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1. 창문을 열고 운전을 한다.
2. 에어컨을 풀로 틀고 운전을 한다
3. 약하게 틀고 운전을 한다.
4. 차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이렇게 더운날에 운전중에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법은 있을까요.?
날이 더우니까 별생각이 다드네요..^^
짜증내지 마시고 안전운전들 하세요..너무 덥네요...ㅜ.ㅜ
2. 에어컨을 풀로 틀고 운전을 한다
3. 약하게 틀고 운전을 한다.
4. 차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이렇게 더운날에 운전중에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법은 있을까요.?
날이 더우니까 별생각이 다드네요..^^
짜증내지 마시고 안전운전들 하세요..너무 덥네요...ㅜ.ㅜ
2008.07.08 19:27:57 (*.94.1.37)
출발할때, 언덕이 나오면 에어컨만 끄고 찬바람 송풍으로 합니다... 찬바람만 틀어도 냄새가 안나서요..^^ 그대신 언덕을 다 오르거나 출발하고 나면 바로 에어컨을 켭니다..^^
자주 껐다켰다가 안좋고, 고속에서 껐따켰다가 안좋다지만.... 십수년동안 이렇게 해도 에어컨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에.. 그냥 제 방식대로 합니다..ㅎㅎ
자주 껐다켰다가 안좋고, 고속에서 껐따켰다가 안좋다지만.... 십수년동안 이렇게 해도 에어컨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에.. 그냥 제 방식대로 합니다..ㅎㅎ
2008.07.08 19:31:28 (*.245.167.28)
저도 주영님처럼 담배때문에 창문열고 담배 때문에..풀로 켜고 가다가 반복..
그런데 어느정도 하면 찬공기때문에 머리가 아프더라구요...ㅠ.ㅠ
그런데 어느정도 하면 찬공기때문에 머리가 아프더라구요...ㅠ.ㅠ
2008.07.08 19:52:35 (*.133.99.200)

저는 디프로스터 방향(앞유리 밑방향)으로 하고 3단 정도로 틀고 다닙니다. 대쉬보드 송풍구로 나오게 하면 실내는 시원한데 앞유리쪽이 뜨거워져서 냉방효과가 덜 하더군요. 대신 출발해서 가속할 때나 오르막에서는 무조껀 에어콘을 끄고 송풍만 시키고 내리막에서는 무조건 에어콘을 켜서 약하게나마 엔진브레이크 보조역할로 활용합니다.
이렇게 하고 다니니 에어콘 켜도 연비차이는 별로 없네요.
이렇게 하고 다니니 에어콘 켜도 연비차이는 별로 없네요.
2008.07.08 20:05:58 (*.7.57.86)

많이 덥지 않을때 혼자 탑승시- 주행시에는 조수석측과 조수석측 뒷 창문을 3-4cm정도 열어서 공기가 돌아서 제 왼쪽 뒷편으로 오게 합니다. 꽤 시원합니다. 그러다 정차시에는 에어컨을 가동합니다.
오늘같이 많이 더울 시- 걍 25도 맞춰두고 auto로..-_- 창문 열어서는 방법 없음...땀 삐질삐질..
오늘같이 많이 더울 시- 걍 25도 맞춰두고 auto로..-_- 창문 열어서는 방법 없음...땀 삐질삐질..
2008.07.08 21:07:25 (*.34.101.144)
보통은 1번이고, 정 더우면 2번입니다. 3번의 경우는 전혀 없네요...(남자라면 4단 풀 에어!)
4번은 뭐 요즘 평일에 쓰는.......원래 출퇴근은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니...
4번은 뭐 요즘 평일에 쓰는.......원래 출퇴근은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니...
2008.07.08 21:52:53 (*.38.156.208)

먼저.. 1번.. 정 더워서 못참겠다 싶으면 에어컨을 틉니다. 더위가 가실만큼의 단수로 틉니다. 3단정도로 틀다가 나중에 2단정도, 어떨땐 1단만으로도 충분히 시원합니다. 윗분들과 마찬가지로 언덕 등의 조금 무리한 가속이 필요할시에는 에어컨을 잠시 끕니다. 중간중간 윈도우를 열어 풍절음 및 외기온도를 체크하여 윈도우를 열고 달리는것이 낫겠다 싶을땐 에어컨을 끄고 윈도우를 연채 달립니다~
2008.07.08 22:04:37 (*.229.103.85)

처음엔 강하게 틀고, 실내온이 내려가면 약하게 해주는게 연비에 도움이 된다더군요. 시내운전에선 3-2-1단으로 변경하며 서행하다, 전용도로 크루징땐 외기 1단, 가속형 배틀모드시엔 양쪽창문을 조금열고 끕니다.^^
2008.07.08 22:57:53 (*.135.228.60)

이런날은 에어컨 없인 도저히 못살겠던데...
차가 2대인데 회사가 달라서 작동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주로타는 차는 16.0도 얼굴방향(대시보드 송풍구)에 놓고 처음에는 4단(풀은 8단입니다) 이후 2~3단정도? 그리고 도착 3분 전에는 눈꽃모양의 버튼을 눌러 컴프레셔를 꺼버립니다.(곰팡이 번식 예방을 위해) 국산차로 치면 AQS같은 시스템이 있어, 공기순환은 오토로 놓습니다.
또다른 한대 역시 16도 혹은 Lo에 놓고 3방향(머리, 얼굴, 다리) 셋팅 후 필요에 따라 더운쪽으로 좀 더 강하게 틉니다. 단수는 처음 탔을때에는 5~6단(역시 8단이 풀) 이후 더운날엔 2~3단, 보통때는 1단에 공기는 내부순환입니다.(근데 내부순환해놔도 한참 있으면 외기유입으로 바뀝니다. 기본셋팅은 외기유입이구요... 따라서 서울 시내에서는 죽을 맛입니다) AirFlow는 Focus에 놓구요(Diffuse랑 Focus두가지 있는데, 차이는 잘...) 이 차는 웃긴게 Ac OFF를 눌러도 5분정도 이상 지나야지 그제서야 컴프레샤가 꺼지더군요. 따라서 이차는 그냥 On-Off만 하게 됩니다.
차가 2대인데 회사가 달라서 작동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주로타는 차는 16.0도 얼굴방향(대시보드 송풍구)에 놓고 처음에는 4단(풀은 8단입니다) 이후 2~3단정도? 그리고 도착 3분 전에는 눈꽃모양의 버튼을 눌러 컴프레셔를 꺼버립니다.(곰팡이 번식 예방을 위해) 국산차로 치면 AQS같은 시스템이 있어, 공기순환은 오토로 놓습니다.
또다른 한대 역시 16도 혹은 Lo에 놓고 3방향(머리, 얼굴, 다리) 셋팅 후 필요에 따라 더운쪽으로 좀 더 강하게 틉니다. 단수는 처음 탔을때에는 5~6단(역시 8단이 풀) 이후 더운날엔 2~3단, 보통때는 1단에 공기는 내부순환입니다.(근데 내부순환해놔도 한참 있으면 외기유입으로 바뀝니다. 기본셋팅은 외기유입이구요... 따라서 서울 시내에서는 죽을 맛입니다) AirFlow는 Focus에 놓구요(Diffuse랑 Focus두가지 있는데, 차이는 잘...) 이 차는 웃긴게 Ac OFF를 눌러도 5분정도 이상 지나야지 그제서야 컴프레샤가 꺼지더군요. 따라서 이차는 그냥 On-Off만 하게 됩니다.
2008.07.08 23:15:45 (*.44.218.95)

한여름철을 기준으로
시내 : 약하게 켜둔다. 오토에어컨은 25도 정도, 외기차단모드, 가끔 창문열어서 환기
고속도로 : 약하게 켜둔다. 오토에어컨은 27-8도 정도(정속주행하면 에어컨효과도 상승)
외기차단모드, 가끔 외기유입 및 창문열어서 환기
아주 강하게는 켜지않고, 좀 있다보면 쾌적한 정도로만 사용하는 편입니다.
아무리 더운날씨에도 다이얼식 기준으로 반만 사용해도 충분하더군요. 바람은
1-2단 정도로 약하게 틀구요. 평소 더위를 잘 타는 체질임에도 이 정도면
충분하더군요.
시내 : 약하게 켜둔다. 오토에어컨은 25도 정도, 외기차단모드, 가끔 창문열어서 환기
고속도로 : 약하게 켜둔다. 오토에어컨은 27-8도 정도(정속주행하면 에어컨효과도 상승)
외기차단모드, 가끔 외기유입 및 창문열어서 환기
아주 강하게는 켜지않고, 좀 있다보면 쾌적한 정도로만 사용하는 편입니다.
아무리 더운날씨에도 다이얼식 기준으로 반만 사용해도 충분하더군요. 바람은
1-2단 정도로 약하게 틀구요. 평소 더위를 잘 타는 체질임에도 이 정도면
충분하더군요.
2008.07.09 00:53:08 (*.91.111.68)

지난주부터 무더웠죠?? 무더운 날씨 기준으로..
1. 일단 4단으로 제일 세게 튼다 (수동에어컨이므로..)
2. 어느정도 시원해졌으면 (약 1분이내) A/C 버튼만 끄고 송풍4단으로 한다..
3. 달리고 있는 중이면 송풍4단 + 창문open
멈춰있거나 기어가고있거나 고속도로주행중이면 다시 A/C
1. 일단 4단으로 제일 세게 튼다 (수동에어컨이므로..)
2. 어느정도 시원해졌으면 (약 1분이내) A/C 버튼만 끄고 송풍4단으로 한다..
3. 달리고 있는 중이면 송풍4단 + 창문open
멈춰있거나 기어가고있거나 고속도로주행중이면 다시 A/C
2008.07.09 04:37:37 (*.9.145.174)

전 22도에 Auto로 맞추고 도착 약 5분전에 끄고 Evaporator 말립니다. 약간 더운날은 그냥 외기 송풍에 창문 닫고 달릴때도.. 가끔 있다는.. ^^; 근데 제가 사는 곳은 너무 더워서 아침 아니면, 대부분 에어콘을 작동해야 생존이 가능하네요. ㅋ
2008.07.09 05:44:00 (*.143.52.186)
도저히 답이 안나올정도로 더울때만(땀이 뺨을타고 흘러내릴정도;;) 에어콘 키고 평소에는 창문열고다닙니다.
에어콘 키고나서도 찬바람 좀 나오면 에어콘만 끄고 송풍으로 바꿨다가 눅눅한 바람 나올때 에어콘 다시 킵니다 (정차중일때나 엑셀링이 없을때만 버튼 눌러요)
언덕길에서는 당연히 에어콘 끕니다-_-;
에어콘 키고나서도 찬바람 좀 나오면 에어콘만 끄고 송풍으로 바꿨다가 눅눅한 바람 나올때 에어콘 다시 킵니다 (정차중일때나 엑셀링이 없을때만 버튼 눌러요)
언덕길에서는 당연히 에어콘 끕니다-_-;
2008.07.09 08:28:01 (*.46.117.69)

왠만하면 창문을 열고
도저히 답이 안나오면 에어컨 온도는 외부기온대비 5~6도에 풍량은 1/4~1/3 정도로 하고선 썬룹은 살짝 열고 다닙니다.
아 정말 덥습니다. ㅎㅎㅎ
도저히 답이 안나오면 에어컨 온도는 외부기온대비 5~6도에 풍량은 1/4~1/3 정도로 하고선 썬룹은 살짝 열고 다닙니다.
아 정말 덥습니다. ㅎㅎㅎ
2008.07.09 09:08:05 (*.20.192.65)

자동모드 있는 차량 = 온도 조절 (약 23도 (73oF))로 해놓고 풍량으로 조절
자동모드 없는 차량 = 찬바람 쪽으로 돌려놓고 A/C 스위치 On/Off로 수동 조절
물론 둘다 주차 약 3~5분전에는 A/C 끄고 바람 최대로 해서 에어콘 말립니다. 물론 국내처럼 습한 날씨에 얼마나 말라줄지는 의문입니다만. -_-
자동모드 없는 차량 = 찬바람 쪽으로 돌려놓고 A/C 스위치 On/Off로 수동 조절
물론 둘다 주차 약 3~5분전에는 A/C 끄고 바람 최대로 해서 에어콘 말립니다. 물론 국내처럼 습한 날씨에 얼마나 말라줄지는 의문입니다만. -_-
2008.07.09 10:55:01 (*.242.222.238)

몸이 조금 민감한 편이어서, 오토 에어컨이 달려있지만 상황에 따라 자주 조절을 하는 편입니다. 봄, 여름, 가을에는 보통 22도에 맞춰놓지만 요즘에는 바깥기온 25도 안팎이면 23~24도로, 30도 안팎이면 26~27도 정도로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습도에 민감해서 에어컨을 적당히 끄고 켜거나 창문을 여닫는 것을 반복하지요. 습도가 높을 때에는 피부가, 습도가 낮을 때에는 눈이 바로 반응을 하기 때문에 조절해주지 않으면 곧바로 컨디션 저하(두통, 복통, 시력 및 판단력 저하, 심해지면 감기몸살 등등)로 이어집니다.
2008.07.09 12:56:16 (*.77.33.105)

초반에 강하게 틀어서 어느정도 내부를 시원하게 만들어서 컨디션 회복을 합니다 ^^;
그다음에는 주행느낌도 안좋고. 연비도 영향이 있고. 또 너무 건조해서 껐다가 창문열고 환기도 시켰다가 또 더워지면 켜고 합니다 ^^; 계속 틀고 운전하는 건. 여친을 옆에 태우고 어디론가 날씨 좋은 낮에 놀러갈때나... 고속도로 주행시는 켜고 운전합니다.
맞는 말 인지는 모르겠는데 고속주행시 창문을 여는 것 보다 에어컨을 적당히 틀고 가는게 연비에 더 도움이 된다는... 사실인지 모르겠네요.
그다음에는 주행느낌도 안좋고. 연비도 영향이 있고. 또 너무 건조해서 껐다가 창문열고 환기도 시켰다가 또 더워지면 켜고 합니다 ^^; 계속 틀고 운전하는 건. 여친을 옆에 태우고 어디론가 날씨 좋은 낮에 놀러갈때나... 고속도로 주행시는 켜고 운전합니다.
맞는 말 인지는 모르겠는데 고속주행시 창문을 여는 것 보다 에어컨을 적당히 틀고 가는게 연비에 더 도움이 된다는... 사실인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