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YF y20 1,395~1,410kg
Golf TDI MK6 1,397kg (TDI)
K5 2.0 1,400~1,415kg
Golf FSI MK5 1,464kg
YF F24 1,465kg
SM5 2.0 1,470kg
Lacetti 2.0 1,475kg (CDRi)
Golf GTD 1,495kg (TDI)
Camry 2.5 1,520kg
Peugeot 2.0 1,535kg (HDi)
Accord 2.4 1,535kg
Altima 3.5 1,560kg
HG 300 1,580kg
K7 VG3.0GDI 1,580kg
SM7 3.5 1,580kg
Golf TDI MK5 1,596kg (TDI)
Accord 3.0 1,630kg
G25 1,635kg
BMW 535i 1,700kg
GS 350 1,710kg
Passat 1,738kg (TDI)
Benz E300 1,775kg
AlpheonCL300 1,785kg
A6 2.0 TFSI 1,800kg
S60 2.5T 2,050kg
(25개 모델 평균 1595.4kg, 현대/기아차 모델 평균 1,464kg, 평균 132kg차이)
한국시장의 주요 메이커들이 출시하는 준중형과 중형, 그리고 준대형 클래스의 공차중량을 네이버 차량 DB에서 추출하여 편집해 봤습니다. 네이버 차량 DB는 메이커측이 제시하는 제원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단 YF와 K5의 경우는 2.0 모델의 경우 아무리 무거워도 라세티 2.0 CDRi보다 가볍습니다. 물론 차량은 더 큽니다. 물론 디젤엔진이기에 엔진 무게가 더 나갈 수도 있다는 점은 수긍하지만, 급이 다른 차량이 엔진 무게로 저런 중량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조금은 이해하기 힘듭니다.
자주 YF와 라프의 사고 사진이 비교대상에 올라서 논란을 제공합니다. 물론 사고사진은 다양한 원인과 변수 때문에 단순비교 불가입니다만 차량의 공차중량은 다르겠지요.
YF2.0의 가장 가벼운 모델은 골프TDI(6세대)보다도 가볍습니다. 물론 디젤엔진과 같은 배기량의 휘발유 엔진을 비교하면 안되겠지만 클래스는 물론 다릅니다.
첨언으로 탑기어에서 제레미 클락슨에게 "너무 뚱뚱해졌다"라고 놀림을 받은, 골프 역사상 가장 무거웠던 5세대와 YF를 비교하자면 휘발유 모델에서 조차 50~60kg의 차이가 납니다.
현대/기아차의 차량 중량이 다른 차량들과 비교하자면 압도적인 경량화(?)를 이루어 낸 듯 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가장 대중적인 YF와 K5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경량화에서 둘째가라하면 서러운 일본 차량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소나타가 스스로 광고에서 YF와 직접 비교대상으로 지정한(?) 캄리의 경우 YF F24보다 50kg가량이 더 나가는 수모를 당합니다. 더 웃긴 사실은 YF가 캄리보다 더 큽니다. YF는 캄리보다 0.5cm 더 길고 1.5cm 더 넓으며 0.5cm 더 높습니다. 유수의 저널들이 YF의 마켓 경쟁자로 어코드와 캄리를 듭니다만, 이들 차량보다 YF F24는 분명 가볍습니다.
그것은 그랜저 HG300도 마찬가지여서 3리터급 엔진을 탑재하는 유럽차량들은 이미 아오안(?)입니다.
심지어 5세대 골프 TDI모델보다 가볍습니다. 한국시장에서 직접 대결을 펼치는 알페온보다는 무려 205kg이 가볍습니다.
어코드 3.0, 렉서스 GS350 보다도 꼭 50kg에서 60kg정도까지 가볍습니다.
현대차와 비슷한 공차중량을 보여주는 메이커는 그나마 닛산계열입니다. (SM, Infinity 등등)
* 공차중량은 auto.naver.com을 참조하였습니다.
* 격한 토론을 기대합니다.

안전성, 사고 사진, 거기에 이제는 중량 이야기.
그제는 다음 아고라에서 보고 어제는 보배드림과 디씨 자동차 갤러리에서 본걸 오늘은 여기까지.
토론은 의미가 없고, 돈이 들어간 진짜 실험만이 의미가 있겠지요. 한국의 소비자보호원이 그럴 능력이나 의지가 없다는건 좀 아쉽습니다만은.
IIHS가 천정 강성을 테스트하고, 세단을 트레일러 후방에 충돌시키고. 그게 '토론따위' 보다 훨씬 가치있는 일일겁니다.
왜 토론을 해야 하나요?
“If you tell a lie big enough and keep repeating it, people will eventually come to believe it."
첫째, 실제로 자동차 전문가가 많을 현 커뮤니티에서.. 실체적인 문제인 것인지가 일단 궁금해서 전문가들의 허심탄회한 의견의 개진을 유도하는 측면에서 약간 자극적인 인트로가 있었다고 보시면 어떨까요?
둘째, 미미한 영향력을 갖는 개인이 아무리 청원하고 언론에 나부낀다고 해서 그렇게 변하는게 있을까요? 그냥 개인에 대한 집단의 린치로 왠지 결론지어질 것 같은 불안감... 그런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을 것 같은 테드에서의 공론화에 대한 일말의 기대감...
과연 자동차전문가 집단은 테스트결과 없이는 충돌안전성에 대한 토론에 대한 아무런 의미도 찾을 수 없는걸까요?
아무튼 후방충돌테스트(시트only가 아닌 차량전체에 대한)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아~~!!!
가벼우면 좋은거 아닌가요?
연비도 좋고, 무게당 마력비도 올라가고^^
유명 수입차들보다 경량화를 성공한 선진자동차 회사 인것 같네요.
현대가 가벼운 자동차를 만들수 있었던 가장큰 이유는
자체 철강회사에서 자동차용 특수강판(한개의 패널에 서로 다른 두가지 두께의 철판)을
개발, 생산해서 사용하기에 알루미늄이나 강화 플라스틱 같은 특수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경량화를 이룰수 있었다는 글을 본기억이 있습니다.
결국 소비자들이 큰 이익을 보는것 아닐까 라는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저처럼 현대차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가 현대차가 촤고다 라고 쓴것은 저처럼 헌대차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정도의
또다른 표현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제가 이런 논리적으로 비약이 있는 글을 쓴 이유는
요즘 현대차를 단지 사고사진 하나만을 보고 판단하는 일들이비일비제 하여
그와 같은 비논리적 사고에 입각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현대차가 국내 소비자에게 이익을 주었는지는 그 이익이 무엇인지 그리고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이 듭니다.
저같은 경우 값싸고 좋은차 라는 생각에 그간 현대차를 구입했습니다.
전 이익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가벼운 자동차로 다른 차들에 비해 조금이라도 높은 연비와
무게당 마력비 만으로도 큰 이익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실에서의 정반대 현상에 대한 입장 또한 박천규님과 저의 관점 차이 라고 생각이 듭니다.
결국.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은
현대차가 최고다 아닙니다.
하지만 현대 기아차를 근거없이 단지 사고 사진 또는 알려진 사실 (대우차나 기타 다른 차들도 비슷하거
같은 결함이 있고,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도 많습니다.) 로만 지나치게 비아하는 게시판 글들에대한
저의 소심한 경종 또는 저의 개인적 관점 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전부 다 떼고 샤시 무게만 비교해야 유의미하죠. 또 그것조차도 단순비교하면 안되고 따지고 들게 한두가지가 아니죠.
한마디로 무의미한 비교라는 겁니다.
차량의 안전도는 무게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섀시 설계에서 나옵니다. 뚱뚱하다고 맷집 좋은것만은 아니니까요.

완성차의 중량이건, BIW의 중량이건 간에 단순히 중량으로 토론을 하자면 차의 다이나믹 퍼포먼스나 연비밖에는 할 말이 없습니다.
안전성에 대한 토론을 원하신다면 완성차 바디의 설계 도면과 구조해석이 가능하다는 조건하에서나 의미있을 것입니다.
요즘 틈틈이 FEM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좀 들춰보고 있긴 한데 이정도 속도라면 저는 한 20년쯤 후에 레져카트 정도나 러프하게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테드에는 이런 분야에 능통하신 분들도 많으시다고 들었습니다 ^^

정확히 얘기하자면 BIW 무게 비교 또한 무의미하지 않겠습니까? 1950년대 이야기도 아닌데 무게와 안전성 사이에 선형 비례관계가 성립하는것도 아닐텐데 말이지요ㅎ

무게와 강성은.. 어떤 관련이 있는것인지...
무거우니 튼튼하고 가벼우니 약하다..
라는 논리는 .. 억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라세티프리미어 섀시 의외로 가볍습니다. (SL엔지니어링에서 라세티프리미어 레이싱카 바디강성 보강하는 엔지니어 말씀에 의하면 그리고 바디보강도 양산차로 믿겨지지 않을만큼 보강이 잘되어있다는거......)

외산차의 경량화는 하이테크놀로지.
국산차의 경량화는 원가절감..? ^^
공차중량 기준이 국산/외산 어떻게 다른지는 잘 모르지만.. 같은 옵션의 차 무게를 직접 달아봐도 천차만별이더군요.
이런 토론을..일반인이..(전문가라고 하시지만 실제로는 차를 좋아하고 관심이 많으신 분들입니다..직접 차체 설계를 해보신분이 있으시다면 모르겠지만...) 해봤자..결국 다 썰일뿐입니다..그래서 공인기관(?)의 시험 결과를 그나마 객관적인 자료로 믿고 있는거구요..
앞글도 그렇고 오늘따라 여러 분이 비슷한 논리로 글을 계속 올리시네요..덕분에 재밌게 구경은 하고 있습니다만~ㅋ
이상하게 외산차들은 경량화 관련해서 마케팅 포인트로 삼는데요..(차체 자체 또는 외장재의 재질변경(철=>알루미늄 등))
왜 현기차는 차체중량이 세계적으로도 톱클래스에 속하게 가벼운데, 이에 대한 마케팅활동을 펼치지 않는지 궁금하네요..
재질이 변경되지는 않은 것 같고.. 어떻게 경량화가 될 수 있었는지, 그 제조공정/메카니즘이 저도 궁금합니다..
같은 재질의 재료를 비교적 적게 써서 성능/안전 사양에 대응 가능한것도 일종의 기술이니까요~
미니멈의 미학이랄까요... ㅎㅎㅎ
대충 댓글의 논지는
"이런건 토론의 가치가 없다" - 장민석, 박진욱 님
"현기차에 대한 여론몰이다" - 홍석호님
"섀시 설계가 안전도의 핵심이다" - 김지웅님
"공차중량은 안전도와 관계가 없다" - 김균택님
"공차중량은 신뢰할 만한게 아니다" - 이익렬님
"공인기관을 믿자" - 한재민님
"현대차의 미션과 엔진이 가벼워졌다" - 이히규님
"외산차는 경량화를 마케팅으로 활용하는데 현대차는 왜 조용한가?" - 김충현님
등등이군요.
테드는 생각보다 "현대차가 가볍다"라는 사실에 대해 관대하군요.

이거 찾기 위해서 다른 회사들에서도 큰 돈들여서 티어다운 하고 연구 합니다. 간단하게 미화로 한 10만불 정도 듭니다. 차 한대 사는 가격이랑 저같이 중간에서 프로젝트 총괄 하는 사람이 버는 돈이랑, 실제 뜯는 사람들 인건비랑, 보험비랑 세금이랑 장소 임대 비용이랑, 전기세랑 물값이랑 각종 공구 구입비용이랑 다 합해서 말이죠. 그리고 그거 회사에서 10만불 내고 사간 내용이라 '대외비'에 속하는 내용이라 500페이지가 넘는 보고서 유출할 사람도 없고, 그거 입으로 일일이 이야기 해줘도 항상 "오프더 레코드"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죠.
얘기 나오면 손해라고 생각하는듯 합니다.
그래서 기자 시승차같은것에 굉장히 인색하다는 내용을 본적이 있습니다.
미국현대 사장 존 크라프칙이 경량화 비결에 대해 했던 말이 있습니다.
(존 크라프칙 모르시면 lean production 이라고 google 검색 해 보세요. 나름 혁명적인 사건입니다.)
(벨로스터와 뉴 엘란트라(MD 맞나요??) 북미 모터쇼 발표 이후)
(특히 벨로스터 중량에 패널들이 경악하던....)
모든 자동차 회사들은 제철회사에서 만드는 강판을 원재료로 차를 만든다.
거의 그들이 만드는 대로 가져다가 쓴다,.
그래서 경량화를 알루미늄같은 고비용 재료로 한다.
현대는 알루미늄바디를 통한 경량화를 안하기로 했다.
그래도 엄청나게 가볍게 만들 수 있는건 인하우스 제철소가 있어서라고...
300명 넘는 metal engineer 들이 현대 기아차를 위한 강판만을 연구한다고 하고...
그 결과로 다른 어떤 자동차 업체에서도 이룰 수 없는, 원하는 대로 강판을 만들 수 있다고 했어요.
현대가 원하는 대로, 현대만의 레시피로 만들어 진 현대차용 강판.......
(더 부연설명이 있었는데 가물가물 하네요,.)
이정도면 설명이 되려나요.......
Lean production은 토요타식 생산방식에 대한 것으로 경량화와는 상관 없어보이고요.
고장력 강판에 대한 기사는 블룸버그에 있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현재 현대차의 high-strength steel 적용률이 18%지만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그룹 제철소의 활약을 기대한다는 내용입니다. 2015년까지 10%의 경량화를 이루겠다는 내용이구요.
하지만 북미생산 혼다와 어큐라 모델의 경우 2001년부터 High-Strength Steel을 사용하여 현재 50%의 적용률을 보여주고 있다며 2010년형 혼다 오디세이 미니밴의 경우 적용률이 59%라는 사실을 밝히고 있습니다.
기사에서 알수 있는 내용은 2011년 2월 현재까지 현대자동차의 북미라인업 고장력 강판 적용율이 18%에 불과하다는 사실이죠.
공차 중량이 의미가 있을까요?
지금 이슈가 되는게 사고시 변형에 따른 것인데요.
그렇게 따진다면 BIW 무게만을 측정을 해야하지 않나 합니다.
어차피 엔진무게 다를테고 미션무게 다를텐데 사고시 차체 안전도만을 놓고 본다면 BIW무게만 가지고 이야기 해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