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현지 폭스바겐 시로코 알라인을 끌고 있습니다
지금 5년차이고 얼마전 사고로
한쪽 헤드라이트를 교체하는 바람에
한쪽에 온 백화로 더 독보이더라고요..
근데 외부백화인지
내부백화인지 구분이 어려워서
글을 써봅니다 :(
백화증상이 보인 헤드라이트 4년 동안 PPF가
있다가 사고로 한쪽도 새 PPF로 교환을 받았는데도
백화가 그대로여서 여쭤봅니다.
ppf를 붙어도 외부에 백화가 올수있나요?
현지 폭스바겐 시로코 알라인을 끌고 있습니다
지금 5년차이고 얼마전 사고로
한쪽 헤드라이트를 교체하는 바람에
한쪽에 온 백화로 더 독보이더라고요..
근데 외부백화인지
내부백화인지 구분이 어려워서
글을 써봅니다 :(
백화증상이 보인 헤드라이트 4년 동안 PPF가
있다가 사고로 한쪽도 새 PPF로 교환을 받았는데도
백화가 그대로여서 여쭤봅니다.
ppf를 붙어도 외부에 백화가 올수있나요?
2019.11.15 15:36:46 (*.33.184.201)
hid램프 장착 차량이면 hid램프 자체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백화 가능하지요. ppf필름이 제아무리 잘났어도 태양광의 자외선을 100% 차단할 거라는 보장도 없겠고요, 순정 UV코팅도 용가리 통뼈가 아니라 열화할테고..
재미있는건, 저도 3년 정도 탄 차량(니로 초기형)의 헤드램프에 크랙이 생기는 문제로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한 쪽만 보증교체 받았는데 일상용 차라 여름에 거의 주광하 노지주차였음에도 백화 수준이 양 쪽이 느끼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더군요. 물론 PPF 같은건 시공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마도 UV코팅이나 헤드램프 커버의 재질의 개선이 알게 모르게 되고 있는 듯 합니다.
2019.11.16 00:45:15 (*.101.194.222)

제논가스로 인한 그을림 및 백화로 보여지내요.
아무리 필름을 붙이거나 유리막.세라믹을 올려도 내부에서 발생하는 제논가스에 의한 오염은 피할수 없어요.
헤드라이트 복원으로 잡을수 있을듯 합니다.
네이x 비엠타는 공돌x님 과 같은 분께 의뢰하시면 될듯합니다.
아무리 필름을 붙이거나 유리막.세라믹을 올려도 내부에서 발생하는 제논가스에 의한 오염은 피할수 없어요.
헤드라이트 복원으로 잡을수 있을듯 합니다.
네이x 비엠타는 공돌x님 과 같은 분께 의뢰하시면 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