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중앙일보 김호정 기자]
인터넷에서 현대차 불매운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17일 한 네티즌의 제안으로 시작된 불매 서명운동에는 24일 오후까지 3만3000여 명이 동참했다.
인터넷 서명운동 중 가장 빠른 속도다. 다음의 서명자 수 1위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서명운동(18만 명 참여)은 3만 명 돌파에 24일이 걸렸고, 2위인 여성부 폐지 서명(11만 명 참여)은 3만 명을 넘기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서명에 참여한 네티즌들은 현대차 회사 측이 노조의 요구인 성과금을 격려금으로 이름만 바꿔 지급하기로 한 것을 두고 "또 차 값 올려서 소비자를 우려먹을 속셈이냐"며 성토했다. "파업을 밥 먹듯이 하는 귀족노조나 거기에 야합한 경영진이나 모두 똑같다"(아이디 수기), "18년 동안 현대차를 탔지만 앞으론 절대 안 탄다"(최윤식)는 등의 글도 잇따라 올랐다. 많은 네티즌은 "국내차 시장이 사실상 현대차 독점구조여서 현대차 노사가 이 같은 한심한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이라며 "수입차 시장을 완전 개방해 현대차에 본때를 보여주자"고 주장한다. 다음 측은 21일 별다른 설명 없이 서명코너를 삭제했다 "현대차의 로비를 받고 내렸느냐"는 네티즌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이틀 뒤 서명 코너를 복구했다.
불매운동은 일선 현대차 영업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 영등포 지역의 한 대리점 직원은 "노조가 파업을 시작한 뒤 '파업기간 중 만든 차는 못 믿겠다'며 계약을 취소한 고객들이 있었다"며 "영업직은 한 대라도 더 팔아보려고 밤낮없이 뛰는데 노조와 회사는 고객을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단체는 이번 불매운동을 새로운 현상으로 보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의 김진희 실장은 "제품 불량처럼 직접적인 피해가 아닌 과도한 노조활동에 대한 불만이 불매운동으로 표출되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희경 정책실장은 "노사관계에서 소비자가 제3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노사 양측이 소비자에게 사과하고 자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김호정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hjk2k/[내 손안에 정보 조인스 모바일 2442+ NATE/magicⓝ/ez-i][ⓒ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금이나마 영향이 있을까요?
아니면 조금이나마 신경 쓸까요?
영업지점의 영업사원들만 죽어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아무튼 인터넷은 참 무섭기도 한 매체인거 같습니다... ㅡ.ㅡㅋ
자동차를 그저 좋아라 하는 한 사람으로써 모쪼록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길 바라는 마음 뿐이네요...
인터넷에서 현대차 불매운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17일 한 네티즌의 제안으로 시작된 불매 서명운동에는 24일 오후까지 3만3000여 명이 동참했다.
인터넷 서명운동 중 가장 빠른 속도다. 다음의 서명자 수 1위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서명운동(18만 명 참여)은 3만 명 돌파에 24일이 걸렸고, 2위인 여성부 폐지 서명(11만 명 참여)은 3만 명을 넘기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서명에 참여한 네티즌들은 현대차 회사 측이 노조의 요구인 성과금을 격려금으로 이름만 바꿔 지급하기로 한 것을 두고 "또 차 값 올려서 소비자를 우려먹을 속셈이냐"며 성토했다. "파업을 밥 먹듯이 하는 귀족노조나 거기에 야합한 경영진이나 모두 똑같다"(아이디 수기), "18년 동안 현대차를 탔지만 앞으론 절대 안 탄다"(최윤식)는 등의 글도 잇따라 올랐다. 많은 네티즌은 "국내차 시장이 사실상 현대차 독점구조여서 현대차 노사가 이 같은 한심한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이라며 "수입차 시장을 완전 개방해 현대차에 본때를 보여주자"고 주장한다. 다음 측은 21일 별다른 설명 없이 서명코너를 삭제했다 "현대차의 로비를 받고 내렸느냐"는 네티즌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이틀 뒤 서명 코너를 복구했다.
불매운동은 일선 현대차 영업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 영등포 지역의 한 대리점 직원은 "노조가 파업을 시작한 뒤 '파업기간 중 만든 차는 못 믿겠다'며 계약을 취소한 고객들이 있었다"며 "영업직은 한 대라도 더 팔아보려고 밤낮없이 뛰는데 노조와 회사는 고객을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단체는 이번 불매운동을 새로운 현상으로 보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의 김진희 실장은 "제품 불량처럼 직접적인 피해가 아닌 과도한 노조활동에 대한 불만이 불매운동으로 표출되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희경 정책실장은 "노사관계에서 소비자가 제3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노사 양측이 소비자에게 사과하고 자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김호정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hjk2k/[내 손안에 정보 조인스 모바일 2442+ NATE/magicⓝ/ez-i][ⓒ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금이나마 영향이 있을까요?
아니면 조금이나마 신경 쓸까요?
영업지점의 영업사원들만 죽어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아무튼 인터넷은 참 무섭기도 한 매체인거 같습니다... ㅡ.ㅡㅋ
자동차를 그저 좋아라 하는 한 사람으로써 모쪼록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길 바라는 마음 뿐이네요...
2007.01.26 00:46:00 (*.182.232.143)

실제로 파업기간에 나온 차량을 구입한분을 보았는데 차량 인도받자마자 A/S를 들락거리더니 결국 얼마안가 차를 팔아버리더군요. 운이 나빠서 그런차를 인도받았을 수도 있겠지만 현대차의 지나친 파업은 좀 보기 않좋더군요
2007.01.26 09:14:23 (*.54.30.166)
아무리 자동화시스템이라고는 하지만, 사람손이 꽤 들어가더군요...(조립) 제가 판매하며선도 많은 차량들이 문제점을 나타내더군요... 제생각에는 이번사건은 영업소(지점이아닌...)직원들이 힘들것같습니다. 회사에서의 혜택은 못받으면서 영업일선에서 서있는 ... 생계로 뛰고있는 영업소 직원들이 안스럽습니다....쩝..
2007.01.26 10:27:10 (*.39.162.60)
불매운동으로 현대차의 실적이 안 좋아지면 아마 현대차노조는 경영진에게 실적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물러나라고 파업할 겁니다.. 자기네 잘 못은 없고 다 경영진이 경영을 잘 못해서 실적이 안 좋아졌다고요.. 그러고보니 누구와 비슷하네요.. ^^
2007.01.26 11:25:30 (*.55.192.254)

경영진이 잘못해서 파업일 길어져 손실 많이 생겼고, 어차피 항복할꺼 버티다가 여론만 안좋게되었고... 모두 맞죠... 그네들 눈으로는... 방송많이 나와 떠드는 그 분도 나름대로 맞는 말 많이 하더군요... 듣는 사람 입장에선 허튼소리 뿐이지만...
2007.01.26 11:34:16 (*.108.72.34)

일선의 열심히 뛰는 판매 영업직 사원들에게는 고난의 길이군요...
현대자동차 와 악성노조는 이번기회로 이제는 뭔가 변화가 필요할때라는걸 알아야합니다..
준석님의 의견에 100% 공감이..ㅎㅎ
나는 100% 잘했는데 모두 남이 잘못해서 않좋아졌다는 이야기를하는.. 그런인물들이 있죠
현대자동차 와 악성노조는 이번기회로 이제는 뭔가 변화가 필요할때라는걸 알아야합니다..
준석님의 의견에 100% 공감이..ㅎㅎ
나는 100% 잘했는데 모두 남이 잘못해서 않좋아졌다는 이야기를하는.. 그런인물들이 있죠
2007.01.26 11:34:29 (*.29.244.199)
이번 파업과 신년 시무식 난동사태로 사실상 현대차 노조의 이미지는 땅으로 떨어졌습니다. 게다가 회사와 노조 모두 뒷돈 거래하고 있는 것이 드러났고요... 노조는 예전부터 도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 계속 드러나고 있고요...
저도 그랜저 3.8로 거의 굳혔다가 영업사원이랑 가격도 다 흥정해 놓은 상태에서 이번 파업을 보고 다시는 현대차 안사겠다고 맘먹었습니다. 서명운동은 동참안했지만 적어도 이번 파업으로 그랜저 한대는 못팔았네요.
미국에 있는 친구가 그러더군요. 강성노조가 하나 둘씩 무너져 가면 미국처럼 경영자의 천국이 될것이라고... 미국은 심심하면 그날로 짤리죠...
저도 그랜저 3.8로 거의 굳혔다가 영업사원이랑 가격도 다 흥정해 놓은 상태에서 이번 파업을 보고 다시는 현대차 안사겠다고 맘먹었습니다. 서명운동은 동참안했지만 적어도 이번 파업으로 그랜저 한대는 못팔았네요.
미국에 있는 친구가 그러더군요. 강성노조가 하나 둘씩 무너져 가면 미국처럼 경영자의 천국이 될것이라고... 미국은 심심하면 그날로 짤리죠...
2007.01.26 12:04:02 (*.14.71.166)

경영진, 노조 모두 자발적인 변화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외산 자동차가 국산 자동차와 가격 경쟁이 가능한 상태로 도입되도록 국민들이 합심해야할 때입니다.
2007.01.26 14:47:24 (*.146.229.146)

이미 현대기아차가 시장점유율이 80% 정도로(화물차는 아예 독점이죠) 된 마당에 불매운동하면 대신 살만한 차가 대우차와 르노삼성인 수준에서 과연 먹힐까요...개인적으로 그냥 냄비효과 보다 끝나리라 봅니다.
그리고 파업기간에 생산된 차를 샀다가 고생하고 6개월만에 팔아본 경험자로서 파업기간 차는 도시락 싸들고 말리고 싶습니다. 지금도 생각하면 지긋지긋하네요...그래서 지금은 생산날짜, 가격, 옵션 내맘대로 고르고 타보고 결정할 수 있는 중고차를 선호합니다...신차구매는 무슨 제비뽑기도 아니고..
그리고 파업기간에 생산된 차를 샀다가 고생하고 6개월만에 팔아본 경험자로서 파업기간 차는 도시락 싸들고 말리고 싶습니다. 지금도 생각하면 지긋지긋하네요...그래서 지금은 생산날짜, 가격, 옵션 내맘대로 고르고 타보고 결정할 수 있는 중고차를 선호합니다...신차구매는 무슨 제비뽑기도 아니고..
2007.01.26 15:10:01 (*.7.96.189)

저도 그냥 일시적인 현상이라 봅니다...
어차피 현대/기아 아니면 살 차의 선택권이 별로 없는 마당에 무슨 차를 살지..;;
어차피 현대/기아 아니면 살 차의 선택권이 별로 없는 마당에 무슨 차를 살지..;;
2007.01.26 19:37:32 (*.238.242.101)

박현호님 의견에 공감 합니다..아직은 40대 이상이 프라임 세그먼트로 분류되고
이분들의 상당수가 아직 온라인 여론몰이에 접근 자체가 용이치 않으니까요..
뭐 이런식의 여론 환기(언론 등에)가 어느정도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노조 참 나쁘네...(끝)...이러고 말겠죠.
결국 노조에 대한 안좋은 인식 but 판매량에는 별반 영향이 없는..
그야말로 사측에서 좋아할만한 호재가 아닐까 합니다.
결국 박종욱님 의견데로..경영자가 군림하는 시스템으로 회귀하는데에
강성노조라는 현대차 노조가 일조하는 셈이 될테구요..
눈 앞의 꺼리 대문에 전체의 이익을 볼 줄 모르는 자들 덕에
결국 우리만 피해를 보는 셈이 될테지요
이분들의 상당수가 아직 온라인 여론몰이에 접근 자체가 용이치 않으니까요..
뭐 이런식의 여론 환기(언론 등에)가 어느정도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노조 참 나쁘네...(끝)...이러고 말겠죠.
결국 노조에 대한 안좋은 인식 but 판매량에는 별반 영향이 없는..
그야말로 사측에서 좋아할만한 호재가 아닐까 합니다.
결국 박종욱님 의견데로..경영자가 군림하는 시스템으로 회귀하는데에
강성노조라는 현대차 노조가 일조하는 셈이 될테구요..
눈 앞의 꺼리 대문에 전체의 이익을 볼 줄 모르는 자들 덕에
결국 우리만 피해를 보는 셈이 될테지요
2007.01.26 20:20:28 (*.7.28.171)

파업때 나온 차로 저도 피해자입니다......93년 소2 첨 나왔을 때.....엔진블록 불량으로 A/S만 20번도 더 들어가고,,,,,배기 매니폴더 고정을 청테이프로 해논거 보고....담부터 현대 새차는 안샀죠....지금도 현대차 비싼 가격을보면 차라리 수입차로 가는것이 낫다고 보죠.....빨리 수입차 풀 개방하고 일본처럼 가격이 싸졌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