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우연찮은 기회에 G20 M340i를 아주 짤막하게 시운전 해보았습니다.
최근 출시된 외제차를 운전해보는 건 처음인데, 확실히 시대가 많이 변했음을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이면 차들이 모두 하늘을 날아다니고 있을거라 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하늘을 나는 듯한 하이테크를 경험했네요.
아반떼 체급의 컴팩트 모델로 알고 있었는데, 의외로 덩치가 크며 실내도 널찍합니다.
1열의 경우 체감상 AD는 확실히 아니고 LF 넓이에 근접하는 정도는 되는 듯 합니다.
2열은 소나타만큼 널찍하지는 않지만, AD보다 좁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습니다.
승차감은 꽤 단단한 편이었고 빈틈없이 타이트하며 아주 묵직한 느낌이었습니다.
잔 충격은 어지간히 모두 걸러내면서도 상하 스트로크가 짧고 노면의 굴곡에 따라 차체가 상하로
움직이며 노면 상태를 느끼게 해주지만, 이 과정에서 덜컹임이나 헐거운 느낌은 전혀 없었습니다.
하여, 구름같은 승차감을 선사하지는 않더라도 서스펜션에서 느껴지는 움직임과 이를 유연하게
받아내는 차체 느낌은 확실히 이런 맛에 독일 차를 타는가 보다 하는 걸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차멀미에 많이 약한 제가 느끼기에는 아주 좋은 승차감이었습니다.
19인치 휠에 앞뒤 각각 35, 40 시리즈의 얇은 타이어가 들어가 있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선회 반응은
묵직한 승차감에 이은 깜짝쇼처럼 컴파스로 원을 그리듯 매우 날카로우면서도 정확했습니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도 약간의 보타가 필요한 32비트 MDPS 유저 입장에서는 신세계였습니다.
손은 물론 팔에도 야무지게 착 감기는 듯한 스티어링 감각, 너무 좋았습니다.
그리고 ZF 8단 토크컨버터 자동변속기...
컴포트 모드에서는 악셀링 초기에 약간 델리케이트한 반응이 가미되면서도 늘어지는 느낌은 없이
부지런히 기어를 올려갑니다. 엔진 파워가 좀 있어서인지 1,500rpm쯤에서도 속력이 잘 붙었습니다.
단수가 하도 많아선가 타코미터가 정신없이 아주 좁은 폭으로 오르내립니다. 그 과정에서 불쾌한
변속 충격은 시운전 하는 동안 한 번도 없었습니다.
스포츠플러스 모드에서는 악셀링 반응이 그냥 요즘 수동 순정 차량 정도로 매우 직관적이었습니다.
D 모드에서는 의도한 것보다 더 고회전을 유지하는 바람에, 항속 중 악셀 페달을 조금만 툭 건드려도
차가 움찔 하면서 속력이 붙었습니다. rpm을 낮추기 위해 수동 모드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D로 주행 중에도 악셀 오프시에는 과거 기계식 스로틀 수동 차량처럼 아주 확실하게 엔진브레이크가
걸렸습니다. 당연하지만, 엔진브레이크가 빠르게 걸리면서도 울컥거리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가속할 때 쉬프트업 타이밍이 늦어 rpm이 3천대로 높게 유지된 만큼, 감속시 쉬프트다운 타이밍도
꽤나 빨랐고 레브매칭도 아주 야무지게 해주던지라, 운전자가 악셀 페달을 밟아 가속 명령을 내리는
즉시 차를 발사시키겠다는 듯 상당히 공격적인 느낌을 전해주었습니다. 악셀 반도 못 밟겠더군요.
괜히 BMW와 ZF8단 변속기의 콜라보레이션에 찬사가 이어지는게 아니구나 하는 걸 느꼈습니다.
직관적인 악셀 직결감을 운전의 생명처럼 여기는 제겐 오토 중에서는 단비와도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결코 작지 않은 덩치를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스티어링과 악셀, 브레이크의 조화는 어느 것 하나도
과하거나 부족함이 없는 느낌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이 밸런스 갖춘 고성능 차를, 수동만 계속 운전하던
제가 받아들이기엔 여전히 어려웠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신차인데다 고출력 차에 익숙하지 않아 폭넓게 운전해보지는 못했으나, 그러함에도 훌륭한 조작감과
피드백, 이를 아우르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었고 모든 면에서 정말 마음에 들었는데...
국산 오토 차량이 답답한 변속기를 이끌고 가려니 갑갑하고 머리가 아팠다면,
이 차는 컴포트모드에서는 악셀링 초기의 델리케이트한 반응이 아주 약간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어쩔 수 없는 약간의 딜레이가 아쉽고, 스포츠플러스 모드에서는 초보이지만 여하간 운전자인 저보다도
한참 먼저 앞서나간 명석함으로 얼른 실력을 보이라는 듯 재촉을 하는 느낌이 그만 정신이 없어져서
머리가 아팠습니다.
수동 차량으로 악셀링과 기어 선택, 동력을 잇는 컨트롤 하나하나를 직접 몸으로 느껴가며 제어하는 것에
익숙하다가 어느 차종이건 오토를 타면 처음에는 그저 편하다가도 점점 온 몸의 신경이 차단되어가는 듯한
멍한 느낌이 들면서 차의 반응 하나하나 신경쓰다 보니 그러하네요.
비교 대상이 전혀 아닌 만큼, 한동안 살짝씩 기웃거렸던 TG 2.7, YF 2.4 GDi, i40 2.0 GDi는 포기입니다. T-T
고출력 오토 차량에 익숙하다면 정말 재밌게 탈 수 있으면서도 4도어 세단의 실용성까지 갖추고 있어서,
외제차 운용에 무리가 없는 여건이지만 가족용 등의 문제로 고성능 차의 운용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께는
아주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풀악셀시 제로백은 4.4초라 하네요.
2019.11.19 22:50:17 (*.254.227.13)
비교 대상은 아니지만, 컴포트 하면서도 빠른 점은 예전에 시운전 해보았던 아반떼AD 스포트 모델과도 일맥상통 하는 면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어마무시한 완성도라고 해야 할지... 보통 차들 기준으로 약간 빠른 페이스로 주행해도 앞머리가 날쌔게 휙휙 돌아가는데 타이어가 밀릴 기미를 보이지 않아 마치 오락실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으로 비현실적인 주행을 할 때와 비스무리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이런 빠른 주행 자체를 즐기시는 분들께는 세세하게 들어오는 감각이나 노면 여건에 따른 반응 변화에 불편을 느낄 일 없이 편안하게 빠른 것 자체가 큰 장점이 될 것 같았습니다.
반면, 저 처럼 빠른 주행보다는 날 것에 가까운 감각에 크게 의존하시는 분이라면 대부분의 정보들이 정제되어 들어오고 운전자의 입력에 그 어떤 저항감도 없이 거뜬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마치 사이보그 같은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도 M340i는 과거 E46 직렬6기통 모델만큼은 아니어도 요즘 차로서는 꽤 자연스런 느낌이어서 마치 오래 타던 제 차인 것처럼 편하게 탔지만, 요즘 나오는 대다수 신형 대중차들은 영 좀 그렇다는 것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M340i는 워낙 고성능 모델인데다 반응 감각이 좋지만, 어쨌든 대중적인 모델은 아니고 가격도 비싸죠... 저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접하게 될 대중적인 차들은 평범한 성능에 그마저도 대부분 반응이 둔해진 점이 너무 아쉬운 와중에, 일부 차종은 운전 여건에 따라서는 악셀페달이 순간적으로 먹통이 되는 일도 있는데, 아찔하더군요. 벌써부터도 정상적으로 차와 소통하려면 이제 M340i 정도는 되는 비싼 차를 사야만 하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요즘 차들은 구형 차들처럼 익숙해지면 내 손발 다루듯 하는 느낌이 아니라, 일정 이상 익숙해지다보면 어느 선부터는 감각이 차단되어 리모컨으로 의수 의족을 조종하는 것 같은 느낌이어서, 운전할 때 긴장감이나 피로감이 구형 차들보다 오히려 훨씬 심합니다. 차의 완성도는 높아져 가지만, 직접 운전하기보다는 자율주행에 더 어울리게 되어가는 것 같달지요...
제 경우 국산차 기준 이미 AD부터도 시내 이상의 장거리 운전은 몸이 편한 것 이상으로 신경이 많이 쓰이다 보니 힘겹던지라, 직접 운전하는 차로는 지금의 i30 GD 수동을 마지막으로 하게 될 것 같다는 확신을 느끼고 있습니다. 예전에 타던 MD 디젤 수동은 여러 모로 칠푼이였지만, 그나마 직접 운전하기에 큰 위화감은 없었던 마지막 아반떼였구나 생각을 합니다. AD는 차는 좋아진 대신 감각을 잡아먹는 느낌이 좀 섬뜩하고 특히 운전 자세가 자꾸 왼쪽으로 삐딱하게 틀어지더군요. 뭔가 기본 설계가 잘못된 것 같은 느낌... 몰면 몰 수록 운전하지 마라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친동생의 K3 YD는 MD 세대임에도 불구하고 주행감각은 좋았던 대신 좀 제멋대로 반응하여 운전자와 차가 완전히 동떨어진 느낌이어서 늘 이거 뭐지? 하곤 했습니다. 핸들 놓을 때가 다가오나 싶습니다. ㅋ
반면, 저 처럼 빠른 주행보다는 날 것에 가까운 감각에 크게 의존하시는 분이라면 대부분의 정보들이 정제되어 들어오고 운전자의 입력에 그 어떤 저항감도 없이 거뜬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마치 사이보그 같은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도 M340i는 과거 E46 직렬6기통 모델만큼은 아니어도 요즘 차로서는 꽤 자연스런 느낌이어서 마치 오래 타던 제 차인 것처럼 편하게 탔지만, 요즘 나오는 대다수 신형 대중차들은 영 좀 그렇다는 것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M340i는 워낙 고성능 모델인데다 반응 감각이 좋지만, 어쨌든 대중적인 모델은 아니고 가격도 비싸죠... 저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접하게 될 대중적인 차들은 평범한 성능에 그마저도 대부분 반응이 둔해진 점이 너무 아쉬운 와중에, 일부 차종은 운전 여건에 따라서는 악셀페달이 순간적으로 먹통이 되는 일도 있는데, 아찔하더군요. 벌써부터도 정상적으로 차와 소통하려면 이제 M340i 정도는 되는 비싼 차를 사야만 하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요즘 차들은 구형 차들처럼 익숙해지면 내 손발 다루듯 하는 느낌이 아니라, 일정 이상 익숙해지다보면 어느 선부터는 감각이 차단되어 리모컨으로 의수 의족을 조종하는 것 같은 느낌이어서, 운전할 때 긴장감이나 피로감이 구형 차들보다 오히려 훨씬 심합니다. 차의 완성도는 높아져 가지만, 직접 운전하기보다는 자율주행에 더 어울리게 되어가는 것 같달지요...
제 경우 국산차 기준 이미 AD부터도 시내 이상의 장거리 운전은 몸이 편한 것 이상으로 신경이 많이 쓰이다 보니 힘겹던지라, 직접 운전하는 차로는 지금의 i30 GD 수동을 마지막으로 하게 될 것 같다는 확신을 느끼고 있습니다. 예전에 타던 MD 디젤 수동은 여러 모로 칠푼이였지만, 그나마 직접 운전하기에 큰 위화감은 없었던 마지막 아반떼였구나 생각을 합니다. AD는 차는 좋아진 대신 감각을 잡아먹는 느낌이 좀 섬뜩하고 특히 운전 자세가 자꾸 왼쪽으로 삐딱하게 틀어지더군요. 뭔가 기본 설계가 잘못된 것 같은 느낌... 몰면 몰 수록 운전하지 마라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친동생의 K3 YD는 MD 세대임에도 불구하고 주행감각은 좋았던 대신 좀 제멋대로 반응하여 운전자와 차가 완전히 동떨어진 느낌이어서 늘 이거 뭐지? 하곤 했습니다. 핸들 놓을 때가 다가오나 싶습니다. ㅋ
어떻게보면, 우리같이 매니악한 부류들 생각은 제조사에서 별로 신경쓰지 않을 것 같습니다. 신차로 고성능차를 내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감성이란 부분보단 스펙, 그리고 내가 원하는 곳까지 얼마나 빨리, 정확히 데려다주는 것에 가치를 더 둔달까요ㅎㅎ 그 걸 메이커에서 모를리 없겠죠. 터보를 줄줄이 달고나오는 비엠을 보면 어떤 관점에서 좀 씁쓸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