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 하세요.
스테빌라이저 질문입니다.
에프터마켓 스테빌라이저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우연히 중공 스테빌라이저란 것을 보았는데 arc 라는 회사에서 나오고 , 훨씬 가볍다고
선전을 하면서 팔고 있는데.. 혹 중공 스테빌라이저란것을 사용해보신적이 있으신지요.
쇠막대기의 비틀림을 이용하려면 솔리드 구조여야 할것 같은데. 중공으로 만들어서 제대로된 성능이 나오는지 상당히 궁금합니다. 다른 회사(아이박, H&R)같은곳에서 좋으면 벌써 만들었을텐데 안나오는것 보면
혹 무슨 문제라도 있는것이 아닌지 상당히 궁금해 집니다.
경험이나 , 정보 있으신분은 부탁 드립니다.
* 구글링을 해보니 아이박에서도 나오고 있긴 하네요.

강성부분에서 더 우월합니다. (교량/건축부분의 자재를 생각해보시면 쉬울듯)
가벼우면서 더 강한 강성을 확보할 수가 있죠.
무게대비 강한 강성이 아닐런지요?
무게가 큰 차이를 주지 않는 두랄루민 스테빌은 속찬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경주용에는 최대한 가벼운 것이 유리하겠지요.
중공은 동일한 사이즈의 솔리드타입 축 보다 비틀림 강성이 높습니다.
또한 전단 강성도 우수해 많은 부분에서 사용을 합니다.
임진성님/ 같은무게 라면 중공이 더 강한것이 맞습니다.
반대로, 같은 강성이라면 중공이 더 가볍게 만들수 있습니다. 고로 중공축이 더 낫다는 말이죠.
그리고 스테빌은 두랄루민등의 재질로 만들수 없습니다. 스프링강이라는 복원력 탄성등이 월등한 철의 한 종류로 만듭니다.
박종인님/ 동일 재질에 동일 직경이라면 더강할수도, 더약할수도 있습니다.
동일 재질에, 동일 직경이라면 중공축의 두께(t) 에 따라 달라지죠. 정확히는 박종인님 말씀은 틀린 말입니다.
기준을 두고 계산해보면 답나오겠지만 계산법을 배웠는데 생각이 안나네요..책도 없고..
같은 외경이라면 두께에 따라 중공축이 더 강할수 있는지 확실히 모르겠네요..고수분들 답변좀..ㅎㅎ
아마도 더 강할수 있을것 같긴합니다.
확실한건 같은 재질에 같은 단면적, 즉 외경은 더크고 같은 무게의 중공축 이라면 중공축이 더 강한것이 맞습니다.
물런 기장은 같다는 가정하에..
아이박,다나베등도 중공 스웨이바가 나오고 있긴합니다.(제네시스쿠페용등)
성능상으로 중공이라서 나쁠것도 없고 좋은것도 그닥 없는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