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6년전 ㄹㄹ 하는데 어떤분이 그러시더군요. OBD에 꽂는 게이지를 사용하면 ㄹㄹ에서 느려진다.
전 그때 설마 했는데.... 어제 비슷한 경험을 하였습니다 ㅠㅠ
그게 사실이라면 OBD에 꽂는 게이지가 소비전력이 높으면서 ECU의 연산 속도 저하 발생 혹은 다른 이유로
성능을 떨어트리는건데..........
제가 몇일전 DAG-3라는 게이지를 달았고요 (유선)
달고 나서 저랑 자주 달리던 차랑 (둘다 NA)랑 비교한 결과 1대 정도 제차가 느려졌습니다.
물론 차량 상태/온도/습도에 따른 변화라고 볼수 있지만 경험상 같은 NA 차량 끼리는 날씨덕에 같이 느려지고 같이 빨라지고
거의 결과는 똑같습니다. (출발의 차이의 변수가 없다면)
기존에는 ELM327를 통한 토크프로를 사용했었는데........
역시 궁금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ELM327를 통한 블루투스 장치는 소비전력이 10-20ma이고요
제가 사용하는 DAG-3는 85ma 입니다.
게다가 제 DAG-3에 HUD까지 연결이 되서 예상 소비전력은 100ma 이상 될것 같습니다.
ELM327는 단순 Data만 블루투스로 쏴주는거고..
DAG3는 게이지의 조명/HUD의 전력까지 다 책임지고 있습니다.
아래 첨부파일에 등록한 게이지입니다.
그래서 DAG-3를 제거하고 다시 ㄹㄹ TEST를 해봤어야 했는데.. 다른일이 발생해서 TEST는 하지 못했습니다.
혹시 저랑 비슷한 경험을 하신분 의견이나.. 제가 생각하는 이 이론이 타당성이 있는지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향후 DAG-3 빼고 끼고 다시 TEST 해볼 예정입니다
그전에 찝찝하고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lm327/그리디인텔리전트모니터등 세가지 제품을 항시 사용해보았는데 시동불안정//아이들링 불안정으로 탈거하고 다닙니다. 뭔지 알수없는 무언가가 부하를 주는부분은 있는듯합니다. 저는 일정부분 동의?? 합니다

몬스터게이지(인텐시브 단말기)사용중에, 이유를 알 수 없는 Failsafe가 걸려서, 2000rpm에서
엔진회전이 컷 당하는 경험을 해본적은 있습니다.(차량은 엑센트 U2디젤 이였습니다)
단말기 타입은 ELM 계열과 동일합니다, ECU DATA만 블루투스로 보내주는 단말기입니다.
고속도로 주행중에 갑자기 생긴 문제라서, 당황하면서 차량정차후 단말기를 빼고 다시 주행하니
정상으로 돌아왔었습니다.
딱 한번 생긴 문제였는데, 이후에는 문제가 없이 사용했었구요, 뭔가 영향을 주기는 하는것 같기는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버지께서 사용하시는 투싼LM R2.0에 DAG-3를 달아서 사용중이긴 한데, 그냥 흘려볼 수 없는
질문이신것 같아서 댓글 달아봤습니다...
100밀리암페어가 30에 비해 커보이는거지, 별볼일 없는 에너지입니다. 보통 차량은 시거잭에서
120W @ 12V 내외 사용이 가능합니다. 작은 노트북이라면 충전도 가능한 것도 있는데요, 저기 120W 최대출력이
10,000밀리암페어 입니다. 보통 차들 알터네이터는 140,000 에서 큰 차는 250,000 밀리암페어까지 발전이 가능하기때문에 ... 100밀리암페어 때문에 차가 느려지긴 하지만 미미한 수준이라 큼지막한 외부 요인의 변화에 영항을 주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달리실 때 발전기가 잡아먹는 출력이 걱정이시라면 헤드라이트만 꺼도 수천~수만 밀리암페어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어디선가 obd리더를 달고 불안정해졌다는 글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제 포르쉐 박스터 986도 좀 그랬구요. obd에서 리포트 해주는 것 때문에 그런가? 했습니다. 간혹 아이들이 좀 불안해집니다. 빼면 정상..

성능관련은 아니지만 obd 블루투스타입 사용할 때 차종에 따라 도어락이나 창문 올리고 내리는데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더군요
전기장치에 무언가 영향을 주는건 분명한것 같습니다

예전에 OBD통신을 이용한 제품을 구상하여 CAN통신모듈을 이용해 데이터를 뽑아본적이 있습니다. (차량은 구i30)
출처를 알수 없는 14개 정도의 모듈에서 데이터를 마구 쏴대는거 같은데 (초당 수십~수백회)
엄청난 데이터량을 자랑하더군요.. 거진 CAN 최대 대역폭 70%정도..
여러모로 알아봤으나, ECU와 모듈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차종별,업체별로 틀리며 기밀사항이라 들었습니다.
결국 OBD2에 정의되어 있는 query기능 (ECU에게 속도 몇키로? 물어보면 응답해주는 방식)을 이용해
원하던 일부 데이터를 뽑아볼 수 있었으나, 가뜩이나 빠른 통신을 서로 하고 있는 와중에 이런 부가적인
패킷을 날려보내는게 ECU에 부담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은 들더군요.
현재 제가 알기론 OBD포트를 이용한 차량 정보를 뽑아주는 모든 장치들 (블박,elm327기반 각종 게이지류)은
모두 이런 공통규약의 query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대부분의 차종에서 호환이 되겠지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도 그러한 게이지가 좋진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잦은 CAN통신으로 인해 ECU에 추가적인 부하가 걸리거나 통신라인에 혼선을 빚을 여지가 있다는 의견입니다.

근데 05년식 쎄라토 디젤 수동은 별 문제가 없더군요
OBD장비중에 CPU 사용율은 아직 안나오지요?
제차도 ECU의 CPU 사용율 함 봐야겠네요.......
캔통신은 아니지만, k-line으로 ECU의 CPU 사용율은 본적 있습니다.....(70%대까지 본거 같네요)
저역시 전력소모 보다는 ecu의 부하가 증가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피씨에 비교하자면 cpu 점유율이나 hdd 사용빈도가 높아져서 기본적으로 해야할 작업이 늦어진다거나 뭐 그런거요. 기계라는게 만들어질때 적정 가동치가 있는데 그걸 넘어서면 아무래도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비교해봤는데 제차는 obd에 꼽는다고 출력 저하는
없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랜져HG 13년식에 다이어게이지(구형)를 연결하면, 후진시 사이드 미러 자동 하향 기능이 오동작을 합니다.
연결 해제하면 정상 작동하구요....
그냥 넘어가기 그래서 한자 적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