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최근 들어 현기차 브레이크의 특징은 조금만 밟아도 해드뱅잉 하듯이 팍팍 서버리게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제 차 '13년식 올뉴모닝 (28000km)도 출고 초기에 그런 현상이 일어나서 상당히 불쾌하고 난해 했지만 그에 맞춰서 적응하다보니 별 의식하지 않고 다니다가 1년 반정도부터 브레이크 반응이 좀더 리니어 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작년에 보쉬 dot4와 패드를 프릭사s1으로 바꿔도 출고 때의 그 느낌이 나질 않았고 패드의 특성인지 초반에는 순정패드보다 덜 잡히면서 더 밀리는 느낌이 났었습니다.
그냥 이 상태가 좋아 답력에 대해선 별 신경 안쓰고 탔습니다.
그러다 저번달에 작년에 출고된 순정 모닝을 타게 됐는데 브레이크가 아주 그냥..
팍팍 꽂히면서 머리가 흔들흔들
옛날 출고때의 브레이크는 이랬었지라고 상기 시켜주더군요..;;
이래서 더 궁금해진게.. 제가 브레이크 계통은 건드린게 거의 없는데도 답력이 리니어하게 변화 된게 브레이크 하이드로백? 진공부스터? 이런 곳에 문제가 생기지 않았나 생각이 되는데요.
물론 지금 이 상태가 하중이동이 편해서 이런 리니어한 느낌을 훨씬 선호합니다.
일단 제동력엔 아무 문제 없습니다.
제 차 '13년식 올뉴모닝 (28000km)도 출고 초기에 그런 현상이 일어나서 상당히 불쾌하고 난해 했지만 그에 맞춰서 적응하다보니 별 의식하지 않고 다니다가 1년 반정도부터 브레이크 반응이 좀더 리니어 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작년에 보쉬 dot4와 패드를 프릭사s1으로 바꿔도 출고 때의 그 느낌이 나질 않았고 패드의 특성인지 초반에는 순정패드보다 덜 잡히면서 더 밀리는 느낌이 났었습니다.
그냥 이 상태가 좋아 답력에 대해선 별 신경 안쓰고 탔습니다.
그러다 저번달에 작년에 출고된 순정 모닝을 타게 됐는데 브레이크가 아주 그냥..
팍팍 꽂히면서 머리가 흔들흔들
옛날 출고때의 브레이크는 이랬었지라고 상기 시켜주더군요..;;
이래서 더 궁금해진게.. 제가 브레이크 계통은 건드린게 거의 없는데도 답력이 리니어하게 변화 된게 브레이크 하이드로백? 진공부스터? 이런 곳에 문제가 생기지 않았나 생각이 되는데요.
물론 지금 이 상태가 하중이동이 편해서 이런 리니어한 느낌을 훨씬 선호합니다.
일단 제동력엔 아무 문제 없습니다.
2016.04.14 10:26:20 (*.118.204.15)

저도 현재 프릭사 S1 패드와 HKS 브레이크액을 사용중인데 출고시의 건드리기만 해도 팍 서는 느낌과 달리 어느 정도 페달을 밟아야 리니어하게 브레이크가 듣기 시작합니다. 업체에 물어보니 순정 브레이크액 대비해서 브레이크액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라고 하더군요.
2016.04.14 13:36:08 (*.162.137.190)
브레이크액 점도가 높은건 저품질의 브레이크액입니다.
브레이크액은 규격이 높아질수록 점도가 낮아집니다.
제 생각엔 업체분이 잘못알고계신것 같습니다.
브레이크액은 규격이 높아질수록 점도가 낮아집니다.
제 생각엔 업체분이 잘못알고계신것 같습니다.
2016.04.14 13:47:56 (*.122.106.211)
ABS 펌프 바꾸고 마스터실린더도 교체하면서 차에 넣기 전에 미리 에어빼기작업을 하고 장착하면 돌아온다는 썰을 들어보긴 했는데 진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2016.04.14 16:31:33 (*.87.63.233)
다른차 잠깐 타본후 바로 모닝으로 갈아타심 새차 밟아본느낌 다시 나실거예요 ㅎ 저도 12년 모닝인데 새차때와 그대로 팍팍 꼽습니다
2016.04.14 16:35:34 (*.161.217.148)

저도 브레이크 답력이 초반에 팍 몰려있는 전기형k3세단 유저입니다. ㅎㅎ 냉간시나 패드 이니셜바이트값에 따라 팍 서거나 조금 덜하거나 합니다. 레이싱패드장착중인 현재는 부드러운 하중이동과 힐앤토는 너무나 어렵네요. 제동 조정성의 변화가 온건 타이어접지력이나 패드 로터 길들이기, 상태 하이드로백이나 마스터실린더노화 브레이크액 변질 등의 변수가 있을 것 같구요. 한편 최신 현대기아 차량인 아반떼 AD같은 경우 상당히 리니어한 조작이 가능하게 비례제동성향으로 바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