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blog.naver.com/cogram/220976221969
사냥꾼님의 글
이해하기 쉽게 설명된 글
요점만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타이어의 접지면적(contact patch)는 타이어가 광폭이 된다고 해서 늘어나지 않는다.
공기압과 중량에만 영향을 받는다.
2. 접지면적은 같지만 접지면의 형상이 변한다.
광폭이 되면 접지면의 형상이 가로방향으로 늘어나고 진행방향으로는 줄어듬
3. 접지면적이 지나치게 좁은 타이어의 경우
필요한만큼의 접지면적을 확보하지 못해 사이드월이 간섭될 수 있음
이경우 공기압을 높여 사이드월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접지면적이 줄어들게 됨
4. 광폭타이어의 장점
- 코너링 시 접지력을 높여준다. (횡방향으로 접지면적이 커지므로 )
- 좁은 타이어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긴 접지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타이어의 한 부분을 기준으로
생각 해 보면 지면과의 접촉시간이 길게 된다. -> 더 많은 열 발생
즉 광폭타이어는 열 발생을 줄여줌
여기서 의문점이 몇가지 생깁니다.
의문점 1) 광폭 타이어는 코너에서 유리하고 협폭타이어는 직선에서 유리한가?
똑같은 차량에 폭만 다른 타이어를 장착했을 경우
직선주로에서는 협폭타이어가 더 빠른가?
의문점 2) 고출력 차량은 왜 광폭타이어를 장착하는가 (후륜차는 왜 후륜에 더 광폭 타이어를 끼우는가)
1)이 맞다고 가정할 경우
- 출력이 충분히 높을 경우 광폭타이어로 인해 직선에서 손해보는 것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코너링에서의 잇점을 위해 광폭타이어를 장착하는것??
- 구동륜에 더 많은 부하가 걸리므로 열 때문에 더 광폭타이어를 장착??
아니라면 무슨 이유일지?
- 휠스핀을 방지하고 출발시에 더 많은 접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폭이 좁은 타이어가 유리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오히려 고출력 후륜차의 경우 후륜의 폭이 더 좁아야 하는 것 아닌가?
- 저출력 차량에 광폭타이어를 장착하면 가속력이 떨어지고 최고속도도 떨어진다고 한다
맞는 이야기인가?
1)이 맞다고 가정한다면 오히려 반대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
의문점3) 트랙에서의 공기압
트랙에서 접지량을 늘리기 위해 공기압을 낮게 가져간다는 사람도 있고
사이드월이 눕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압을 높게 쓰는 것이 좋다는 사람도 있다.
지금까지 생각 해 온 것을 바탕으로 보면
사이드월이 누울 경우 공기압을 높이지 않고 광폭 타이어로 가면 되는 것인가?
의문점4) 드래그 레이스의 무지막지한 고출력 차량의 경우 엄청난 광폭 타이어를 장착하곤 하는데
무조건 넓다고 좋은 접지력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가능한한 폭이 좁은 타이어를 쓰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어느정도까지 폭이 좁은 타이어를 쓰는 것이 유리할 것인지

그래서 드라이빙 스킬에 하중이동이 있는 거구요.
하중이동을 통해 타이어에 하중을 실어 컨택트패치를 가능한 크게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폭은 하중을 가하면서 코너링포스를 주면 이쁘게 contact patch 가 커지지 않고 찌그러지면서 매우 불균형적으로 마찰력이 분배된 contact patch를 갖게 됩니다. 그것도 마구 다이나믹하게 변화하는 패치라서 운전자는 컨트롤 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중저속 일반 도로 주행 중심으로 개발하고 그러면 컴파운드도 단단하게 가져가서 오래 쓰게 만들고 소음과 연비 중심으로 개발되구요.
반면 광폭타이어는 하중에 비례하면서 커지고 이쁘게 유지된 contact patch를 갖게 됩니다. 통상 목적에 맞게 더 부드러운 컴파운드를 씁니다. 사이드월도 강하게 만들구요. 그러면 스포츠 드라이빙에 더 맞게 됩니다. 그런데 광폭이라고 넓을 수록 좋은 건 아니고 사이드월이 타이어로써의 역할을 할 만큼은 충분히 있어야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35시리즈부터는 효과가 마이너스라고 봅니다.
직접체험방법 :
똑같은 신발을 신고 뒤꿈치를 들고 운동장 한바퀴
그냥 달려서 운동장 한바퀴
운동장 코너를 걍 달릴떄와 뒤꿈치 들고 꼽면서 뛸때의 안정감 차이
직선을 달릴때 뒤꿈치 들고 달릴때와 그냥 달릴때 몸에 느껴지는 속력차
확인해보면알수 있지 않을까요?!
닿는 면적이 같다고 해도 타이어 폭에 따라서 그립이 다른건 사실 실생활에서도
느낄수 있는 부분이지 않나요. 앞뒤로 흔들리는 전철에서 팔을 八자 모양으로 서는 이유라던가...
개인적인 생각으로 추리한 답)
1. 광폭은 코너에서 유리하고, 협폭은 직선에서 바람저항을 덜 받고 노면의 간섭량이 작아 고속으로 가면갈수록 유리할것 같네요(안정성은 저 하늘나라로 ...) 저속에서는 일단 마찰을 많이 받아서 토크를 얼마나 지면에 전달해줄수 있는지에 따라서 가속력이 다르겠지만...
2. 고출력차량들의 토크를 그만큼 지면에 잘 전달하기 위해서 광폭을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무계를 더 넓은 폭으로 분산시켜서 안정감을 얻기위해서기도 하겠지요. 발열은 당연히 똑같은 열이 발생했을경우 면적이 넓은게 열을 식히는게 유리하고,..이해가 안되는게 ..광폭과 협폭의 닿는 면적이 같다고 했는데 맥시멈으로 공기를 넣었다 가정 했을 경우 폭 자체가 다른데 어찌 지면에 닿는 면적이 같은건지 모르겠습니다. 타이어에 페인트 찍고 한바퀴를 굴려서 그 넓이를 측정해도 확연히 다른걸요.. |______| <광폭 |___| <협폭
3. 사이드월이 눕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압을 높게 쓰는사람들은 타이어가 하이그립 타이어가 아닌 분들이 아닐까요..공기압을 높게 해야된다는 분들을 못만나봐서..그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4. 넓이상승 = 마찰력상승 이라서 협폭을 쓰는건 잘못됬다 생각합니다.
제 얇은 지식으로 적어본 댓글입니다. 고수분들의 생각도 궁금하네요 알려주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