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아기를 키우면서 한번도 베이비시트 없이 아기와 함께 차를 운행한 적이 없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 1분을 이동하더라도 베이비시트에 앉히고 벨트를 채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철칙을 우리 모두 지킨 덕분에 차로 태어난 후 70,000km를 달리는 동안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아이들과 다닐 때 "선탑승 후하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이는 차에 아기를 먼저 태우고 짐을 싣고 다른 인원이 탑승하는 순서, 반대로 내릴 때는 다른 사람들이 내리고 짐을 내린 후 아기를 내리는 순서...
아기가 혼자 걸어다닐 수 있게 되면 잠깐 한눈파는 사이에 차뒤로 간다든지 아니면 차도로 걸어간다든지하는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그리고 실제로도 차에 장본 짐을 싣는 그 찰라에 아기가 순간 사라져 사고를 당하는 사고가 워낙 많습니다.
때문에 차에 반드시 아기를 먼저 탑승시킨 후 벨트를 채우고 나머지 짐을 싣는 습관의 중요성을 요즘 특히 많이 체감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운전면허 필기시험에 이같은 항목이 반드시 추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하며, 그동안 우리는 유아의 자동차 관련 안전사고에 대해 상당히 무감각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봤을 때 다음과 같은 내용은 반드시 실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짧은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반드시 베이비 시트에 탑승시킨다.
2. 베이비 시트를 졸업하면 그 다음단계의 child seat를 갖춰 탑승시킨다.(아이들은 복부가 약하고 벨트가 골반에 잘 걸리지 않아 신장이 작은 아이들이 그냥 안전벨트를 매고 앉고 있다가 사고가 나면 복부에 큰 충격이 가해져 장파열의 위험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벨트를 안맨체 탑승시키는 것은 더욱 더 위험합니다.
3. 차안에서는 반드시 정자세로 앉아 있고, 창문을 열고 팔을 내민다거나 몸을 내미는 행동을 절대로 용납해서는 안된다.
4. 유아를 앞좌석은 물론이고 뒷좌석에 어른이 앉고 타는 행동을 해선 안된다.
5. 아이가 시야에 없을 때 절대로 차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일본에서도 문제가 되었다고 하는데, 의외로 자기차로 자신의 아이를 치어서 발생하는 사고가 많다고 합니다.
어릴 때 습관을 잘 들여놓으면 확실히 수월하다는 것을 요즘 19개월된 딸아이를 키우면서 실감합니다.
한동안은 시트에 앉혀 장시간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요즘은 자기가 스스로 기어올라가서 벨트를 매는 시늉을 합니다.
안전을 위한 것에 타협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모가 자꾸 예외를 두다보면 아이들이 이를 이용한 꾀를 부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된 내용은 엄격한 교육을 처음부터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testkwon-
단 1분을 이동하더라도 베이비시트에 앉히고 벨트를 채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철칙을 우리 모두 지킨 덕분에 차로 태어난 후 70,000km를 달리는 동안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아이들과 다닐 때 "선탑승 후하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이는 차에 아기를 먼저 태우고 짐을 싣고 다른 인원이 탑승하는 순서, 반대로 내릴 때는 다른 사람들이 내리고 짐을 내린 후 아기를 내리는 순서...
아기가 혼자 걸어다닐 수 있게 되면 잠깐 한눈파는 사이에 차뒤로 간다든지 아니면 차도로 걸어간다든지하는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그리고 실제로도 차에 장본 짐을 싣는 그 찰라에 아기가 순간 사라져 사고를 당하는 사고가 워낙 많습니다.
때문에 차에 반드시 아기를 먼저 탑승시킨 후 벨트를 채우고 나머지 짐을 싣는 습관의 중요성을 요즘 특히 많이 체감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운전면허 필기시험에 이같은 항목이 반드시 추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하며, 그동안 우리는 유아의 자동차 관련 안전사고에 대해 상당히 무감각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봤을 때 다음과 같은 내용은 반드시 실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짧은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반드시 베이비 시트에 탑승시킨다.
2. 베이비 시트를 졸업하면 그 다음단계의 child seat를 갖춰 탑승시킨다.(아이들은 복부가 약하고 벨트가 골반에 잘 걸리지 않아 신장이 작은 아이들이 그냥 안전벨트를 매고 앉고 있다가 사고가 나면 복부에 큰 충격이 가해져 장파열의 위험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벨트를 안맨체 탑승시키는 것은 더욱 더 위험합니다.
3. 차안에서는 반드시 정자세로 앉아 있고, 창문을 열고 팔을 내민다거나 몸을 내미는 행동을 절대로 용납해서는 안된다.
4. 유아를 앞좌석은 물론이고 뒷좌석에 어른이 앉고 타는 행동을 해선 안된다.
5. 아이가 시야에 없을 때 절대로 차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일본에서도 문제가 되었다고 하는데, 의외로 자기차로 자신의 아이를 치어서 발생하는 사고가 많다고 합니다.
어릴 때 습관을 잘 들여놓으면 확실히 수월하다는 것을 요즘 19개월된 딸아이를 키우면서 실감합니다.
한동안은 시트에 앉혀 장시간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요즘은 자기가 스스로 기어올라가서 벨트를 매는 시늉을 합니다.
안전을 위한 것에 타협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모가 자꾸 예외를 두다보면 아이들이 이를 이용한 꾀를 부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된 내용은 엄격한 교육을 처음부터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testkwon-
2008.06.13 17:54:41 (*.163.149.34)
설마 아일톤 세나에서 따온 이름인가욧...??? 왠지 마스터님이 지은 이름에 '세나' 하니 아일톤 세나가 떠오른 1人;;;;; 벌써 버킷에 몸을 파묻고 있는 포스가 ㅎㄷㄷ입니당~
2008.06.13 22:32:02 (*.90.23.1)

3항 관련해서. 요즘 아이가 선루프로 머리 혹은 상반신을 내민채 주행하는 차들을 자주 목격합니다. 경찰에 신고하고 싶은 생각까지 들게 만듭니다. 무슨 생각으로 (애들이 그러도록) 방치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가끔은 고속(화)도로에서도 목격되기도 하더군요.
2008.06.13 22:36:56 (*.172.47.41)

지난번 티비에서 방영한 위기탈출의 베이비시트 관련 내용을 보니 사용하던(7년이상된 혹은 사고 경험이 있는) 베이비 시트를 재사용하는것도 매우 위험하더군요 관련 외국 사이트에 몇가지 안전 수칙을 보여주던데..... 출처는 모르겠지만 기억을 더듬어 보면
1.에어백이 터진사고
2.운전자가 차를 몰고 갈 수 없는 상태의 부상을 입은 사고
3. 베이비 시트가 있는 문짝쪽의 사고
4.베이비시트에 눈에 보이는 손상이 있는경우
베이비시트를 재사용하면 위험하답니다.(5가지였던것 같은데 1가지가 생각이 안나네요)
1.에어백이 터진사고
2.운전자가 차를 몰고 갈 수 없는 상태의 부상을 입은 사고
3. 베이비 시트가 있는 문짝쪽의 사고
4.베이비시트에 눈에 보이는 손상이 있는경우
베이비시트를 재사용하면 위험하답니다.(5가지였던것 같은데 1가지가 생각이 안나네요)
2008.06.13 23:03:20 (*.187.137.70)

궁금했던게 있습니다.
완전 어린 아가가 아닌 이상 벨트를 채워 놓으면 아이들의 경우 가만히 있지 않잖아요. 그럴때 시트 포지션을 임의로 좀 높여주어 시야를 좀 확보 시켜주고 싶은데, 만약 사고시에는 더 큰 충격을 받을 확률이 높겠죠?? 노하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완전 어린 아가가 아닌 이상 벨트를 채워 놓으면 아이들의 경우 가만히 있지 않잖아요. 그럴때 시트 포지션을 임의로 좀 높여주어 시야를 좀 확보 시켜주고 싶은데, 만약 사고시에는 더 큰 충격을 받을 확률이 높겠죠?? 노하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