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테드에 여쮜보게 됩니다
국산1.6 터보 차량이며 순정터빈을 사용중이고 맵핑이
작업된 상태입니다
1)부스트가 너무 빨리 뜹니다 피크 1.6바 이지만
풀악셀링시 피크까지 도달시간은 0.5초쯤(순간이동)
되는듯 합니다 부스트가 빨리 뜰수록 터빈 내구성에
악영향 일까요?
2)일반 도심 주행시 보통 2천rpm 에서 변속을 합니다
특히 낮에는 변속후 반박자 늦게 가속이 이루어 집니다
물론 2500rpm까지 올린후 변속하면 터보렉같은 증상은 없습니다만 너무 낮은 rpm에서 변속으로 터보렉이 발생되는 것일까요? 2500rpm까지 올리기엔 2천쯤부터
힘이 너무 남아돌아서 굳이 2500까지 올릴 필요성을
못느낍니다만 2천에서 변속 하자니 터보렉이 생기고
2500에서 변속하자니 힘이 남아돌아 연비만 혹사시키는듯 합니다 참고로 수동차량입니다
종합적으로 볼때 2천에서 변속시 클러치와 악셀의
조합이 부자연스럽고 울컥? 이나 터보렉같은 증상이
발생 됩니다 2500까지 올리는것이 정답일까요?
앞차와 거리 유지하며 발컨을 해가며 2500까지 쓰는것이 사실 불편하기도 합니다
3) 엔진오일 관련 30점도 오일이 c3인증이라면
150도에서 점도3.5라는건데 보통 40점도 오일들이
100도 13~15, 150도 3.중후반의 스펙을 가진걸로 압니다만 30점도 오일이 c3인증 오일이면 과연 40점도
오일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보통 30점도 오일은
150도 2.후반~ 3.초반으로 알고 있습니다
30점도 오일이 c3인증이면 150도에서 40점도 오일의
점도를 가지고 있다는건데 햇갈립니다
두서없는 글이라 불편한점 사죄 드립니다
2000rpm 에서는 터보렉이 있다고 하셨는데 그건 부스트가 걸리기 전이면 당연히 렉이 있죠
2500rpm 에서는 부스트가 걸리고 난후고요?
굳이 시내 일반적인 주행에서 부스트를 걸고 다닐 필요가 없으면 부스트 걸리기 전에 기어 변속을 해주시면 연비면에서 도움도 되고 느린(?) 가속 이지만 여유있게 운전이 가능하실텐데요
터빈에 영향을 주는것은,
. 지속적인 풀부스트 항속(유온,배기온)
. 저부스트 사용 시 터빈역류(서징)
. 필터없는 흡기(또는 망)로 인한 임펠라 물리적 손상
. 예열 및 후열관리 미흡
타본결과 위와같은것들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고 말씀하신 급가속이냐 부드러운 가속이냐는 사실 뭐
걱정할게 아니라고 봅니다. 그 조건이라는게 평지,언덕(부하) 따라 다르고, 스로틀 개도량을 어떻게 가져가냐
따라도 다르고, 현재 물려있는 각단 기어비에도 영향이 있기에 걱정하실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어차피 풀부스트가 빠르게 뜬다는것은 압축비나 터빈사이즈가 오히려 더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니까요.
빠르다고 좋을것도 없고 나쁠것도 없습니다. 물론 장/단점은 존재하겠지만요.
2번 변속관련해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여러 수많은 조건이 존재하기에 각 상황에 맞게 차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로 변속하는 감(?), 센스가 중요하겠죠. 그건 오래 타시다보면 자연스레 익히시게 될 겁니다.

1. ACEA C3와 B4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공통점
- 고온점도(Viscosity, 150°C) ≥ 3.5 cSt
- 증발량(Noack Volatility) ≤ 13%
2) 차이점
- 전염기가(TBN) : ACEA C3 ≥ 6 / ACEA B4 ≥ 10
- 황산회분(Sulfate Ash) : ACEA C3 ≤ 0.8% / ACEA B4 1.0~1.6%
- 연비개선(Fuel Economy) : ACEA C3 w30점도(O), w40점도(X) / ACEA B4(X)
2. 소유중이신 차량이 1.6 가솔린 터보임을 고려했을 때, 40점도 오일은 ACEA A3/B4규격이라고 간주하고 답변 드리겠습니다.
동일한 w30점도에서 ACEA C3와 B4 규격에 따른 가장 큰 차이점은 전염기가(TBN), 황산회분(Surfate ash) 항목입니다.
ACEA C3, B4 규격 모두 고온점도(150°C)가 3.5이상이므로, 고온점도만 놓고 비교했을 때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
규격 외 w30, w40점도 차이에 따른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ACEA C3규격, A3/B4규격을 만족시키는 Mobil와 Shell의 대표적인 엔진오일을 비교한 아래 Data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가솔린차량의 엔진오일 선택 시 제조사매뉴얼의 권장점도/등급을 만족시키는 A3/B4 제품과 C3 제품이 있다면, A3/B4를 선호합니다.
(등급/스펙/점도 머리 아프시면 '순정오일'이라는 최고의 선택지도 있습니다.)
3. 엔진오일 특성
1) Exxon Mobil
*Mobil 1 esp 5w30 (ACEA C3)
40°C : 72.8 cSt
100°C : 12.1 cSt
150°C : 5.07 cSt
*Mobil 1 0w40 (ACEA A3/B4)
40°C : 75 cSt
100°C : 13.5 cSt
150°C : 5.78 cSt
2) Shell
*Shell Helix Ultra AM-L 5w30 (ACEA C3)
40°C : 74 cSt
100°C : 12 cSt
150°C : 4.99 cSt
*Shell Helix Ultra Extra ECT 5w30 (ACEA C3)
40°C : 69 cSt
100°C : 12.11 cSt
150°C : 5.11 cSt
*Shell Helix Ultra 5w40 (ACEA A3/B4)
40°C : 79.1 cSt
100°C : 13.1 cSt
150°C : 5.46 cSt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 합니다
의문점이 있습니다만 저 또한 이전에 수십종류의 msds 를 확인해본바
보통 40점도가 150도에서 4cst를 넘어가는 오일은 거의 없던걸로 기억합니다
현대 순정오일인 터보씬이 5w30 이며 c2인증이며 대략 hths(150도) 는 2.9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30점도가 hths2.후반때에서 3.초반떄가 주로 형성되었고 40점도가 넘어가야 3.때를 넘어서기 시작했습니다
더군다나 c3는 hths3,5 이상이 되야하는 조건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나열해주신 30점도 오일들이 htts 5.때를 한다는것이 사실인지 글을쓰고 있는동안 잠깐 hths를
검색해보니 모빌1 0w40 hths 3.8cst 쉘 울트라 울트라5w40 hths 3.68 cst
나열해주신 내용중 150도 데이터가 잘못된듯 합니다 그 무겁다던 킥스파오1 0w40 도 hths 3.후반때로 알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150도 점도는 모두 점도측정계산기를 통해 계산된 값입니다.
MSDS에서 150도 점도를 확인가능한 경우에는 Data sheet 값을 참조하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하지만 MSDS에는 40, 100°C 점도와는 달리 150도 점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아래의 점도측정계산기를 통해 해당 온도에서의 점도를 대략 계산할 수 있습니다.
https://widman.biz/English/Calculators/Operational.html
40, 100°C 동점도(cSt)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은 마찬가지로 동점도(cSt)이므로,
MSDS상의 표기된 HTHS Viscosity(mPa•s) 단위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중을 곱해야 합니다.
위 점도측정계산을 통해 구한 값은 시험을 통해서 구한 값이 아니기 때문에,
40, 100°C 동점도(cSt)를 이용해 150도 점도를 대략 가늠하기 위한 바로미터로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네요.
제가 잘 모르는 단어들이 있어 머라 말씀을 드리긴 어렵네요
저는 엔진오일관련 카페를 자주 이용하는데 오일분석을 통한 각종 자료나 데이터들을 공유하는 곳이어서
나름 꽤나 신뢰성을 두고있는 곳입니다
5w30 순정오일이 msds상 40도 100도 점도는 공개 되지만 말씀하신것처럼 hths공개는 대부분
비공개인걸로 압니다 하지만 인증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마 유추해볼순 있더라고요
제가 지금것 거의 확실하다 생각됭온건 앞점도의 극강을 제외하곤 30점도중에 hths 4cst 오일은
보지를 못했네요 40점도 오일중에 a1이나 a5 gf-5 인증이 없듯이 말이죠
우선 좋은 자료 참고 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1. w30 점도(C3)와 w40(B4)의 차이점 : 전염기가, 황산회분
2. w30 점도(C3)와 w40(B4)의 150도 점도 비교 :
- 둘 다 3.5 이상
- w30 점도(C3)는 w40(B4) 못지 않은 100도씨 점도 및 150도 고온전단점도를 가지고 있다.
3. HTHS 4 cSt 이상인 오일이 있고/없고 하는 부분은 어차피 HTHS가 MSDS 상 비공개인 경우, 오일분석을 하지 않는 이상 신뢰성을 가진 값을 확인하기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에 관해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100도씨 점도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유추해볼 수 있겠죠.
4) 동일한 가속력을 낼때 낮은rpm에서 부스트를 올릴때와
부스트를 안쓰고 고rpm까지 올리며 가속할때를 비교 하자면 어느쪽이 배기온 유.수온 부하면에서 유리하게 가져갈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