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투카 오토 2.0 non-vvt 입니다.
흡기는 순정인데 필터는 습식 유니필터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달전에 메인텍 4-2-1 매니 (?? 파이) + 티뷰론 촉매 (54파이) 장착하고 예전보다 잘 나간다고 느껴졌고
나름 가격 대비 좋은 효과가 나온다고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배압도 잘 맞는거 같았고요.
소음 및 구변의 압박으로 중통, 엔드는 그냥 순정(50.8파이)으로 타고 다니자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 2주전에 엘리사 중통 (54파이)을 구하게 되어서 장착하게 되었습니다.
(엘리사꺼니깐 구변이 필요없겠죠??)
장착 후 약간 허당의 기운이 느껴졌지만 ECU 학습이 되야 제 성능이 나오겠거니 하고
그냥 타고 다녔는데.. 그 느낌이 없어지지 않더군요.
제가 느낀 것을 좀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평소 D 드라이브에 놓지 않고 H-matic을 자주 사용합니다)
1. 예전과 달리 1단에서 rpm은 상승하는데 치고 나가는 느낌이 없습니다.
그러다 2단으로 변경하면 확~ 하고 치고 나가는 느낌이 듭니다. (예전 1단 느낌??)
다시 3단으로 변경하면 좀 무뎌지는 느낌이 나네요.
2. 4단으로 달리다 추월을 위해서 3단으로 킥다운하면 별로 힘을 못 받습니다.
2단 정도로 내려줘야 예전에 4단->3단으로 변경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렇게 된 원인이 약간 파이수가 넓어진 중통에 있는 건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점화플러그, 점화케이블 교환한지 한 3개월정도 되구
오토미션 오일 갈은지는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혹시 흡기쪽을 오픈형 필터와 튜닝용 인테이크 파이프로 변경하면
이런 증상이 없어질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조언 부탁드리고 안운하세요~
흡기는 순정인데 필터는 습식 유니필터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달전에 메인텍 4-2-1 매니 (?? 파이) + 티뷰론 촉매 (54파이) 장착하고 예전보다 잘 나간다고 느껴졌고
나름 가격 대비 좋은 효과가 나온다고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배압도 잘 맞는거 같았고요.
소음 및 구변의 압박으로 중통, 엔드는 그냥 순정(50.8파이)으로 타고 다니자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 2주전에 엘리사 중통 (54파이)을 구하게 되어서 장착하게 되었습니다.
(엘리사꺼니깐 구변이 필요없겠죠??)
장착 후 약간 허당의 기운이 느껴졌지만 ECU 학습이 되야 제 성능이 나오겠거니 하고
그냥 타고 다녔는데.. 그 느낌이 없어지지 않더군요.
제가 느낀 것을 좀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평소 D 드라이브에 놓지 않고 H-matic을 자주 사용합니다)
1. 예전과 달리 1단에서 rpm은 상승하는데 치고 나가는 느낌이 없습니다.
그러다 2단으로 변경하면 확~ 하고 치고 나가는 느낌이 듭니다. (예전 1단 느낌??)
다시 3단으로 변경하면 좀 무뎌지는 느낌이 나네요.
2. 4단으로 달리다 추월을 위해서 3단으로 킥다운하면 별로 힘을 못 받습니다.
2단 정도로 내려줘야 예전에 4단->3단으로 변경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렇게 된 원인이 약간 파이수가 넓어진 중통에 있는 건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점화플러그, 점화케이블 교환한지 한 3개월정도 되구
오토미션 오일 갈은지는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혹시 흡기쪽을 오픈형 필터와 튜닝용 인테이크 파이프로 변경하면
이런 증상이 없어질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조언 부탁드리고 안운하세요~
2009.05.13 21:10:05 (*.46.240.170)

답변 감사드립니다~ 광삼님
(클투에서 전설적인 분이시던데 차 바꾸셔서 아쉽네요 ^^)
이왕 달은 중통을 떼어내긴 싫구 ^^;
이 셋팅을 유지하면서 허당감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숏 타입은 허당감이 심해진다면 롱 타입으로 하면 괜찮아질까요?
글고 예전부터 궁금하던것인데...
숏과 롱을 구분하는 길이 기준이 무엇인지도 좀 알려주세요.
순정 흡기 인테이크의 길이가 숏인가요?
그것보다 더 길면 롱인가요??
흡기 필터 갖고 되지 않는다면...
추후 270 정도의 흡기캠만 장착할 계획을 갖고 있는데 흡기캠하면 이런 허당감이
없어질까요?
지금 배기 시스템의 파이수가 흡기캠에 사용하기에는 넘 작은가요?
(클투에서 전설적인 분이시던데 차 바꾸셔서 아쉽네요 ^^)
이왕 달은 중통을 떼어내긴 싫구 ^^;
이 셋팅을 유지하면서 허당감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숏 타입은 허당감이 심해진다면 롱 타입으로 하면 괜찮아질까요?
글고 예전부터 궁금하던것인데...
숏과 롱을 구분하는 길이 기준이 무엇인지도 좀 알려주세요.
순정 흡기 인테이크의 길이가 숏인가요?
그것보다 더 길면 롱인가요??
흡기 필터 갖고 되지 않는다면...
추후 270 정도의 흡기캠만 장착할 계획을 갖고 있는데 흡기캠하면 이런 허당감이
없어질까요?
지금 배기 시스템의 파이수가 흡기캠에 사용하기에는 넘 작은가요?
2009.05.13 21:57:02 (*.145.39.87)
오토메틱으로 보입니다..^^
오토미션에 270캠이면 지금의 허당 2배를 느끼시게 됩니다.
시내 주행은 더 짜증나고 초반 반응이 느려지니 악셀을 더 밟게 되고 그러면 더욱더 시끄럽고~~
오토라면 그냥 순정라인으로 돌아가는게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오토미션에 270캠이면 지금의 허당 2배를 느끼시게 됩니다.
시내 주행은 더 짜증나고 초반 반응이 느려지니 악셀을 더 밟게 되고 그러면 더욱더 시끄럽고~~
오토라면 그냥 순정라인으로 돌아가는게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2009.05.14 02:35:24 (*.140.140.177)

캠을 넣으면 토크밴드가 더 뒤로 밀려서,
무지 더 허당스러워질겁니다..ㅎㅎㅎㅎ
특히나 RPM을 7000넘겨 쓸거 아니라면 비추입니다.
(특히 오토는 RPM리밋이 강제로 걸려서 6700강제 변속이라 절대 비추입니다)
이게 어떻게 된거냐면요,
악셀을 밟게 되면 출력이 RPM의 증가에 따라 올라가게 되는데, 가상의 예를 들어볼께요.
3000에서 토크가 13, 4000에 15, 5000에 18, 6000에 16, 6500에 15 로 떨어지는 출력이라면, (5000에서 피크)
3000에서 토크가 12, 4000에 14, 5000에 17, 6000에 18, 6500에 16 식으로 뒤로 밀어놓습니다.(6000에서 피크)
(캠이나 흡배기 등 NA튠은 이런 효과를 많이 가져옵니다. 특히 캠은 더 뒤로 밀어서 고RPM을 필수로 써야하죠.)
즉, 위의 예 처럼 출력이 나오는 차가 있고,
일반 운용 RPM 영역대.. 실용영역대가 3000-4000RPM 정도로 변속하며 운용한다면,
토크가 1씩은 떨어진 결과를 낳게되고(그 영역대의 출력은 하락한 셈입니다),
실지로 실용영역의 출력은 떨어진 셈이라 어쩔 수 없이 허당스럽게 느껴집니다.
다만 RPM을 레드존까지 쳐 올리면서 밀어붙이면 그 영역에선 출력이 좀 올라갑니다.
원상복구 하시기 싫으시다면,
그냥 예전보다 RPM을 전부 500 씩 높여 쓰시면 될겁니다.
일단 주행하는 RPM 대역도 500높여서, 변속시점도 500 높여서 하세요.
3500 으로 크루징이었다면, 4000으로, 4500에서 변속했다면 5000에서 변속..식으로요.
무지 더 허당스러워질겁니다..ㅎㅎㅎㅎ
특히나 RPM을 7000넘겨 쓸거 아니라면 비추입니다.
(특히 오토는 RPM리밋이 강제로 걸려서 6700강제 변속이라 절대 비추입니다)
이게 어떻게 된거냐면요,
악셀을 밟게 되면 출력이 RPM의 증가에 따라 올라가게 되는데, 가상의 예를 들어볼께요.
3000에서 토크가 13, 4000에 15, 5000에 18, 6000에 16, 6500에 15 로 떨어지는 출력이라면, (5000에서 피크)
3000에서 토크가 12, 4000에 14, 5000에 17, 6000에 18, 6500에 16 식으로 뒤로 밀어놓습니다.(6000에서 피크)
(캠이나 흡배기 등 NA튠은 이런 효과를 많이 가져옵니다. 특히 캠은 더 뒤로 밀어서 고RPM을 필수로 써야하죠.)
즉, 위의 예 처럼 출력이 나오는 차가 있고,
일반 운용 RPM 영역대.. 실용영역대가 3000-4000RPM 정도로 변속하며 운용한다면,
토크가 1씩은 떨어진 결과를 낳게되고(그 영역대의 출력은 하락한 셈입니다),
실지로 실용영역의 출력은 떨어진 셈이라 어쩔 수 없이 허당스럽게 느껴집니다.
다만 RPM을 레드존까지 쳐 올리면서 밀어붙이면 그 영역에선 출력이 좀 올라갑니다.
원상복구 하시기 싫으시다면,
그냥 예전보다 RPM을 전부 500 씩 높여 쓰시면 될겁니다.
일단 주행하는 RPM 대역도 500높여서, 변속시점도 500 높여서 하세요.
3500 으로 크루징이었다면, 4000으로, 4500에서 변속했다면 5000에서 변속..식으로요.
2009.05.14 12:30:07 (*.46.240.170)

답변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캠은 접어야겠네요 ㅋ
근데 2.0 들도 캠 없이 흡배기를 할때 제가 듣기론 54~58 파이 배기들을 사용하던데
그분들은 왜 허당난다는 소리가 없을까요? (제가 못 들은것일지도 ... ㅡㅡ; )
전 그래서 제가 흡기를 안해놓아서 그런줄 알고 질문드린건데..
제 차의 문제때문에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엔드는 그대로 두고 중통만 54파이 쓴건데 이런 느낌이 든다면
풀배기하신 분들은 대부분 그냥 감내하고 타는 건지 궁금하네요 ㅋ
아... 오토와 수동의 차이일려나요???
캠은 접어야겠네요 ㅋ
근데 2.0 들도 캠 없이 흡배기를 할때 제가 듣기론 54~58 파이 배기들을 사용하던데
그분들은 왜 허당난다는 소리가 없을까요? (제가 못 들은것일지도 ... ㅡㅡ; )
전 그래서 제가 흡기를 안해놓아서 그런줄 알고 질문드린건데..
제 차의 문제때문에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엔드는 그대로 두고 중통만 54파이 쓴건데 이런 느낌이 든다면
풀배기하신 분들은 대부분 그냥 감내하고 타는 건지 궁금하네요 ㅋ
아... 오토와 수동의 차이일려나요???
2009.05.14 13:08:13 (*.220.59.140)
같은 엔진은 아니지만 sr20엔진 오토미션 토메이260캠으로 흡배기 세팅하여 탔습니다.
흔하게 말하는 허당 때문에 54파이~63파이까지 다양한 구경으로 세팅해보았습니다. 삽질이죠
허당은 분명하게 있습니다. 감내하고 타는 것이죠..
저 역시 5000~7000rpm의 짜릿함을 즐기기 위한 세팅이었고, 나머지는 좌절스러웠습니다.
수동보다 더 심한 부밍음(엑셀반응이 더 느리니 부밍음이 더 길게 들립니다)과 연료비 천천히 가면서도 왕왕거린다는 비난을 감내해야죠^^
그리고 이렇게 na튜닝을 위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도(휠마력 120마력 내외), 결국에는 동일 차종 수동(순정엔진)에게는 안된다는 겁니다.
오토라면 비추입니다.
흔하게 말하는 허당 때문에 54파이~63파이까지 다양한 구경으로 세팅해보았습니다. 삽질이죠
허당은 분명하게 있습니다. 감내하고 타는 것이죠..
저 역시 5000~7000rpm의 짜릿함을 즐기기 위한 세팅이었고, 나머지는 좌절스러웠습니다.
수동보다 더 심한 부밍음(엑셀반응이 더 느리니 부밍음이 더 길게 들립니다)과 연료비 천천히 가면서도 왕왕거린다는 비난을 감내해야죠^^
그리고 이렇게 na튜닝을 위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도(휠마력 120마력 내외), 결국에는 동일 차종 수동(순정엔진)에게는 안된다는 겁니다.
오토라면 비추입니다.
2009.05.14 16:05:47 (*.119.3.158)

음..
투스카니 2.0 vvt 오토 입니다.
순정은 아니고 12젼의 vvt 270 흡기캠+ecu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6800~7500rpm 이상 가더라도 변속되지 않고 원할 때 변속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별의미가 없네요 ^^a
투스카니 2.0 vvt 오토 입니다.
순정은 아니고 12젼의 vvt 270 흡기캠+ecu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6800~7500rpm 이상 가더라도 변속되지 않고 원할 때 변속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별의미가 없네요 ^^a
즉, 차량의 출력이 나오는 토크밴드가 전반적으로 후반 RPM으로 밀리면서,
초중반의 출력이 떨어지는 현상인데요, 대신 5000RPM이상의 후반은 약간 좋아집니다.
(그래서 많은 NA튠은 고 RPM위주로 운행하지 않는다면 참 애매한 특성이 되기도 합니다)
즉, 배기 구경을 원래대로 낮추면 배압이 좀더 걸리면서 토크밴드가 전반으로 이동하고,
다시 예전같은 초중반의 토크빨이 느껴지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숏 타입의 오픈 필터를 장착하시면 '허당감'은 더 커질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