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제가 더블 클러치를 배워보려고 하는데요
다른 글들을 보면서 다운쉬프트에선 rpm 보상을 위해
rpm을 그 속도에 맞게 맞춰주는 게 좋대서
한 번씩 속도를 줄이고 저단기어를 넣고 엑셀을 살짝 밟아주면서
클러치를 떼니 원래라면 그 속도에서 차가 울컥 거릴 것이 잘 안 그러더라구요
근데 더블클러치 설명을 들어보니 이거랑 비슷한 거 같은데
뭐 싱크로나이즈 뭐라고 하면서 되잇는데
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겟습니다 ㅡ
그리고 하는 방법도 아직 확실히는 모르겟네용 ㅡㅋ
다른 글들을 보면서 다운쉬프트에선 rpm 보상을 위해
rpm을 그 속도에 맞게 맞춰주는 게 좋대서
한 번씩 속도를 줄이고 저단기어를 넣고 엑셀을 살짝 밟아주면서
클러치를 떼니 원래라면 그 속도에서 차가 울컥 거릴 것이 잘 안 그러더라구요
근데 더블클러치 설명을 들어보니 이거랑 비슷한 거 같은데
뭐 싱크로나이즈 뭐라고 하면서 되잇는데
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겟습니다 ㅡ
그리고 하는 방법도 아직 확실히는 모르겟네용 ㅡㅋ
2008.11.15 18:37:59 (*.120.185.203)

더블클러치로 검색해보시면 많은 내용이 있을듯 하네요.
더블클러치는 클러치를 더블로(두번) 밟는것입니다.
클러치밟고 - 기어중립 - 클러치떼고 - 악셀링 - 클러치밟고 - 쉬프트다운 - 클러치떼고 순서입니다.
원클러치는 클러치밟고 - 쉬프트다운하면서 악셀링 - 클러치떼고 이지요.
요즘의 차들은 원클러치만으로도 부드럽게 쉬프트다운이 되지만, 저는 여전히 더블클러치를 애용합니다 ;;
더블클러치는 클러치를 더블로(두번) 밟는것입니다.
클러치밟고 - 기어중립 - 클러치떼고 - 악셀링 - 클러치밟고 - 쉬프트다운 - 클러치떼고 순서입니다.
원클러치는 클러치밟고 - 쉬프트다운하면서 악셀링 - 클러치떼고 이지요.
요즘의 차들은 원클러치만으로도 부드럽게 쉬프트다운이 되지만, 저는 여전히 더블클러치를 애용합니다 ;;
2008.11.15 21:28:56 (*.91.9.235)

아무리 요즘차라도 더블 클러치를 쓰면 기어가 더 부드럽게 들어갑니다. 필요가 없다기 보다는 안해도 굳이 큰 문제는 없다는 것이 정확하겠죠.
기어 구조상 더블 클러치를 안쓰면 싱크로나이저가 마모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기어 구조상 더블 클러치를 안쓰면 싱크로나이저가 마모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2008.11.16 10:48:34 (*.134.207.82)

제 차 2단 싱크로가 요새 안좋아져서 쉬프트업이든 다운이든 항상 2단을 거쳐갈때는 더블클러치를 쓰고 있는데요. 정말 부드러움의 차원이 달라집니다.. 한번 연습해 보세요~~ ^^
2008.11.17 12:46:23 (*.155.218.79)

네...요새는 그닥 필요한 기능이 아니지만....
1단으로의 다운이 잘 안들어가는 경우에는 매우 유용합니다 ^^
논 클러치 변속도 꼭 필요한게 아니고 알고있으면 조금 편할때도 있듯이 말입니다
1단으로의 다운이 잘 안들어가는 경우에는 매우 유용합니다 ^^
논 클러치 변속도 꼭 필요한게 아니고 알고있으면 조금 편할때도 있듯이 말입니다
그냥 하시는대로 원클러치변속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