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십니까, 사회초년생 회원입니다.
최근 자취방의 계약기간이 끝나감에 따라 이런저런 고민중에 있는데, 회원님들의 고견 여쭙고자 글 남깁니다.
올해 초 갑작스럽게 취업을 하게 되어 회사 근처에 자취방을 하나 구해 출퇴근하고 있습니다.
소재지가 공단지역에다 대중교통이 좋지않아 부모님 소유 05년식 1세대 싼타페를 제가 몰고 있습니다.
자취방이 있는 동네가 주차도 불편하고, 정이 가지 않아 본가에서 출퇴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회사 휴무날마다 본가로 가구요.
자취방에서 출퇴근시에는 편도 5km(10분)이며,
본가와 회사의 거리는 편도 80km(대략 1~1.5시간)입니다.
(고속도로 및 고속화도로 이용)
대략적으로 계산해보니 본가 출퇴근 시 기름값,톨비 vs
자취생활하며 들어가는 월세,관리비,식비 및 기름값,톨비가 큰 차이가 없더군요.
어차피 월세로 빠져나갈 돈 기름값으로 나간다 생각하면 어찌저찌 될 것 같기도 한데..
혹시라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더 있을지요?
그리고 주유에 특화된 신용카드같은것도 추천받고 싶습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최근 자취방의 계약기간이 끝나감에 따라 이런저런 고민중에 있는데, 회원님들의 고견 여쭙고자 글 남깁니다.
올해 초 갑작스럽게 취업을 하게 되어 회사 근처에 자취방을 하나 구해 출퇴근하고 있습니다.
소재지가 공단지역에다 대중교통이 좋지않아 부모님 소유 05년식 1세대 싼타페를 제가 몰고 있습니다.
자취방이 있는 동네가 주차도 불편하고, 정이 가지 않아 본가에서 출퇴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회사 휴무날마다 본가로 가구요.
자취방에서 출퇴근시에는 편도 5km(10분)이며,
본가와 회사의 거리는 편도 80km(대략 1~1.5시간)입니다.
(고속도로 및 고속화도로 이용)
대략적으로 계산해보니 본가 출퇴근 시 기름값,톨비 vs
자취생활하며 들어가는 월세,관리비,식비 및 기름값,톨비가 큰 차이가 없더군요.
어차피 월세로 빠져나갈 돈 기름값으로 나간다 생각하면 어찌저찌 될 것 같기도 한데..
혹시라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더 있을지요?
그리고 주유에 특화된 신용카드같은것도 추천받고 싶습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2019.11.13 23:19:28 (*.175.217.102)

가벼운 마음으로 한달만 해보세요. S클래스들이 왜 마일리지가 높은지 이해하실겁니다.
저는 길이 좋아져서 평균 속도가 올라가 출퇴근 편도가 15분~20분 줄어들었는데 삶의 질이 아주 높아졌습니다.
저는 길이 좋아져서 평균 속도가 올라가 출퇴근 편도가 15분~20분 줄어들었는데 삶의 질이 아주 높아졌습니다.
2019.11.13 23:22:02 (*.107.186.207)
제 경우에는 이번에 이직하게 되면서 대전-세종 왕복 120km를 출퇴근할 목적으로 스파크 수동을 구매해서 4달째 다니고 있습니다.
시간만 잘 맞으면 정체구간도 5% 될까말까하기도 하고 전 직장에서 전국 출장을 많이 다녀서 그런지 장거리 출퇴근에 따른 피로감은 별로 없지만 아무리 수동이어도 운전 재미가 없다시피한 관계로.. 유지비용 증가는 감수하고 운전재미를 찾자 해서 벨로스터 N이나 아반떼스포츠로 조만간 기변하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유지비용도 중요하지만 운전할 맛 나는 차량을 구매하시면 출퇴근도 즐겁지 않을까요?
시간만 잘 맞으면 정체구간도 5% 될까말까하기도 하고 전 직장에서 전국 출장을 많이 다녀서 그런지 장거리 출퇴근에 따른 피로감은 별로 없지만 아무리 수동이어도 운전 재미가 없다시피한 관계로.. 유지비용 증가는 감수하고 운전재미를 찾자 해서 벨로스터 N이나 아반떼스포츠로 조만간 기변하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유지비용도 중요하지만 운전할 맛 나는 차량을 구매하시면 출퇴근도 즐겁지 않을까요?
2019.11.14 10:53:31 (*.38.33.190)
자취, 이직으로 인한 자취 + 장거리 출퇴근, 본가 장거리 출퇴근, 심지어는 장거리 연애 모두 경험해봤고, 운전을 좋아해 취미생활을 하러 매우 장거리 운전을 많이 하게 되어 직업이 연구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년간 주행거리 7만km 이상이었습니다.
요샌 업무상의 이유 때문에 업무용 차량으로 매일 Min. 700km씩 운전합니다. 연간 18만km에 육박하는 주행거리를 달리고 있는데요.
본가에서 가족들과 생활하며 지내는 것이 당연히 좋다 생각하지만, 그걸로 인해서 하루에 2~3시간씩 도로에 버리는 시간은 분명 아깝습니다.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영어공부 등을 하면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자취를 하며 Save되는 시간을 영어공부에 활용하면 운전하며 공부하는 것보다는 훨씬 질 좋은 공부환경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왜 자취방에서 아까운 시간을 헛되이 보낸다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자취를 하며 save 되는 시간을 활용하면 어마어마한 기회가 생깁니다. 하다못해 규칙적으로 운동이라도 하면 건강이 좋아지고, 공부를 하면 삶의 질이 높아지고, 취미활동에 활용해도 되구요.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말씀드리자면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비용이 자취하며 소요되는 비용과 거의 같다고 생각하시는 듯 하지만,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산보다 무조건 더 발생하게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머리로만 계산한 비용에는 돌발상황에 대한 비용이 빠져있고, 차량 정비상태가 매우 좋다고 말씀하시지만 연식이 오래된 차량의 부품들 전부를 신품으로 교체한게 아니시라면 분명히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부품들이 있을텐데, 주행거리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교환주기는 훨씬 더 빨리 도래하게 됩니다.
돌발상황이란, 타이어 펑크라던지 출퇴근 루트에서 갑작스레 발생한 타차량 사고로 인한 정체, 본인 차량의 사고 발생 확률 증가, 악천후로 인한 소모 등 도로에 오래, 많이 노출될 수록 생각지도 못한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왠만한 분들이 상상도 못 할만큼 차량운행이 많은 입장에서 장거리 출퇴근은 도시락 싸들고 쫒아다니며 뜯어말리고 싶습니다. ^^;;;;
요샌 업무상의 이유 때문에 업무용 차량으로 매일 Min. 700km씩 운전합니다. 연간 18만km에 육박하는 주행거리를 달리고 있는데요.
본가에서 가족들과 생활하며 지내는 것이 당연히 좋다 생각하지만, 그걸로 인해서 하루에 2~3시간씩 도로에 버리는 시간은 분명 아깝습니다.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영어공부 등을 하면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자취를 하며 Save되는 시간을 영어공부에 활용하면 운전하며 공부하는 것보다는 훨씬 질 좋은 공부환경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왜 자취방에서 아까운 시간을 헛되이 보낸다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자취를 하며 save 되는 시간을 활용하면 어마어마한 기회가 생깁니다. 하다못해 규칙적으로 운동이라도 하면 건강이 좋아지고, 공부를 하면 삶의 질이 높아지고, 취미활동에 활용해도 되구요.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말씀드리자면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비용이 자취하며 소요되는 비용과 거의 같다고 생각하시는 듯 하지만,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산보다 무조건 더 발생하게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머리로만 계산한 비용에는 돌발상황에 대한 비용이 빠져있고, 차량 정비상태가 매우 좋다고 말씀하시지만 연식이 오래된 차량의 부품들 전부를 신품으로 교체한게 아니시라면 분명히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부품들이 있을텐데, 주행거리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교환주기는 훨씬 더 빨리 도래하게 됩니다.
돌발상황이란, 타이어 펑크라던지 출퇴근 루트에서 갑작스레 발생한 타차량 사고로 인한 정체, 본인 차량의 사고 발생 확률 증가, 악천후로 인한 소모 등 도로에 오래, 많이 노출될 수록 생각지도 못한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왠만한 분들이 상상도 못 할만큼 차량운행이 많은 입장에서 장거리 출퇴근은 도시락 싸들고 쫒아다니며 뜯어말리고 싶습니다. ^^;;;;
2019.11.14 12:06:20 (*.84.113.211)

말씀 하나하나가 전부 와닿는 느낌입니다.
1년동안 자취생활을 하며 느꼈던 것을 전부 말씀드릴 수가 없어 아쉽게 생각합니다.
자취방에 있어도 무기력하게 보냈던건 사실이고, 그곳에 정을 못 붙이니 취미생활이든 운동이든 할 엄두가 나지 않네요. 공부(자격증)도 그 동네에서 몇 번이나 시도해보았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구요. 그래서 힘들더라도 본가출퇴근을 해보는건 어떨지 생각이 났습니다. 장거리출퇴근을 하며 영어공부를 하는것도 물론 좋지만, 저는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릴 것이라 생각해서...ㅎ
말씀하신 돌발상황에 대한 비용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자취하는 과정에서도 겪어보았거든요. 작게는 타이어 교체(피스가 측면에 박혔습니다.)부터 크게는 인젝터 교환(시동 직후 울컥대어서 정비소가서 진단기를 찍어 보았더니;;)까지...
그렇다고 새 차를 사기엔 제 멘탈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 최대한 거리를 두려고 합니다.(작은 흠집이나 자그마한 돌발상황에도 마음이 아프더라구요. 경험담입니다.)
동승 시 한번의 접촉사고를 경험한 이후 사고가 안나야 본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고, 운전중에도 항상 조심합니다.
돌발상황이 없어야 좋겠지만 생기더라도 해결하게끔 플랜 b,c들을 고려해보고 있습니다.(계산에는 빠져있었지만요..)
형욱님께서 써 주신 장문의 댓글로 인하여 제 생각정리를 다시 한번 할 수 있었습니다.
상세하고 현실적인 답변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1년동안 자취생활을 하며 느꼈던 것을 전부 말씀드릴 수가 없어 아쉽게 생각합니다.
자취방에 있어도 무기력하게 보냈던건 사실이고, 그곳에 정을 못 붙이니 취미생활이든 운동이든 할 엄두가 나지 않네요. 공부(자격증)도 그 동네에서 몇 번이나 시도해보았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구요. 그래서 힘들더라도 본가출퇴근을 해보는건 어떨지 생각이 났습니다. 장거리출퇴근을 하며 영어공부를 하는것도 물론 좋지만, 저는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릴 것이라 생각해서...ㅎ
말씀하신 돌발상황에 대한 비용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자취하는 과정에서도 겪어보았거든요. 작게는 타이어 교체(피스가 측면에 박혔습니다.)부터 크게는 인젝터 교환(시동 직후 울컥대어서 정비소가서 진단기를 찍어 보았더니;;)까지...
그렇다고 새 차를 사기엔 제 멘탈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 최대한 거리를 두려고 합니다.(작은 흠집이나 자그마한 돌발상황에도 마음이 아프더라구요. 경험담입니다.)
동승 시 한번의 접촉사고를 경험한 이후 사고가 안나야 본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고, 운전중에도 항상 조심합니다.
돌발상황이 없어야 좋겠지만 생기더라도 해결하게끔 플랜 b,c들을 고려해보고 있습니다.(계산에는 빠져있었지만요..)
형욱님께서 써 주신 장문의 댓글로 인하여 제 생각정리를 다시 한번 할 수 있었습니다.
상세하고 현실적인 답변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2019.11.20 13:14:57 (*.39.146.11)
장거리출퇴근 1년째입니다. 편도80이라니.. 전왕복90인데ㅜㅜ..
편도80이면.. 방을하나얻는게 편합니다..아무리차쟁이라고 하더라도.. 회식불편함 야근하고 피곤함.. 무시못해요.ㅜㅜ
저야 내년에 결혼이라 계약도 어정쩡해서 출퇴근했지만..
그리고..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추천합니다. 전 2.0가솔린.. 파랑색번호판차들 출퇴근시간에 날라다니는데..전정속주행..기름값이뭐라고..ㅜ
편도80이면.. 방을하나얻는게 편합니다..아무리차쟁이라고 하더라도.. 회식불편함 야근하고 피곤함.. 무시못해요.ㅜㅜ
저야 내년에 결혼이라 계약도 어정쩡해서 출퇴근했지만..
그리고..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추천합니다. 전 2.0가솔린.. 파랑색번호판차들 출퇴근시간에 날라다니는데..전정속주행..기름값이뭐라고..ㅜ
2019.11.23 21:37:35 (*.235.32.164)

제가 교대근무를 하는데, 딱 한 주기동안 본가출퇴근해보고는 근무체계 변경이 없다면 현상유지를 하기로 했습니다.
야간근무 연속으로 하는게 문제더군요..^^;;;
거기다가 피로는 점점 누적되는 특징이 있기도 하구요...
현재 차량은 있으니까 쓰는거고, 다음 차량은 하이브리드나 전기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로망은 6기통 이상이지만, 사회초년생 월급으론 기름값이 절대 감당안될것같아서요ㅠ
저는 흐름에 맞추는 스타일인데, 생각보다 유류비는 얼마 안나오더라구요~ㅎㅎ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제 사정으로 인해 답변을 늦게 달아드려 죄송합니다..ㅠㅠ
야간근무 연속으로 하는게 문제더군요..^^;;;
거기다가 피로는 점점 누적되는 특징이 있기도 하구요...
현재 차량은 있으니까 쓰는거고, 다음 차량은 하이브리드나 전기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로망은 6기통 이상이지만, 사회초년생 월급으론 기름값이 절대 감당안될것같아서요ㅠ
저는 흐름에 맞추는 스타일인데, 생각보다 유류비는 얼마 안나오더라구요~ㅎㅎ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제 사정으로 인해 답변을 늦게 달아드려 죄송합니다..ㅠㅠ
물론 회사나 집 중 적어도 한곳에 충전기가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