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2287.jpg

테드의 오랜 회원분이신 여선암님께서 아주 귀한 자료를 제게 보내주셨습니다.
가족이 신차로 1979년에 장만하신 새한 자동차의 레코드 로얄인데 신차 출고 때 받으신 매뉴얼입니다.
 

IMG_2288.jpg

새한 자동차는 대우 자동차의 전신으로 당시 오펠의 레코드라는 차를 국내 내수 시장 판매용으로 로얄티 지불하고 제조했고, 레코드라는 이름은 국내에서는 70~80년대에는 고급차의 상징과도 같았습니다.

이 귀한 자료를 받고 한장한장 읽어보면서 80년대 차부터 시작한 저의 카라이프에 대한 추억도 떠오르고 소개하면 좋을 것 같아 주요한 페이지들을 공유합니다.
 

IMG_2289.jpg

카브레타 방식의 연료공급장치 때는 벤튜리 원리로 연료가 분사되어 공기와 믹스되기 때문에 에어크리너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설명과 같이 Winter와 Summer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이 레버를 어느 한쪽에 고정하지 않으면 고장난다는 문구가 아주 재미있습니다.
 

IMG_2290.jpg

배터리의 성능도 요즘차와는 차이가 있어 다른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말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제 기억으로 80년대 현대차들은 키를 꼽아 ACC에 둬야 라디오가 작동하는데, 대우 차들은 키가 빠져있어도 라디오가 작동했던 기억입니다.
 

IMG_2291.jpg

카브레터 차들의 겨울 냉간시동시에는 가속패달을 한번 깊게 밟았다가 놓은 후 가속패달을 살살 치면서 시동을 걸어야 잘 걸립니다. 가속패달을 밟는 의미는 시동이 꺼지면서 흡기다기관 내 진공이 된 부분에 공기가 채워지게 하는 것으로 옛날에는 일발시동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아 초크라는 레버를 장착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이 초크 레버는 현대차 기준 88년도 정도를 기점으로 사라져서 홍보할 때 초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겨울 일발 시동이 잘 된다는 것을 연상시켜 당시로서는 작은 혁신중에 하나였습니다.
 

IMG_2292.jpg

IMG_2293.jpg

배터리 액을 보충하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30여년전 증류수를 보충해본 기억이 새롭습니다.
 

IMG_2294.jpg

지금과 같은 깔끔한 형태의 휴즈가 아니라 단선을 확인하기 쉬웠습니다.
 

IMG_2295.jpg

OHC(Over Head Cam shaft) 2밸브 엔진이 당시에는 주류였습니다.
그래도 미제엔진중에는 당시에 푸쉬로드 방식의 엔진도 상당했는데 OHC이면 상당히 진보한 엔진 방식입니다.

IMG_2296.jpg

당시에는 클러치의 마모를 알려주는 계기가 있었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수동이 주류를 이루던 80년대에는 카센터의 주요 매출중 하나가 바로 디스크 삼발이를 교환하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운전을 잘하시는 분들은 수명을 길게 사용하지만 보통 일반인들은 6~10만킬로에 한번쯤 교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재가 국산화될 때 내구성이 요즘 차들과는 차이가 컸고, 택시들이 거의 대부분 수동이었기 때문에 카센터에서 이 작업은 엄청나게 자주 했던 작업이었지요.
 

IMG_2297.jpg

현재의 자동차와 하체의 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스테빌라이져와 함께 전륜 더블위시본을 이미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IMG_2298.jpg

IMG_2299.jpg

공차중량이 1.1톤도 안되는 최고급 세단이라는 점이 요즘으로서는 상상이 안됩니다.
요즘은 그 두배의 무게이니 얼마나 몸집이 커지고 무거워졌는지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IMG_2300.jpg

어릴 때 기억에도 레코드 로얄은 1.9리터라는 희안한 사이즈의 엔진이 탑재되어 있었고, 102마력 엔진은 80년대 후반에 나온 로얄 프린스에 적용되던 엔진도 출력은 같았습니다.
최고 속도 161km/h를 달릴 수 있는 70년대 세단이면 정말 고성능에 해당되는 차였습니다.
 

IMG_2301.jpg

요즘 차라면 오너가 직접할 수 있는 내용들만 표기되고 정비소에서 점검 받을 항목을 따로 표기하는데, 당시에는 휀벨트의 유격이나 허브베어링과 같이 일반인이 어떤 부품인지 생소한 것들도 오일류 점검과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요즘은 Serpentine벨트라고 하는 원벨트 개념으로 오토 텐셔너라는 부품이 장착되어 있어 벨트 유격을 체크하지 않아도 되지만 당시에는 오토텐셔너가 없었고, 벨트가 각각 워터펌프와 제너레이터를 구동하게 되어 있어 벨트가 늘어났는지를 가끔 눌러서 확인했어야 했습니다.

그만큼 30~40년전에 자동차를 운전하려면 차에 대한 기본지식이 지금보다 더 필요했다는 반증입니다.
 

IMG_2302.jpg

IMG_2303.jpg

IMG_2304.jpg

IMG_2305.jpg

제가 운전해본 가장 오래된 국산차는 80년대 초반 새한에서 나온 기어 레버가 아주 긴 4단 변속기를 장착한 레코드였습니다.
오르간 패달이 장착되어 있었고, 현대 포니가 1.4리터 엔진을 탑재했던 것과 비교하면 1.9리터 엔진은 상대적으로 힘이 좋았었지요.

중학교 2학년 때 몰아봤던 85년식 프린스 1.9도 오르막에서 출발할 때 휠스핀을 내면서 출발할 수 있었던 차로 기억합니다.

기어레버가 구형에 비해 짧아졌고, 후진기어를 넣기 위해서 기어봉에 달린 레버를 위로 당기면서 몸쪽으로 당겨 1단보다 좌측 위치에 리버스 기어를 체결하는 방식이었는데 르망도 마찬가지 였지요.

미쓰비시 라이센스 생산 방식의 현대차와 비교하면 대우차들은 유럽 베이스의 오펠차들을 만들었기 때문에 묵직한 맛이 있었고, 엔진 사운드가 좋았던 기억입니다.

대신 현대차에 비해 브레이크 성능이 떨어져 프린스나 로얄 살롱만 해도 브레이크 패달에 올라타야 차가 서는 그런 느낌이었지만 뒷좌석에 두툼한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것을 보고 "역시 고급차는 달라"라고 했던 때가 떠오릅니다.

자동차가 수십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 것들이 있는데 그만큼 기초는 요즘차와 비슷한 부분이 많습니다.
물론 전기차는 구조적으로 내연기관 자체가 없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추진력을 내지만 하체나 브레이크 등의 원리는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귀한 자료를 보내주신 여선암님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est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