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아래 글을 보다가 궁금한게 생각나서 올립니다.
예전에 다른 곳에서 경량휠을 장착할경우 고속가속이 더딜수도 있다는 글을 본거같은데
실제로 그러는지 궁금합니다.
경량휠이 노면도 많이 타는 느낌으로 튀고 그러는데 그런 이유때문인지..?
예전에 다른 곳에서 경량휠을 장착할경우 고속가속이 더딜수도 있다는 글을 본거같은데
실제로 그러는지 궁금합니다.
경량휠이 노면도 많이 타는 느낌으로 튀고 그러는데 그런 이유때문인지..?
2008.09.17 12:15:59 (*.140.146.177)

좀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위에 단 악셀오프시의 회전관성이 좋아 고속에 좋다..란 주장은,
악셀을 떼도 속도가 잘 안줄어서 고속을 유지하기 좋단 주장인데,
악셀을 떼면 속도가 잘 줄어야하는게 당연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악셀을 밟으면 그만큼 바로 가속이 되어야하는게 당연하구요.
그 정도 악셀 유지하기가 부담스럽다면 고속을 달린다는게 넌센스라 생각합니다.
위에 단 악셀오프시의 회전관성이 좋아 고속에 좋다..란 주장은,
악셀을 떼도 속도가 잘 안줄어서 고속을 유지하기 좋단 주장인데,
악셀을 떼면 속도가 잘 줄어야하는게 당연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악셀을 밟으면 그만큼 바로 가속이 되어야하는게 당연하구요.
그 정도 악셀 유지하기가 부담스럽다면 고속을 달린다는게 넌센스라 생각합니다.
2008.09.17 14:14:29 (*.39.213.85)

저의 경우 100키로 부터 계속 치고 올라갈 경우 12키로짜리 18인치 모모휠을 끼웠을때가 10키로짜리 레이즈 SS7 18인치를 끼웠을때보다 200키로 이상의 고속에서 속도 붙는게 더 낫더군요...
그리고 18인치 휠을 끼웠을때가 지금의 17인치 워크 CR KAI 끼웠을때보다 200키로 이상에서 더 빨리 속도가 붙구요..
저의 경우 정차시 출발하거나 저속에서의 가속은 경량휠이 낫습니다만 고속에서는 좀 무거운 휠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차량의 엔진 성능과 미션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것은 달라질수 있을듯도 합니다.
다른분들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18인치 휠을 끼웠을때가 지금의 17인치 워크 CR KAI 끼웠을때보다 200키로 이상에서 더 빨리 속도가 붙구요..
저의 경우 정차시 출발하거나 저속에서의 가속은 경량휠이 낫습니다만 고속에서는 좀 무거운 휠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차량의 엔진 성능과 미션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것은 달라질수 있을듯도 합니다.
다른분들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2008.09.17 14:28:28 (*.236.29.115)
고속휠이 고속에서 속도가 잘붙는다는게 전 이해가 안가네요..
속도 유지 면에서는 잘모르겠지만, 가속에 있어서는 중량휠은 당연히 관성때문에
가속이 뒤쳐질수밖에 없습니다..100키로던 300키로던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아래글에도 나와있듯이, 공기저항및 노면저항등 차이인데, 그것이 무거운휠의
관성이 유리한점으로 바꿀수있게 해줄까요?
100키로 정속주행에서도 전 잘모르겠습니다. 중량휠이 더늦게 속도가 떨어져서
100키로로 주행시 초당 1키로씩속도가 떨어진다면, 5초후 95키로가 된다고 봤을때,
다시 속도를 100키로로 올리려면 5초가 걸린다고 봅니다..
하지만 경량휠의 경우 100키로로 주행시 초당 2키로가 떨어져서 5초후 90키로가 되었어도,
5초면 100키로에 다시 도달할수있다고 봅니다
좀 제가 말빨이 딸려서 잘설명을 못했지만, 제얘기는 결국엔 정속주행시에도
차이가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00키로를 정확하게 유지하는건 똑같겠고,
약간의 가감속이 있더라도 중량휠은 묵직하게 경량휠은 경쾌하게 움직이죠.
결론은 달리고 싶은 차량엔 경량휠이, 편안한 세단엔 약간의 중량휠이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아..머리아퍼.
속도 유지 면에서는 잘모르겠지만, 가속에 있어서는 중량휠은 당연히 관성때문에
가속이 뒤쳐질수밖에 없습니다..100키로던 300키로던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아래글에도 나와있듯이, 공기저항및 노면저항등 차이인데, 그것이 무거운휠의
관성이 유리한점으로 바꿀수있게 해줄까요?
100키로 정속주행에서도 전 잘모르겠습니다. 중량휠이 더늦게 속도가 떨어져서
100키로로 주행시 초당 1키로씩속도가 떨어진다면, 5초후 95키로가 된다고 봤을때,
다시 속도를 100키로로 올리려면 5초가 걸린다고 봅니다..
하지만 경량휠의 경우 100키로로 주행시 초당 2키로가 떨어져서 5초후 90키로가 되었어도,
5초면 100키로에 다시 도달할수있다고 봅니다
좀 제가 말빨이 딸려서 잘설명을 못했지만, 제얘기는 결국엔 정속주행시에도
차이가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00키로를 정확하게 유지하는건 똑같겠고,
약간의 가감속이 있더라도 중량휠은 묵직하게 경량휠은 경쾌하게 움직이죠.
결론은 달리고 싶은 차량엔 경량휠이, 편안한 세단엔 약간의 중량휠이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아..머리아퍼.
2008.09.17 16:11:32 (*.46.122.32)

박진현님과 김광삼님께서 설명해주신거 그 이상 뭐라 더 설명할 것이 없을것 같습니다.. 가끔 무슨 관성이 큰 휠을 끼우면 최고속도가 향상된다는 둥 그런 말을 볼 때 마다 어이가 없습니다.. 질량도 커지고 관성도 커졌는데도 최고속도마져 커졌다면, 다른데에서 분명히 loss가 생겨야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할텐데, 그게 뭐가 있을까요?? 어불성설입니다..
차정민님, '무게중심'은 어느 휠이나 당연히 중심이겠지요.. 같은 질량일 때에도 안쪽보다 바깥쪽이 무거운 것이 바로 관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휠들이 질량분포가 비슷하므로 (특별히 바깥쪽이 엄청 무겁거나 하는 휠은 별로 없으므로) 그냥 같은 질량과 같은 사이즈이면 관성도 같다고 가정합니다..
차정민님, '무게중심'은 어느 휠이나 당연히 중심이겠지요.. 같은 질량일 때에도 안쪽보다 바깥쪽이 무거운 것이 바로 관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휠들이 질량분포가 비슷하므로 (특별히 바깥쪽이 엄청 무겁거나 하는 휠은 별로 없으므로) 그냥 같은 질량과 같은 사이즈이면 관성도 같다고 가정합니다..
2008.09.17 18:34:57 (*.119.110.130)

순정휠보다 무거운 휠로 최고속을 늘리겠다는것은
무(모)한도전 이라는것을 다들 아실겁니다.. ^0^
경량휠을 끼고 최고속이 잘 안나온다는 말은 몇번 들어보았습니다.. ㅋ
저는 그닥 가벼운휠을 사용해 보지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경량 플라이휠을 장착하고 최고속이 10km/h(y25->y15)정도
줄어드는 경험은 해 보았지요.. T-T
물론 출력을 조금 향상시키니 다시 최고속이 돌아 오더군요
rev리밋까지 밀어 부쳤다는.. ㅋ
무(모)한도전 이라는것을 다들 아실겁니다.. ^0^
경량휠을 끼고 최고속이 잘 안나온다는 말은 몇번 들어보았습니다.. ㅋ
저는 그닥 가벼운휠을 사용해 보지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경량 플라이휠을 장착하고 최고속이 10km/h(y25->y15)정도
줄어드는 경험은 해 보았지요.. T-T
물론 출력을 조금 향상시키니 다시 최고속이 돌아 오더군요
rev리밋까지 밀어 부쳤다는.. ㅋ
실지로 제가 경량휠로 고속을 달리는 타입인데..
현재 휠이 이전 휠보다 약 1kg 쯤 무거운 휠인데,
(이전 휠은 7kg대 초반의 단조휠, 현재 휠은 8kg초반대 주조휠)
이 차이가 제 입장에선 좀 가속력 차이가 느껴지더군요..
(당연히 가속력이 더 둔해집니다. 휠을 무거운걸로 바꾼 후..)
그래도 휠이 자세가 나는(..)관계로 그 정도는 무시하고 삽니다만
고속에서 무거운 휠이 좋을건 없다고 봅니다..
좋은점이라면.. 강성..정도일까요...
무거우면 악셀오프시의 회전관성이 좋아서 좋다고도 하지만,
그 이야긴 반대로 고속에서 제동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라서,
오히려 고속에서 위험하다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_-
(제동 할수 있는 만큼 속도를 내는게 이 세계의 기본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