.237)

와.. 이거 정말 누가 유출할까 제가 겁나네요..
지금 축구보다가 별로 재미가 없어서 들어왔는데 축구보다 백만배는 더 재밌는 시승기가
올라와 있구만요. ^^
현대가 정말 무섭게 발전하는군요.
해외에서 BH도 선전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차 화이팅!
지금 축구보다가 별로 재미가 없어서 들어왔는데 축구보다 백만배는 더 재밌는 시승기가
올라와 있구만요. ^^
현대가 정말 무섭게 발전하는군요.
해외에서 BH도 선전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차 화이팅!
2006.06.02 07:11:46 (*.253.70.114)

앗~ 911이였습니까? 전 람보가 타겟인것으로 알고 있었는데...ㅋㅋㅋㅋㅋㅋㅋ
무언든 처음에 시작할때 목표를 못정하겠습니까..문제는 끝을 봐야 결론도 나오는것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무언든 처음에 시작할때 목표를 못정하겠습니까..문제는 끝을 봐야 결론도 나오는것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2006.06.02 12:07:07 (*.233.15.107)
가격은 별개의 문제인것 같습니다. 차가 좋아지면 가격이 비싸지는 것이 정상이죠..^^
요즘 독일산 차 가격을 보면... 현대도 그 정도가 이니라도.. 일제 프리미엄급의 차를 만든다면..
그 정도의 가격은 받을 권리가 있는게 아닌지...
요즘 독일산 차 가격을 보면... 현대도 그 정도가 이니라도.. 일제 프리미엄급의 차를 만든다면..
그 정도의 가격은 받을 권리가 있는게 아닌지...
2006.06.02 12:36:00 (*.37.198.195)
가격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현대가 BH를 개발하며 슬쩍 언급한 가격이 독일제 프리미엄급 세단 가격이었습니다. 열두번을 생각해봐도 그 가격이면 독일차 사겠습니다. 열세번 생각해보면 달라질까요?
2006.06.02 13:05:51 (*.37.198.195)
성능과 품질이 모두 독일제 프리미엄급과 비슷해서는 비슷한 가격을 받기가 어렵지요. 네임밸류가 떨어지기 때문에..... 네임밸류를 쌓아가며 같은 위치에 설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똑같은 성능과 품질을 가진 현대과 벤츠를 같은 가격을 붙여 놓는다면.... 글쎄요.
2006.06.02 13:42:56 (*.74.253.23)

여기도 현대 관계자 몇분 계신다는 ㅎㅎ
8기통 엔진은 기술적인 문제로 출시 시기를 1년 연기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째거나 출시후 실사용자들의 의견이 나와보면 알지 않을까 싶은데여.
김영진님의 의견에 더 공감이 가는군요. ^^;
작년에 BH 프로젝트 컨설팅차 국내 방문했던 지인에게서
명차의 감성적인 부분에선 좀 부족하다라는 의견이더군요 ^^;
8기통 엔진은 기술적인 문제로 출시 시기를 1년 연기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째거나 출시후 실사용자들의 의견이 나와보면 알지 않을까 싶은데여.
김영진님의 의견에 더 공감이 가는군요. ^^;
작년에 BH 프로젝트 컨설팅차 국내 방문했던 지인에게서
명차의 감성적인 부분에선 좀 부족하다라는 의견이더군요 ^^;
2006.06.02 14:40:43 (*.68.16.174)

실제 제품이 품질의 모든 디멘젼에서 독일 프리미엄 세단과 동등하다고 인정되는 수준이라면 영진님 말씀대로 같은 가격 혹은 비슷하다고 인지될 수 있는 가격은 받는게 불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극소수의 차량만 팔고 내구성에 영향주는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당한 기간동안 파격적인 워런티를 적용하는 방법이 네임밸류를 올리는 가장 최선이 아닐까 합니다. 너무 소비자를 베타테스터로 몰아내는 느낌이 없잖아있지만,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들만 만족시킨다면 2세대 프리미엄부턴 상당한 네임밸류를 등에 업고 가는 상황이 될지도.
2006.06.02 14:58:03 (*.250.112.131)

이런저런 걱정보다... 나머지 기간 잘 다듬어서 돈값하는 명차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정몽구회장이 BH에 거는 기대가 대단했다고 하는데... 빨리 풀어줬으면 좋겠네요.
정몽구회장이 BH에 거는 기대가 대단했다고 하는데... 빨리 풀어줬으면 좋겠네요.
2006.06.02 16:15:01 (*.232.25.21)

저 역시 김영진님 의견에 동의 합니다..비단 브랜드의 가치라는 것은 제품의 품질만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특히나 자동차 처럼 '감성품질'이 구매의 주요한 척도가
되는 제품군은 더하겠죠..현대는 우선 시장의 프리미엄군(독일 3사)를 경쟁브랜드로 잡기보다는 프리미엄군을 쫓고 있는 2군(일본계 북미 브랜드 및 기타)을 벤치마킹하는 경쟁 상대로 둬야하지 않을런지요..현대가 TG로 렉서스 만큼의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냈다고
공공연하게 얘기합니다만..솔직히 좀 어이없습니다.
네임벨류란 비단 파격적 워런티나 서비스네트워크 강화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 이는 단기간내에 제품의 점유 확대라는 이점을 가져올 수 있으나 현재 현대가 대외적으로 갖고 있는 이미지(저가 브랜드)를 벗어날 대안은 분명 아니지요
저는 현대에게 정도를 가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즉, 그간 세계 유수 자동차 기업들이 모터스포츠와 관련 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그것을 브랜드 벨류화 시킨 점을
상기시켜주고 싶습니다.
렉서스의 성능이 날이 갈수록 독일차의 그것을 능가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있어 렉서스는 언제나 벤츠를 쫓는
2류라는 생각이 아직은 지배적 입니다.
현대는 렉서스 모델만 벤치마킹 하지말고 위와 같은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았으면 합니다.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특히나 자동차 처럼 '감성품질'이 구매의 주요한 척도가
되는 제품군은 더하겠죠..현대는 우선 시장의 프리미엄군(독일 3사)를 경쟁브랜드로 잡기보다는 프리미엄군을 쫓고 있는 2군(일본계 북미 브랜드 및 기타)을 벤치마킹하는 경쟁 상대로 둬야하지 않을런지요..현대가 TG로 렉서스 만큼의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냈다고
공공연하게 얘기합니다만..솔직히 좀 어이없습니다.
네임벨류란 비단 파격적 워런티나 서비스네트워크 강화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 이는 단기간내에 제품의 점유 확대라는 이점을 가져올 수 있으나 현재 현대가 대외적으로 갖고 있는 이미지(저가 브랜드)를 벗어날 대안은 분명 아니지요
저는 현대에게 정도를 가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즉, 그간 세계 유수 자동차 기업들이 모터스포츠와 관련 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그것을 브랜드 벨류화 시킨 점을
상기시켜주고 싶습니다.
렉서스의 성능이 날이 갈수록 독일차의 그것을 능가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있어 렉서스는 언제나 벤츠를 쫓는
2류라는 생각이 아직은 지배적 입니다.
현대는 렉서스 모델만 벤치마킹 하지말고 위와 같은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았으면 합니다.
2006.06.02 19:41:56 (*.148.229.93)

고성능 비엠이나 아우디를 탈때마다 감탄했지만 요번 폴쉐 로드쇼를 다녀오고 나선 수입차.. 국산차.. 이런 구분을 안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멋진차와 평범한차가 있을뿐.. 그리고 둘다 필요하더군요..^^
개인적으로 BH급이라면.. 브랜드파워와 감성품질때문에 거품과 황당한 메인터넌스를 감수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냥 멋진차와 평범한차가 있을뿐.. 그리고 둘다 필요하더군요..^^
개인적으로 BH급이라면.. 브랜드파워와 감성품질때문에 거품과 황당한 메인터넌스를 감수하지는 않겠습니다..^^
2006.06.02 20:04:01 (*.74.101.140)

어디서 유럽 프레스티지 모델을 추종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것은 정말 초기 컨셉 이야기이며 현재 BH가 지향하는 바는 그와는 다릅니다. 프런트액슬앞으로 엔진이 밀려버린 차에서 고도의 운동성을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제발 BK가 BH의 전례를 답습하지 않기만을 빌 뿐입니다.
.
.
2006.06.02 20:42:12 (*.60.0.23)
섀시 느낌이나 서스가 '벤츠와 유사하다'는 내용이 가장 눈에 들어오네요. 시승자의 말씀대로 라면 현대차가 굉장히 좋은 방향을 잡은 것 같아요. reliability라는 요소가 차 자체로만 평가되면 좋겠지만, 정작 브랜드와 갖가지 외부 요인이 작용하는 게 일종의 딜레마겠지요. 결국 차가 모든 것을 말해주기 때문에 좋은 차를 내놓으면 차차 나아질 것 같습니다. 현대씨, 블라인드 시승회라도 열어서 기존의 편견을 불식시키는 뭔가를 보여주세요. ㅋ
2006.06.02 23:16:47 (*.205.201.81)

일단 BH가 성공을 거두고
우리나라의 진정한 스포츠 FR머신이 나와야 될듯..
그럼 정말 떳떳하게..
외국애들한테 나댈수 있을거 같습니다.
제 작은 소망입니다.ㅋ
우리나라의 진정한 스포츠 FR머신이 나와야 될듯..
그럼 정말 떳떳하게..
외국애들한테 나댈수 있을거 같습니다.
제 작은 소망입니다.ㅋ
2006.06.03 00:12:20 (*.138.210.125)
저는 수입차량의 사후처리에 대한 불만이 싫어서 현대의 것을 구입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는 의미였습니다. ^^
물론 국산제품이라고 해서 만족스럽기만 할 수는 없겠지만 손쉽게 가까운 곳으로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다는 편의성을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래저래 피곤한 일을 많이 겪다보니 거리도 멀고 시간도 상당히 소요되는 불편함을 감수할만큼 여유가 없어졌기 때문일까요.. -_-+
물론 국산제품이라고 해서 만족스럽기만 할 수는 없겠지만 손쉽게 가까운 곳으로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다는 편의성을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래저래 피곤한 일을 많이 겪다보니 거리도 멀고 시간도 상당히 소요되는 불편함을 감수할만큼 여유가 없어졌기 때문일까요.. -_-+
2006.06.03 07:48:05 (*.213.67.48)

아는 선배가 Michigan 에 위치돼있는 Hyundai/Kia Research center 에서 일하는데
곧 북미에 현대 자동차에 네비게이션이 달릴것 같네요 ...ㅋ
곧 북미에 현대 자동차에 네비게이션이 달릴것 같네요 ...ㅋ
2006.06.04 00:29:49 (*.153.155.169)

여러가지 측면에서 의미있는 차가 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의견들이 수렴되어 반영이 되면 더 좋겠지만^^ 저도 시승하면서 놀랍기도 하고 아쉽기도 했습니다. 비엠이아 벤츠와는 분명 다르겠지만 (아직까지는^^ 일본차도 여전히 갭이 있죠?) 나름의 개성을 살리면서 정체성을 추구해 나갔으면 합니다.
2006.06.05 12:39:01 (*.55.192.254)

문득 어제 화장실서 읽은 철지난 잡지가 생각나네요, GS430 vs M45 비교글 마지막에 "일본차가 걸어온길을 쫓아온 한국로서는 이 두 브랜드의 과거,현재,미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직 우리가 손대지 못한 곳에 존재하는 G430,M45, 언젠가 도달할 목표이자 뛰어넘어야할 커다란 벽이기에..." 란 내용이었습니다. 어젯밤 10년 후면 가능할까나... 홀로생각했는데, 글을 읽으니 그 갭은 더 좁더라~, 란 느낌이 팍 오네요.
그러나, 자동차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회사들의 노하우와 기술력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경험적 기억이 더 짙게 배어있는 평범한 사람으로선 생존경쟁성 외침정도로 느껴짐이 더 큽니다. 그러나, 마이바흐를 두대나 분쇄했다면 제대로 베낄만큼 베껴졌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대해 볼랍니다.
그러나, 자동차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회사들의 노하우와 기술력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경험적 기억이 더 짙게 배어있는 평범한 사람으로선 생존경쟁성 외침정도로 느껴짐이 더 큽니다. 그러나, 마이바흐를 두대나 분쇄했다면 제대로 베낄만큼 베껴졌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대해 볼랍니다.
2006.06.07 20:30:52 (*.115.56.83)
독일3사에서는 어느날 갑자기 짠하고 신기술을 들고 나타나지만 사실 5~10년이나 연구한 산물일때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런신기술이 잘팔릴거 같으면 따라만들기로 3~5년안에 따라잡아서 비슷한물건을 내놓는것이 목표입니다 당연히 선두그룹과는 격차가 있게 마련입니다 사실 요즘 나오는 벤츠나 BMW를 봐도 자동차의 기술은 딜레마에 빠진것같습니다
웬만한 기술은 끝이 온것같고 뭔가 새롭고 대단한 기술은 나오기가 힘들어진것같습니다
도요타가 크게 효율이 좋지못한 하이브리드에 신경을 쓰고있는것도 차량기술의 딜레마 땐문 아닐까 합니다 그에 비하면 우리는 아직 도전해야할 분야가 많고도 많은 루키입니다
웬만한 기술은 끝이 온것같고 뭔가 새롭고 대단한 기술은 나오기가 힘들어진것같습니다
도요타가 크게 효율이 좋지못한 하이브리드에 신경을 쓰고있는것도 차량기술의 딜레마 땐문 아닐까 합니다 그에 비하면 우리는 아직 도전해야할 분야가 많고도 많은 루키입니다
2006.06.29 09:46:20 (*.248.234.17)

작년에 남양에서 렉서스는 많이 봤는데 설마 마이바흐까지 분해하며 벤치마킹할줄은 몰랐네요..ㅎㅎ 그래서 인지 AZERA볼때마다 렉서스가 떠오르는건 어쩔 수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