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오늘도 퇴근 길에 사고가 날뻔한 것을 겨우 모면했습니다.
바퀴 달린 것들끼리 선로도 없이 다니다 보면 위험한 상황이 한두번이겠습니까만, 우연의 연속이라 하기에는 경향성 같은게 보여서 조금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일인고 하니 제가 제 차선을 잘 지키면서 정속주행을 하고 있는데 옆차선의 운전자가 제가 바로 옆이거나 살짝 더 앞에 가고 있음에도 제 자리를 그냥 침범합니다. 여지것 정차중이 아닐때 유일하게 사고가 난 (당한) 것도 고속도로 정체구간에서 옆차선의 버스가 제 문 뒤를 옆에서 들이받은거네요. 주로 제가 우측차선으로 운행 중일때 좌측 촤선에서 제쪽으로 들어옵니다.
제가 우측차선에서 엄청나게 과속을 해서 상대가 한번 미러를 확인하고 진입하려는 사이에 제가 앞으로 나간거면 모르겠지만 그런 것도 아니고 아주 얌전하게 가던 중에 깜짝 놀라게 만듭니다. 제 앞으로 칼치기를 하려는걸 말하는 것도 아닌게 제 시야각 한계쯤에서 들어오려는게 보이기 시작하거든요. 대응할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제가 이미 살짝 앞에 가고 있고 바로 옆차선에서 빠른 속도로 들어오려 하기 때문에 급정거를 해봤자 오히려 위험할거라는 생각이 들고 선택지는 어디 한번 받아봐라 하고 핸들 꽉 잡고 가던지 반대편 차선으로 피하던지의 2가지 밖에 없다고 봅니다. 여태까지는 항상 후자의 조치를 했는데 다행히도 옆차선에 다른 차가 가던 일은 없었습니다.
분명 그 여파로 제 차만 어딘가에 충돌하면 전적으로 제 책임이 될 수도 있다는걸 알지만 본능적으로 피하게 됩니다.
(사실 이런일이 하도 빈번히 발생하다 보니 이제는 옆을 아주 잠시 확인할 여유 정도는 생긴 것 같기도 합니다)
차체가 검고 낮아서 잘 안보이는 걸까요? 평균적이라 생각되는 소나타를 기준으로 비교해보니 전고가 대략 25cm 정도 낮은 모양입니다. 이런 짓(?)을 제일 자주 저지르는게 SUV라서 더욱 의심이 가는데 제가 SUV를 운전해 본 일이 거의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주변에서 SUV는 높아서 시야가 넓어서 운전하기 편해- 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만 (저는 다른 이유로 불편했습니다만) 그 시야라는 것도 수직 방향으로는 바로 옆에 가는게 보기 어려울 정도로 제한이 되는 걸까요? 보통 차선 변경을 위해 옆 (옆뒤가 아니고 바로 옆)을 확인하면 그 정도 높이 차로도 아예 안 보일수도 있는 걸까요? 아니면 그냥 운전 습관들이 영 거시기해서 옆도 안보고 들어오는게 생활화가 되어 있는 걸까요?
오늘의 경우는 그냥 세단이었습니다. 잘못한건 아는지 비상등 깜빡이는 켜고 가니 고의는 아니었을거라 생각 합니다.
그을쎄요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제 앞에 가는 차가 아니고 제가 이미 옆으로 지나가고 있는데 옆에 있는 (앞이 아니고) 제 쪽으로 쑥 들어오니까 말이죠.
헌데 유독 SUV만 그런 일이 쌓이다 보니 특정 차량 운전자의 특성으로 일반화 하기 전에 차량 자체에 뭔가의 구조적인 맹점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정상 참작의 여지'를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저도 말씀하신 것과 비슷하게 평소에 합류 같은 것을 할때에 왠만해서 정상적으로 끼어드는 사람은 다 끼워주고 막 들어오는 사람에게는 간격을 안 주려고 합니다. 헌데, 상기하신 어설픈 간격을 주지 않기 위해 저도 상대의 행동을 보고 그에 맞춰 추월을 하거나 가도록 내버려두거나 하지만 그런 선택을 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중에 난데없이 예측 불허의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좀 무섭습니다.
정확히 운전습관이 어떠신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같은 경우는 습관적으로 좌우 사이드미러 백미러를 수시로 보면서 말씀하신 상황같은 경우가 일어나기 전에 엑셀량을 좀 더 가지고 가거나 좀더 왼쪽차선으로 붙어서 그런 상황을 안만드려고 노력합니다. 일단 안전거리 유지를 가장 중요시 여기기에 평소에 항상 앞에 공간이 있어 위급상황시 대처할 가능성을 만들어둡니다. 이렇다보니 시내 운전할때는 항상 몸이 긴장상태라 운전하고 나면 피곤하네요. 제가 운이 좋은 것이였는지도 모르겠는데, 로터스와 비슷한 급의 차고의 차량을 운행했음에도 위험한 상황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제 차도 아마 로터스 엘리스와 비슷한 정도의 높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같은 종류이기도 하고요.
저도 여유가 있을 때 마다 차선 유지 중에도 수시로 좌우 사이드 미러를 항시 보면서 운행하고 있고 안전거리는 최소한 같은 길에 가는 사람과 비슷하거나 제 반응속도나 제동거리에 충분하게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가 설명이 부족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본문의 경우는 우측 차선으로 나가야 해서 우측 차선으로 가고 있을 때 발생하는 것이라 왼쪽 차선으로 붙는게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왼쪽으로 추월해서 가고 있는 중 (급차선 변경도 아니고 차선 잘 지키며 가던 중) 에도 그런적이 꽤 있거든요. 저도 답답한 것이, 안전 공간이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꼭 저런 돌발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겁니다. 그 역시 반복되다 보니 이제 크게 놀라지는 않지만 더 이상 뭘 더 안전하게 해야 하나? 라는 느낌이네요 ;ㅅ;

우선은 엑셀조작으로 끼어들 여지를 주지않도록 하려는편입니다
그리고 차종에 따라 다르겟지만 흐리거나 비오는날
무조건 전조등을 켜는 버릇을 합니다.
미리 상향등을 한번씩 습관적으로 키며 달리는 방법도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년이 평안하도록 고사를 지내줍니다;;
버스는 의외로? 사각지대가 없습니다.
순정 사이드미러만 6개가 달려나오기 때문에 사각지대 때문에 사고를 당하신 건 아닌 듯 하고요.
사고 시 버스 운전자가 김태욱 님의 경로를 예측하고 차선변경을 시도하다가 들이받은 듯 합니다.
당연히 이 속도로 진행하겠지.. 라는 생각에 스티어링을 틀었는데, 김태욱님께서는 버스운전자의 생각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여주신 것 같네요. 명백히 버스의 잘못이 아닐까요? 유독 사고의 위험이 잦다는 것은 본인의 운전습관의 문제도 있을 수 있지만 본문에 설명해주신 김태욱님의 경우는 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그렇군요.. 저는 심증이지만 버스 기사 분이 못보신게 아니라면 순간 졸음 운전을 하신게 아닌가 생각해요.
당시 고속도로가 많이 막혀서 차선이 아닌 임시로 만들어진 행렬이 합류하던 구간이었는데, 저는 제 열을 따라 가던 중이고 버스가 제 열 쪽으로 들어오는 상황이었고 제가 속도를 높이거나 간격을 넓혔다 좁혔다 한건 아니거든요.
일정한 속도로 가다가 문 뒤쪽을 받혔기 때문에 그 분도 내려서 보더니 '제가 보험 처리해드려야죠'라고 바로 말씀하셨어요.
(물론 전세버스공제조합이라는 집단의 해석은 많이 달랐고 제가 그날 외국 손님들 맞으러 가느라 물증 확보하고 할 시간이 없었기에 차후에 아주 말도 안되는 처리에 동의해 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정말 파렴치한 집단이더군요)
틈이 없는데도 깜박이만 넣고 억지로 끼어드는 운전자들이 너무 많습니다.
네가 피하겠지...라고 생각하는 '개인주의를 넘어선 이기주의식 운전자' 말이예요.
끼어들고서 비상깜박이를 켜면 그나마 나은데 어떤 경우는 그것도 습관적으로 하는 운전자들도 자주 보입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야 변하겠지만 정말이지 한국의 슬픈 현실입니다.
그런일도 가끔은 있습니다. 자기가 흠칫 놀라거나 미안하다고 비상등 켜는 것 없이 아주 당당하거든요.
황당해서 경적 울려도 반응도 없는 경우도 있더군요.
그런데 많은 경우에 그 보다는 제차가 있는걸 보고 놀라서 주춤 하거나 합니다. 가만 생각해 보니 전에 제 차량 포럼에서 본 롤바가 필요한가에 대한 스레에서 트럭이나 SUV 들이 우리 차가 작고 낮아서 잘 못보는게 문제다 라는 글을 본 적이 있는거 같습니다. 그게 저와 비슷한 경우에 대한 이야기였는지는 모르겠네요.
사실 제가 글을 쓴 주 목적은 운전자들에 대한 비판 보다 수직 방향으로 전고차가 많이 나면 안보이기 쉬운가에 대한 구조적인 면에 대한 궁금증의 해소였습니다. 오히려 버스처럼 아예 높으면 모를까 어설프게 높으면 바로 옆 차선의 차는 수직 방향으로 잘 안보일 수 있을까요? 전고가 대략 1.23미터 입니다.
제가 운전 경력 자체가 길지 않아서 아직 많이 조심해서 하는 편입니다.
해외에서의 운전은 더더구나 적기 때문에 한국이 다른 곳에 비해 어떤지에 대한 비교는 어렵네요
3주 남짓 미국에서 렌터카로 운행한 경험을 토대로 생각하자면
거기도 대도시는 좀 무질서해지는 경향이 있더군요
그런데 길 자체가 구 시가지 아니면 더 넓찍하고 차량 밀도도 낮은 곳은 아무래도 사고나 운전자간의 마찰 소지도 적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체적인 '운전 매너'라면 한국이 미국에 비해서는 아직은 좀 부족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주관적인 감상)
상대차의 사각에서 주행하고 계시니 그럴수밖에요. 상대차가 사이드미러 쓰는 법을 하나하나 고쳐줄 수는 없으니 방어운전 하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작정하고 사각으로 들어가서 대기하면서 사고 날 짓만 해봐라하고 벼르고 있는게 아닙니다 ㅠㅠ
방어운전은 항상 하고 있고 그래서 아직은 사고가 안난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상한 행동을 하는 놈이 있으면 상황이 정리 되기까지 거리를 두기도 하고, 추월이나 가속은 충분히 안전하다고 생각할 때만 합니다. 저도 제 시야내에 있는 차량이라면 이러한 행동을 할 수도 있겠구나 하고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가지만 제 시야 밖의 차량의 뜬금없는 행동까지 다 캐치하기는 어렵네요. 모든걸 다 보면서 운전할 수 있다면 최선이겠지만 정보처리량이나 반응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두고 가장 치명적이거나 위협적, 있음직한 것 위주로 밖에 대응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설마 그런일을 할거라고는 좀처럼 생각하지 않았기에...
물론 저도 부주의 하거나 실수를 저지를 때가 있지만 제가 당하는 일이 압도적으로 많다고 느낍니다.
다시 생각해 보니 제가 우측 차선에서 좌측 차선의 차를 앞질러 가는 일을 줄인다면 이런 상황의 빈도도 많이 줄지 않을까 합니다. 정속 주행이기는 하더라도 그리 바람직한 일이 아니군요. 상대가 들어올 의사가 보이지 않더라도 왼쪽차선에 느리게 주행하는 차가 있으면 끝까지 거리를 벌리고 더 느리게 맞춰 가주는게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본문에서 든 예시와는 조금 다른 경우이지만 1차선에서 속도 제한의 반 정도로 느리게 가는 차들을 우측 차선으로 앞질러 가거나 할 일이 꽤 있습니다. 테드의 다른 글에서도 이런 1차선 저속점거에 대한 비판이 많이 보이기는 합니다만, 기어코 우측 차선으로 추월할 때는 그런 불상사를 충분히 감수할 만한 마음의 준비는 해야겠네요.
기준은 각자 다르므로 감히 단정할 수 없지만
개개인이 생각하는 안전거리유지 간격이 애매할 수 있습니다.
'전쟁을 원치 않는다면 전쟁을 준비하라'는 명언(?)이
제 운전습관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변명하지만,
조금 피곤해도 들어올 공간 자체를 안 주려 합니다.
물론 시그널과 함께 정상적인 끼어들기는 허용하고요.
러시아워 피크의 극심한 정체를 오전/오후 겪으며
가만히 보면 어설픈 간격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은
언제나 불안정합니다. 앞에서 들락날락하니 잦은 브레이킹이
수반되며 결국 이것이 전체적 흐름을 방해하고
지체/정체의 근본적 원인 중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차들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 되면서 모든 추월에 무리가 없으니
시그널만 주면 그저 감사할 정도로 구타유발자들이 날뜁니다.
김태욱 님의 탓으로 돌리고자 함은 아니며,
SUV의 특성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아
함께 솔루션을 찾는 의미로 해석해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