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얼마전 고속에서 풀브레이크를 해봤는데 그냥 서는게 아니라...
뒤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불안해지던데 이거 어떻게 잡을수 있을까요??
진짜 이러다 사고나겠다 싶을 정도로 흔들리네요.... VDC까지 개입할 정도니....
차종은 md입니다....

풀브레이킹은 전륜에 하중이 걸리고 후륜은 붕 뜨게 되니 당연히 뒤가 털리겠죠.
후륜구동 차량의 경우 뒤가 뜨는 현상이 적다고는 하나 사륜의 하중이 균등히 쭈욱 미끄러지니 뭐 차이가 없는 듯하네요.
살 살 다녀야죠 뭐.

리어쪽 패드를 업그레이드하시면 후륜쪽 접지가 향상되면서 밸런스가 더 좋아지지 않을까요?
일례로 바이크도 속도가 붙은상태에서 프론트만 제동을 걸면 좌우로 스티어링이 흔들리는데 프론트와 리어 모두 제동이 가해지면 차체가 바닥으로 고르게 눌리면서(체감이 와닿을정도로) 몇배이상은 제동력이 강해지고 흔들림없이 정지해줍니다.
MD의 경우 리어 서스펜션설계자체의 에러라면.... 패드를 업그레이드시켜주는 것으로 어느정도 나아질것같으나 고부하브레이킹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것같네요

굉장히 위험한 튠이란 생각입니다. 일반 양산차에 프론트브레이크와 리어브레이크의 제동비율을 무시한채 리어브레이크 제동력이 강하게 만드는건 자살행위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ebd abs가 이런 이상한 튜닝을 상쇄시켜주긴 하지만 앞이 무거운 전륜차가 순간적으로 후륜 락킹과 함께 약간의 스티어링이 들어간다면 이런 움직임을 감당할만한 일반운전자가 얼마나 될까하는 생각입니다.
트랙타는 사람들도 프론트브레이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것이 아닌 단순히 리어브레이크만 확장 하는 차들은 거의 못봤습니다.
실차는 못해보고 LFS에 잠시 빠졋었던 기억이 있는데... 데모버젼에선 FF FR 오픈휠 차량 요 새가지만 있었죠.
FF차로 오버를 내고 싶어서 브레이크 벨런스를 뒤로 바꾸니...기록단축은 커녕 뒤가 돌아가버리더라구요. 스핀의 연속 ㅎㅎ
자전거를 타고 뒷브레이크를 강하게 잡고 앞브레이크를 약하게 잡으면 여지없이 뒷바퀴에 락이 걸리죠.
여튼 자동차에는 뒷브레이크만 강화하는건 아니라고 봐요 저두. 제동시 하중자체가 앞으로 쏠릴께뻔하니깐요
그리구 바이크와 자동차의 공통점은 오직 엔진이 달렸다고만 보는 1인입니다
얼마전 로드윈 펄아이를 몰아본적이 있는데...나름 버스도 몰아보고 해서 '에이 125cc야 껌이지'하다가 막상 주행하니 감당않되서 황당했엇네요 ㅎㅎ
바이크는 앞뒤 따로 되어있잖아요 하지만 자동차는 일정 베율로 같이(혹은 시간편차를 두고) 작동하니 4륜차만 모는사람은 잘모르겟다...하는 감각이 있더군요.
리어 업그레이드 = 브레이크 배분을 뒤로 쏠아줌
저도 실제로 프로포셔닝 밸브가 달린 차를 갖고 놀진 못해서 자전거와, 게임 경험밖에 없는데요, 최적의 밸런스 앞뒤가 있는데 (순정이 꼭 최적이란 말은 아닙니다)
앞이 강함 : 트레일브레이킹 불가, 제동거리 증가, 앞바퀴 소모 심각, 뒷바퀴는 안 잠겼는데 앞이 먼저 잠김
앞이 너무 강함 : 제동거리 무섭게 늘어남
뒤가 강함 : 제동거리 증가, 트레일 브레이킹시 스핀 위험
뒤가 너무 강함 : 제동거리 의미가 사라짐, 직선에서 브레이킹 해도 좌우 질량차이와 도로 굴곡 때문에 스핀.
정확히 말하면 뒷 브레이크가 뒤를 눌러주는게 아니라, 앞브레이크에 비해 같은 제동력 사용할 때 뒤가 뜨는게 적은거겠죠. 무게중심과 브레이크 작용점의 위치 때문에요.
타이어 순정이시면 타이어 부터 바꿔보세요.
전에 타던 폴쿱의 경우도 순정때는 같은 증상이었지만
1. UHP타이어 교체후 많이 좋아졌고
2. 아이박프로킷+빌스댐퍼로 서스 교체후 더욱 좋아졌었습니다 .

승엽님 말씀처럼 타이어교체부터 해보세요
빗길좋은 PS3나 가성비좋은 전천후 LE스포츠, 소음은 크지만 가성비 최고인 N9000
셋중에 하나 가시면 좋을거 같네요
겨울엔 다시 순정타이어로 돌리시거나 윈터끼우시고요^^
운전이 정말편하고 안정적이라고하네요.아마 그곳에가면 데모카 운영중인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 비싼가격은 아니구요... 다만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니면 순정부싱과 필로볼 사이의 적정타협선인 우레탄부싱같은것도 있습니다.

정말 간단한 방법인데 양손으로 핸들을 꼭 파지하고! 부드러우면서 점진적으로 풀브레이킹을 하면 됩니다. 의외로 풀브레이킹하면서 핸들을 미세하게 터시는분들이 많습니다.

만약에 초기형이시라면
후륜 서스펜션을 개선했다는 후기형으로 몇가지 부품을 교체하면 좋아지지 않을까 하는 짧은 생각입니다.
나온지 20년도 더된 쏘나타2,3는 abs가 없이 풀브레이킹을 해도 저러지는 않았던 기억이...
어차피 전륜특성상 엔진이 후륜처럼 보닛 한가운데에 있지못해 좌우 무게배분이 불리해서 풀브레이킹 시 발생하는 관성의 차이로 흔들림의 차이가 생기는 만큼, 제조사가 그걸 감안해서 시스템을 만들어주지 않는 이상 극복은 어렵다 봅니다. 그렇다 해도 증상을 완화하려면, 타이어 교체나, 전륜 패드 교환 정도인 것 같습니다.
하중이 빠지는건 어쩔 수 없는거고, 뒤가 움찔거리는다는건 서스펜션 행정 시에 토 값이 변하거나 트러스트 각도(thrust angle)이 변해서 그런거 같은데, 주문제작 일체형으로 서스펜션 스트록을 제한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문제작이니만큼, 스트록이 줄어든 만큼 스프링 레이트와 댐핑은 강해져야겠지요)
제 경우 서스펜션 행정에 따라 얼라인먼트가 변하는건 얼라인먼트 기계에 물려놓고 트렁크 가장자리에 몇 명 앉았다가도 해보고, 얼라인먼트 기계 가운데에 걸쳐있는 유압 잭으로 견인 고리를 받치고 뒤를 들었다 놨다 하면서 봤습니다. 제 차는 (다행히도?) 뒤 차고가 올라가면 토 인, 뒤 차고가 내려가면 토 아웃이 되더군요.
그냥 제 상상 실험입니다. 정답은 아니니 이쪽으로 생각해보시면 어떨까..
앞서 많은불들이 좋은 의견을 주셨네요.
먼저 비용이 가장 적게드는 부분부터 시작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첫번째, 운전 방법을 바꾸는것.
고속 브레이킹시 핸들 움직임을 최대한 줄여서 직진 상태로 제동해보는식으로 방법을 바꾸시거나, 제동 초기 감속도를 높이고 제동하면서 브레이크를 릴리즈 조작으로 차량을 거동을 살피는 방법으로 제동 안정성은 높이는(?)방법이 있겠네요.
차의 근본적인 문제니.. 만약 이런 방법이 스트레스라면 다음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겠죠ㅋ
두번째, 리어 타이어를 바꿔주는 방법입니다.
리어 타이어를 흔히말하는 싸이드월이 좀 단단하고 전륜대비 높은 그립의 타이어로 바꾸는것도 방법일수 있습니다.(제 사견입니다만 타이어도 하중이동에 둔감한 녀셕들이 있습니다. 이런 타이어들로 장착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MD같은 토션빔 타입의 샤시들이 고속영역에서의 한계가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타이어 빨이 좀 있어야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겠네요.
세번째, 일체형 서스펜션 /스프링 댐퍼 조합니다.
앞서 말씀해주신것처럼 서스팬션 스트로크 변화는 휠 얼라이먼트의 변화를 가져오게 합니다.
이런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는 일체형이나 스프링 댐퍼 조합으로 바꾸셔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의 경우 스프링 댐퍼의 조화성과 전륜 후륜의 밸런스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전문가들과 상담하시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 네번째는 역시 필로우볼 이겠네요.
토션빔 타입의 경우 리어 빔이 차체와 연결되어 있는 피봇 포인트가 2 포인트 밖에 되질 않습니다.
이 부분으로 승차감도 핸들링 성능도 다 버텨야하기 때문에 부쉬 특성이 리어스테빌리티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렇기에 컴플라이언스가 거의 없는 필로우 볼이 좋긴하지만 승차감 진동 내구성능을 생각한다면 그 또한 고려해봐야 할 부분입니다.
만약 초기형 MD라면 최근에 나온 MD차량 부쉬로 변경하는것을 추천 드리지만...
실제로 부품 판매점에서 개선품과 기존부품을 구분해서 파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차근차근 풀어가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하지만 잘못만들어진거면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어 보입니다....


경험상 제일 괜찮았던 조합은 바디보강 중에 휀다보강 같습니다. 전에 타던 차도 그랬고 지금 타는 차도 물론 후륜이 멀티링크이긴 하지만 강하게 브레이크를 때리면 하중이 앞으로 쏠리다 보니 리어에 접지가 사라지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그래서 다운힐이 그만큼 더 무섭고 위험한 것이겠죠.) 특히 가볍고 일체형 쇽에 바디보강까지 되어있던 전에 타던 차는 아무리 강하게 브레이크를 때려도 후륜이 털리거나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새로 들인 차는 육중한 몸무게 때문인지 아무짓도 안한 상태에선 강하게 브레이크를 때리니깐 앞으로 숙여지는 것도 그렇고 그러면서 자연스레 뒤가 털리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주변에 같은 차종 (NF)에 휀다보강한 차를 타고 똑같이 해보니 앞에 숙여지는 것도 꽤 감소하고 뒷부분도 털리겠다는 느낌은 안들었습니다. 지금 차에도 해줘야 하는데 이거 뭐 결혼준비한다고 실탄은 끊임없이 들어가니 얌전히 다니는 수 밖에 없네요;;
각설하고 휀다보강을 해보시는게 어떨까 라고 조심스레 말씀 전합니다.
그리고 위에 정지문 님이 말씀해주신대로 핸들은 꼭 두손으로 잘 붙잡고 방향이 틀어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저도 몇번 해봤는데.. 본능적으로 핸들을 돌리게 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슈퍼드X리프에서 판매하는 레트럴로드(?) 또는 Z링크 장착한 벨텁을 많이 타보았습니다. 친구차라서 자주 밟아봤지만
솔직히 돈 값 못하는 거 같더군요. 미세하게나마 좋아지는지 모르겠으나 여전히 피쉬테일이 발생하더군요.
프라이드디젤 타는 동생도 피쉬테일이 있는데 오히려 뒤가 아닌 앞쪽의 부싱을 필로볼로 바꾸고 개선되었다네요.
브레이킹시 앞쪽에 하중이 가해지고 그 하중에 의해 고무부싱들이 일정하고 똑같게 움직여줘야 하는데 그게 양쪽이
들쑥날쑥 차이가 나서 발생하는 듯 싶습니다.
뒤쪽을 하이그립으로 써보시는 건 어떨까요? 더 좋은 해결법은 테드의 많은 고수님들께 일단 패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