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제가 논하고자 하는 것은 자동/수동을 구분짓는 부분에서의 자동이 아니라, 자동 변속기 내에서 여러가지 유형들에 대한 것입니다.
업계 종사자나 전문가가 아니라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자동 변속기 시장은 토크 컨버터가 꽉 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최근 몇년간 효율과 성능 등의 문제로 CVT, DCT 등의 다양한 자동 변속기가 고려되어 왔습니다.
모 제조사에서는 DCT를 더 업그레이드하여 클러치가 3개 있는 변속기까지 만들었다는 말을 들어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몇년 전부터 얼핏 들리는 소식이 이러한 자동 변속기 유행이 다시 토크 컨버터 방식으로 돌아걸 것이라는 것입니다.
토크 컨버터 방식 자동 변속기의 다단화가 이루어지면서 10단 토크 컨버터 변속기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에 DCT의 여러가지 단점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그것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고민이 되는 것이죠.
폭스바겐은 10단 DSG 개발을 포기하겠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DCT가 변속 속도가 토크 컨버터 방식보다 빠르다고 하지만 Motor Authority가 2016년에 보도한 쉐보레의 주장에 따르면 2017년식 카마로 ZL1의 10단 토크 컨버터 변속기가 DCT보다 빠르다고 합니다.
https://www.motorauthority.com/news/1103914_camaro-zl1s-10-speed-auto-quicker-than-dual-clutch-boxes-says-chevy
이런 상황에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소비자들이 DCT의 단점들을 떠안으면서까지 DCT를 선택할 이유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고, 시장에서 비중을 조금씩 늘려나가던 DCT는 다시 고꾸라지겠죠.
웬지 포르쉐는 PDK를 좀 오래 사용할 것 같긴 합니다만, 다른 제조사들은 점차 DCT에서 다단 변속기로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토크 컨버터 방식도 이렇게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의 자동 변속기 트렌드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회원님들의 다양한 의견 환영합니다.
업계 종사자나 전문가가 아니라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자동 변속기 시장은 토크 컨버터가 꽉 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최근 몇년간 효율과 성능 등의 문제로 CVT, DCT 등의 다양한 자동 변속기가 고려되어 왔습니다.
모 제조사에서는 DCT를 더 업그레이드하여 클러치가 3개 있는 변속기까지 만들었다는 말을 들어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몇년 전부터 얼핏 들리는 소식이 이러한 자동 변속기 유행이 다시 토크 컨버터 방식으로 돌아걸 것이라는 것입니다.
토크 컨버터 방식 자동 변속기의 다단화가 이루어지면서 10단 토크 컨버터 변속기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에 DCT의 여러가지 단점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그것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고민이 되는 것이죠.
폭스바겐은 10단 DSG 개발을 포기하겠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DCT가 변속 속도가 토크 컨버터 방식보다 빠르다고 하지만 Motor Authority가 2016년에 보도한 쉐보레의 주장에 따르면 2017년식 카마로 ZL1의 10단 토크 컨버터 변속기가 DCT보다 빠르다고 합니다.
https://www.motorauthority.com/news/1103914_camaro-zl1s-10-speed-auto-quicker-than-dual-clutch-boxes-says-chevy
이런 상황에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소비자들이 DCT의 단점들을 떠안으면서까지 DCT를 선택할 이유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고, 시장에서 비중을 조금씩 늘려나가던 DCT는 다시 고꾸라지겠죠.
웬지 포르쉐는 PDK를 좀 오래 사용할 것 같긴 합니다만, 다른 제조사들은 점차 DCT에서 다단 변속기로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토크 컨버터 방식도 이렇게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의 자동 변속기 트렌드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회원님들의 다양한 의견 환영합니다.
2019.05.18 18:59:13 (*.39.141.201)
전기차가 보급되기까지는 배터리의 용량과 충전속도 및 수명, 안전성 문제가 해결이 되어야 할 것 같고 아직은 좀 이른 감이 있네요.
저도 DCT보다는 토크컨버터식 오토가 장점이 더 많다고 느낍니다.
지금의 현대기아 6단 오토미션만 해도 DCT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이어서 굳이 DCT 달린 차를 선택하고 싶지는 않달지요.
클러치가 붙고 떨어지는 감각이 토크컨버터식 오토에 익숙하신 분들에겐 거칠고 거슬리는 느낌이라고들 하시고, 수동미션에 익숙한 경우 뭔가 어색해서 클러치를 직접 조작하고 싶어지는데 클러치 페달이 없으니 안달이 날 정도로 답답하더군요.
개인적인 소망이 있다면, 토크컨버터식 오토미션이 수동만큼의 연비와 직결감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다음 차는 바로 토크컨버터로 넘어갈 것 같아요. 이 두 가지 때문에 수동을 고수하고 있으니.
저도 DCT보다는 토크컨버터식 오토가 장점이 더 많다고 느낍니다.
지금의 현대기아 6단 오토미션만 해도 DCT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이어서 굳이 DCT 달린 차를 선택하고 싶지는 않달지요.
클러치가 붙고 떨어지는 감각이 토크컨버터식 오토에 익숙하신 분들에겐 거칠고 거슬리는 느낌이라고들 하시고, 수동미션에 익숙한 경우 뭔가 어색해서 클러치를 직접 조작하고 싶어지는데 클러치 페달이 없으니 안달이 날 정도로 답답하더군요.
개인적인 소망이 있다면, 토크컨버터식 오토미션이 수동만큼의 연비와 직결감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다음 차는 바로 토크컨버터로 넘어갈 것 같아요. 이 두 가지 때문에 수동을 고수하고 있으니.
2019.05.18 20:32:02 (*.46.186.72)

7단 dct 와 8단 토크컨버터를 다 타고 있습니다
둘다수입이고 8단쪽이 7단보다 5년정도 늦게나온 차량인데,
변속은 패들로 조작하는거보다 다 똑똑한거 같습니다
와인딩 뛰어도 수동모드를 굳이 써야하나 할정도로 잘 변속해주고 있네요
둘다수입이고 8단쪽이 7단보다 5년정도 늦게나온 차량인데,
변속은 패들로 조작하는거보다 다 똑똑한거 같습니다
와인딩 뛰어도 수동모드를 굳이 써야하나 할정도로 잘 변속해주고 있네요
2019.05.19 21:59:22 (*.249.156.110)
요즘 오토 차들을 보며 느끼는 건데, 향후로는 슬립되는 양을 극도로 줄이면서 락온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게 되네요.
현기차의 경우 아직까지는 그런 차를 타보지 못했고 여전히 힘이 좀 새는 것처럼 느꼈는데.
최근 쉐보레 차들은 예를 들어 올뉴말리부 1.5T 같은 경우 힘이 줄줄 새던 예전과 달리 꽤 야무지게
물고 가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그 정도면 수동만 고집하던 저도 굳이 수동을 더 이상 고수할 이유가
없기도 합니다.
애초에 오토가 수동보다 토크 활용이 더 유연하여 운용하기 훨씬 편하고 운전재미마저 더 좋다고 느끼기도 하고요.
다만, 엔진에 부하를 적게 걸며 천천히 달릴 때의 헐렁한 느낌이나 좀 밟고 다녔을 때의 연비 저하 폭, 급가속 할 때
힘이 좀 새는 느낌은 아직 아쉬움이 많은 부분입니다. 이런 아쉬운 부분들이 극소화 된다면 수동은 물론 DCT가 굳이
필요할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요즘은 오토미션 고장을 찾아보기 힘들어진 만큼, 토크컨버터와 제어로직이 좀 더 타이트해지길 기대해보고 있습니다.
유지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게 되네요.
현기차의 경우 아직까지는 그런 차를 타보지 못했고 여전히 힘이 좀 새는 것처럼 느꼈는데.
최근 쉐보레 차들은 예를 들어 올뉴말리부 1.5T 같은 경우 힘이 줄줄 새던 예전과 달리 꽤 야무지게
물고 가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그 정도면 수동만 고집하던 저도 굳이 수동을 더 이상 고수할 이유가
없기도 합니다.
애초에 오토가 수동보다 토크 활용이 더 유연하여 운용하기 훨씬 편하고 운전재미마저 더 좋다고 느끼기도 하고요.
다만, 엔진에 부하를 적게 걸며 천천히 달릴 때의 헐렁한 느낌이나 좀 밟고 다녔을 때의 연비 저하 폭, 급가속 할 때
힘이 좀 새는 느낌은 아직 아쉬움이 많은 부분입니다. 이런 아쉬운 부분들이 극소화 된다면 수동은 물론 DCT가 굳이
필요할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요즘은 오토미션 고장을 찾아보기 힘들어진 만큼, 토크컨버터와 제어로직이 좀 더 타이트해지길 기대해보고 있습니다.
2019.05.20 16:03:16 (*.223.2.137)
DCT7단(게트락)/토크컨버터8단(ZF) 두대를 주로 운용중인데, 토크컨버터의 압승입니다. 제조사나 세팅에 따른 편차가 분명 존재하겠지만 요즘의 토크컨버터는 저~언혀 느슨하다는 느낌이 없더군요. 오히려 단수가 하나 더 높은데도 불구하고 헤메는 순간도 적고.
8단이상의 미션의 경우 공도에서 타보면 eco,sport이든 어느 모드에서든지 엔진이 기어 단수를 찾느라 헤메고 버벅돼는경우가 많습니다, 한두번 그러면 몰라도 daily로 사용할때 꽤나 불쾌하죠
말씀하신것처럼 DCT에서 토크 컨버터방식의 오토로 돌아가는 추세입니다, DCT로 고성능의 맛을봤던 여러 회사들도 벌써 토크컨버터 8단미션으로 돌아왔죠. 토크를 커버할수있는 레인지와 내구성을 보았을때 좀더 개선됀 토크컨버터 오토가 dct보다 뛰어나다는 결론입니다. 물론 고성능, 스포츠카, 수퍼카에선 몇몇 쓰일지 몰라도 전체적인 industry의 분위기로 보았을땐 conventional automatic으로 돌아올것이고, 그것조차 그리 오래가진 않을듯 합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로 슬슬 바뀌는 시점에서 보면 트랜스미션이란 개념이 곧 없어지겠죠, 전기모터가 달린 엔진엔 미션의 필요가 없으니깐요. 찾아보니 빠르게는 2025년, 2030년에서 2040년까진 LPG, 가솔린, 디젤 엔진 차량을 아예 없애겟다고 propose했다죠, 유럽, 중국, 한국도 그런것으로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