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미국에서 가져온 2004년식 XG 350 (23000마일, 37000킬로 주행)에 check engine불이 계속 들어왔다 나갔다 하기를 몇년째 되었습니다. 진단해보면 fuzzy eva problem이라고 떠서 2006년에 그쪽 controller도 교체했지만 1년정도 지나자 또 불이 오락가락해서 다시 현대 남부영업소에 들어갔습니다 (아직 보증기간이 1년정도 남아있어서-5년 6만마일).
진단해보더니 같은 문제가 뜨는데 이번에는 연료 주입구쪽에 있는 오일필터가 있는데 그게 수명이 다 되어서 그렇다. 이건 소모품이라 교체 해야한다고 하여 교체했습니다. 그러면서 소모품이라 이건 무상 AS가 되지 않는다고 하여 23000원정도 비용을 지불했습니다.
국내 차에는 없고 미국 환경 기준을 맞추기 위한 부품이라고 하는데 정말일까요?
국내에 다른차를 많이 몰아봤지만 한번도 그 부품을 갈아본적도 없고, 지금 타고 있는 CR-V는 6만킬로 가까이 가는데 그 부품에 대한 언급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대차 자체의 관리 매뉴얼에도 그 부품을 주기적으로 검사하거나 갈아야 한다는 어떤 언급도 없구요.
혹시 그런 경험이 있으신분이나 조언 주실분 계신가요?
진단해보더니 같은 문제가 뜨는데 이번에는 연료 주입구쪽에 있는 오일필터가 있는데 그게 수명이 다 되어서 그렇다. 이건 소모품이라 교체 해야한다고 하여 교체했습니다. 그러면서 소모품이라 이건 무상 AS가 되지 않는다고 하여 23000원정도 비용을 지불했습니다.
국내 차에는 없고 미국 환경 기준을 맞추기 위한 부품이라고 하는데 정말일까요?
국내에 다른차를 많이 몰아봤지만 한번도 그 부품을 갈아본적도 없고, 지금 타고 있는 CR-V는 6만킬로 가까이 가는데 그 부품에 대한 언급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대차 자체의 관리 매뉴얼에도 그 부품을 주기적으로 검사하거나 갈아야 한다는 어떤 언급도 없구요.
혹시 그런 경험이 있으신분이나 조언 주실분 계신가요?
2008.08.04 11:56:56 (*.134.207.82)
답변 감사합니다. 정비 기사분 얘기로는 지금 얘기하신 내용의 필터가 맞습니다. 국내차에는 장착되지 않다가 최근나오는 차들은 장착하기 시작했다고 하던데요. 그런데 그 부품 수리후에 잔여 주행거리뜨는게 이상해졌네요. 다시 AS 들어가야 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대가 수출용에도 그런 필터를 사용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없어 조금 의심스럽습니다만...
1) 기본적으로 필터는 warranty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하지만 evapo leak 방지 필터 (일명 hc 흡착필터)는 반영구적인 제품입니다..
3) 교환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어봅니다...
제가 답변드릴만한 내용은 이정도네요..
단지, 이 hc흡착필터를 xg에 이미 사용했다면, 그리 성능면에서 만족스런 제품은 아니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왜냐면 현재도 현대가 hc필터 메이커를 찾고 있는중이니까요..
암튼 다음번에 정비소에 가실 일이 있으시면 정확히 품명이 뭐라고 찍히는지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