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한 자동차 유명사이트에서
직분사 방식을 사용하는 차량에는
고급유만 넣어야 추후 엔진이 카본으로
도배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말씀하시는 분이 계셨습니다
예전에 독일 A사 차량의 헤드를 탈착하여
직분사 엔진의 현실(?)을 보여준 사진을
본적이 있습니다. 온통 카본 범벅이더군요..;;
사실 현기차 직분사 기술을 아직 신뢰하지
못하는 입장에서 기술적으로 완벽히
이해하진 못했지만 고급유만 사용하면
엔진이 카본 범벅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혹시 이 사실이 일리가 있는 말인지
전문가님들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인 듯합니다. 밸브포트의 카본퇴적문제는 연료분사위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FI(Port Fuel Injection): 밸브오픈 전, 흡기포트내 연료분사함으로 밸브뒷부분의 세척이 가능.
GDI(Gasoline Direct Injection): 압축공정 후반무렵 기통내 고압직접분사, 흡기밸브로부터는 공기만 받아들이지요.
따라서 고급유와는 밀접한 관계는 없다고 봅니다. 참고로
직분의 역사는 1954년 메르세데스벤츠 300SL로 부터 이며 앞으로, 가솔린 내연기관의 주류는 배기가스, 토크향상 그에따른 다운사이징 에 메리트가 있는 스토이키 직분사이 될 것으로 업계에선 내다보고있습니다.
직분이 PFI 대비 좋은 이유는
기통내 연료분사시 가솔린 휘발성에 따른 온도저하(24도~55도)=고압축비 실현(=체적8%감소)
등으로 노킹에도 강하고 압축비도 2정도 올라가서 토크도 10%정도 올라가며,
연소패턴을 디자인 할 수있어 (플러그 부근은 연료를 진하게, 그 주위는 희박하게) 초기예열시에도 연소가 안정,
조기에 촉매를 데워서 배기가스에도 유리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고급유를 권장하는 이유는 밸브포트 카본이 아니고, 상기 제가 설명한 GDI 장점 중 기통내 가솔린 휘발에 따른 온도저하 그에따른 압축비 향상 부분에서 더욱 극적효과를 노리기 위해서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압축비가 기존 PFi 대비 2정도 높아서 한 12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근본적으로는 EGR을 통해서 들어오는 오염물질 및 카본때문에 벨브,해드에 카본이 침착되는 걸로 알고 있구요 EGR 에 배압,배기온센서가 없다면 플랜지를 대서 막는것도 한 방법이 되겠지만(환경적으론 물론 해서는 안되지요).. 디젤에 비해 가솔린의EGR은 펌핑손실 감소의 역활을 하기도 하기 때문에 EGR을 막아버리게 되면 출력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지요.. 다만 과급직분사의 경우 터빈이 엑셀오프시에도 어느정도 과급을 해 주기 때문에 펌핑손실은 자연흡기보다는 적을걸로 생각됩니다.
참고로 국산 및 유럽산 가솔린엔진에는 아직 외부EGR이 장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배가가스규제 및 연비향상을 위해서 쿨링 EGR 시스템이 가솔린엔진에 도입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연수님께서 우려하시는 부분이 부각될 것입니다. 카본은 고온 저온 반복하면 끈끈한 성분에서 수지성분으로 고착되기에 밸브작동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밸브다 완전히 안 닫히는 문제를 야기하게됩니다. 그럼 흡기가 리크되어 부조, 기통내 혼합기 역류, 압축비저하에 따른 출력저하로 이어지는 거지요.

기술적인 부분은 전혀 모릅니다. 다만 출고하고 2년여를 넘게 고급유를 넣다 금년초부터 일반유로 갈아탔는데 동절기에 접어 들며 소음이 증가하는 등 뭔가 찜찜한 기분이 들어 다시 고급유로 갈아 탔습니다. 한 세 번 정도 주유한 거 같은데 확실히 예전과 같은 소음은 줄어 들었네요. 출력 증가 이런 건 전 잘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200 마력대라... ㅜ.ㅜ 근데, 고급유를 넣으면 냉간시 알피엠 안정화가 확실히 빠릅니다. 사실 고급유인지 뭔지 알 수도 없는게 솔직한 소비자 입장에서의 생각이지만, 뭐 그렇게 따지니 일반유도 마찬가지겠더군요. 석유품질관리원인지 뭔지 하는 기관이 그렇게 허술하지 않을 거란 믿음으로 걍 고급유를 넣고 있구요... 전 틈나는대로 5000 이상 돌려줍니다. 카본 침착을 줄이는데 도움이 좀 되지 않을까 해서요. ^^ 밸브 클리너니 인젝터 클리너니 이런 것도 사실 주기적으로 신경 쓰면서 넣을 정도로 제가 꼼꼼하지도 않구요. 여튼, 고급유와 직분사 시스템의 카본 침착은 큰 연관성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것보단 오히려 잦은 정체 혹은 근거리 이동에 따른 엔진 피로 누적 등 환경적인 요인이 더 크지 않을까 싶네요.
EGR 막고 (ㄷㄷㄷㄷㄷ 불..법?!) PCV 막고 엔진블럭에 쬐끄만 필터 하나 꼽아주시면, 흡기에 카본 들어올 이유가 없으니... 괜찮지 않을까요

메인터넌스 스케쥴에 카본 청소하는게 들어갈듯 싶습니다.
RS였던가요? 그 차도 1년만 타도 카본퇴적으로 40마력씩 차이난다며 막 글 올라오던걸 봤거든요.
사진으로 보신 A사나 B사의 직분사 엔진 모두 고급유 사용을 권장하는 차량들이었던 것으로 압니다...
그러한 이유로 별 차이 없을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