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자가용 출퇴근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보다 유류비지만,
주차비 역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부담이 큰 게 현실입니다.
저는 삼성동
처는 서초동이 직장입니다. 집은 용인 죽전이구요.
퇴근 시간은 각자 다르지만, 출근 시간은 엇비슷하구요.
다행스럽게도 와이프 직장에서 주차 지원을 해주는 관계로 분당-수서를 타고 삼성동을 먼저 들러
제가 내리면 와이프가 서초동까지 몰고가서 회사에 주차를 하고 퇴근할 때 시간이 맞으면
저를 삼성동에서 픽업해 오는 형태로 하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와이프가 출근하지 않을 때인데요. 주말은 회사에 주차를 할 수 있지만 주중엔 회사에 주차를 할 수가 없어
인근 사설 주차장을 이용해야 하는데 삼성동(특히, 포스코사거리 인근)에는 저렴한 주차장이 없습니다.
그나마, 사옥 뒤에 주차장이 있었는데 리모델링 후에 2만원에서 3만원으로 크게 올렸습니다.
철골 구조로 리모델링 한 주차장의 일 주차비는 24시간에 3만원. -_-
바로 맞은 편에 오래된 기계식 타워 주차장의 일 주차비는 21시 출차 조건으로 1.5만원입니다.
21시 출차라 해도 그 무렵엔 아무데나 주차를 해도 돼 1.5만원 짜리에 주차를 하고 있는데
이 주차장의 단점이 있습니다. 그게 뭐냐면...
1. 구형이라 입출차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2. 고장날 경우 출차가 아주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다. (심한 경우 30분 이상)
3. 트레이 방식인데 트레이가 작아 휠 기스 확률이 매우 높다.
휠 기스가 문제인데 이미 휠 4개를 다 긁었고, 돌이킬 수 없는 수준입니다.
기계가 고장났을 때 주차를 맡겼더니 아저씨가 긁어 버리셨고,
그 이후부턴 포기 상태입니다. (저도 막 넣게 되더군요)
근데, 사실 더 심각한 문제가 있었고 이번에 명확히 확인하게 됐습니다.
가끔 차를 보면 뒷유리에 시멘트물 같은 게 흐르던데 대부분 물티슈로 닦으면 바로 닦여서 별 신경 안썼는데...
이번에 눈이 왔을 때 조수석 도어에 시멘트물이 흘렀나 봅니다. 본넷에도.
차가 지저분에 모르고 있다 어제 세차를 하면서 확인했는데 오늘 저녁에 닦으려 했더니 안닦이더군요. >.<
손톱으로 긁어도... 그래서, 디테일링에 관심이 많은 친구에게 물어보니 식초로 닦으면 된다고 하더군요.
반신반의했는데 다행히 90% 가량은 지워진 거 같습니다.
음... 얘기가 엄청 길어졌는데, 휠 기스와 시멘트물 테러...
그리고 입출차의 불편함을 감수하고라도
기존처럼 1.5 만원짜리 타워 주차장을 계속 이용해야 할 것인가 ?
지금부터라도 3만원짜리로 옮겨서 비싸긴 해도 24시간 편하게 주차를 할 것인가 ? 고민입니다.
완전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되었습니다만...
지금이라도 주차장을 바꾸는 게 나을까요 ? 한 달에 서너번 가량은 일 주차를 해야 하는데 3만원이라 ;; 휴우~

흠...시골(?)에서 출퇴근 하는 저로썬....왠지 대도시 다운타운 이야기로 느껴집니다...^^
탄천이나 종합운동장은 어떠신지요?
웨딩의 전당도 주중에 한가해서 왠지 1~2만원 일주차 가능할것 같고요....
오크우드 맞은편에 큰~~주차장도 떠오르고요....

전 까치산에서 야탑으로. 야탑에서 다시 버스로 십여분 길을 출퇴근 하는데 할만 하던데요.... 저라면 문제가 된다라고 말씀하신 그때는 대중교통을 이용해보겠습니다만... 일단 저는 안전한(?) 곳에 주차시키겠습니다
상황에 맞는지 모르겠으나, 현대 M3카드의 혜택중에 서울지역( 삼성역 근처)에 주차무료 서비스가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함 알아보세요.

삼김 뒤의 노상 주차장은 일 주차 만오천원이예요. 출차 시간 제한 없는 거 같던데요. 저희 팀원들은 회사에 차 가지고 올 일 있을 때 거기다 대지요. 거기 한 번 알아보세요~~

오 저희 아파트 한달 주차피 45달러에서 50달러로 올라 너무 부담스러워 길거리 무료 주차를 하고 있는 제게는 정말 말 그대로 먼 나라 이야기네요. 저라면 저런 경우 차를 안 가져갈 거에요
돈은 나가지만 정신건강에 좋은 시설 좋은 데다 주차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