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차 관리엔 정석이 없다?
오늘 이말을 실감하지 않나 싶습니다.
GTI가 2000km 주행을 해서 엔진오일을 처음 갈아볼까 하고
(최초 엔진오일 교체는 보통 1000km 넘으면 해야한다고하니까..)
여기저기 알아봤습니다. 마침 다른일로 딜러와 통화하고
상황이 이렇다..했더니 하지 말라고 하네요
이유인즉슨, 국산차는 최초 1000km 에 해야할 필요성이 있을수도 있지만
GTI 같은경우 센터 미케닉에게 물어본결과 별의미 없다..라고 했다는군요
저같은 경우때문에 자주 물어봤는데 쿠폰북에 있듯이 15,000에 처음 갈고
빨리 갈고 싶으면 차라리 5000km 타고 갈라고 했다네요
동호회에서는 최초 1000~2000km 에 안갈면 안된다고 하고 센터에서는
아니다라고 하는 상황입니다. 오늘 이런일을 겪고 나니 차 관리엔 정석이
없는것인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오늘 이말을 실감하지 않나 싶습니다.
GTI가 2000km 주행을 해서 엔진오일을 처음 갈아볼까 하고
(최초 엔진오일 교체는 보통 1000km 넘으면 해야한다고하니까..)
여기저기 알아봤습니다. 마침 다른일로 딜러와 통화하고
상황이 이렇다..했더니 하지 말라고 하네요
이유인즉슨, 국산차는 최초 1000km 에 해야할 필요성이 있을수도 있지만
GTI 같은경우 센터 미케닉에게 물어본결과 별의미 없다..라고 했다는군요
저같은 경우때문에 자주 물어봤는데 쿠폰북에 있듯이 15,000에 처음 갈고
빨리 갈고 싶으면 차라리 5000km 타고 갈라고 했다네요
동호회에서는 최초 1000~2000km 에 안갈면 안된다고 하고 센터에서는
아니다라고 하는 상황입니다. 오늘 이런일을 겪고 나니 차 관리엔 정석이
없는것인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2008.03.25 12:39:49 (*.94.1.37)
사실 국산차도 1000Km에서 교환을 해야할 필요성도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구시대적인 관습이 지속되고 있는것 뿐이죠.... 렌트카 회사에서 관리되는 차량들은 1000Km 주행후 교환은 모두 하질 않고 10000Km에서 교환하는차량이 대부분입니다...
그냥 차에 더 좋을것이다라는 생각으로 1000Km에 교환을 하는것이지 교환을 안했다고 차에 문제가 생기진 않는다는것이 제 의견입니다. 고로 정석은 없죠..^^
저 역시 광유 3000Km 합성유 8000Km를 타고 교환했었는데... 이젠 귀차니즘과 차량을 잘 안가지고 다니다보니... 지난번 오일교환하고는 거진 1년이 다되어갑니다... 아직 3000Km도 뛰지 않았고... 교환할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냥 차에 더 좋을것이다라는 생각으로 1000Km에 교환을 하는것이지 교환을 안했다고 차에 문제가 생기진 않는다는것이 제 의견입니다. 고로 정석은 없죠..^^
저 역시 광유 3000Km 합성유 8000Km를 타고 교환했었는데... 이젠 귀차니즘과 차량을 잘 안가지고 다니다보니... 지난번 오일교환하고는 거진 1년이 다되어갑니다... 아직 3000Km도 뛰지 않았고... 교환할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2008.03.25 12:52:31 (*.225.112.13)

오일을 갈고, 가끔 주행해서 주행거리가 적어도, 기간이 지나면 바꿔줘야한다는걸로 압니다.
한번 열을 받은 오일은, 쉽게 변질된다고 들었거든요..
기간이 지나면, 윤활성능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첫 1000키로,마일에 갈아주는것은.. 그냥 기분아닐까요?
예전차들은 쇳가루가 나온다지만.. 지금은 그 양이 현저히 줄었고..
그래도 그냥 다들 나름 아낀다는 식으로 갈아주는거 같습니다..
break-in period도 천천히 달리는 사람과, 마구 달려주는 사람..
다들 주인 마음인계죠 ㅎㅎㅎ
한번 열을 받은 오일은, 쉽게 변질된다고 들었거든요..
기간이 지나면, 윤활성능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첫 1000키로,마일에 갈아주는것은.. 그냥 기분아닐까요?
예전차들은 쇳가루가 나온다지만.. 지금은 그 양이 현저히 줄었고..
그래도 그냥 다들 나름 아낀다는 식으로 갈아주는거 같습니다..
break-in period도 천천히 달리는 사람과, 마구 달려주는 사람..
다들 주인 마음인계죠 ㅎㅎㅎ
2008.03.25 13:01:58 (*.192.187.141)

신차일땐 천키로 마다 길들이기 오일갈고..뭐하고..하다가 몇년 지나면서 연료필터도 한번 안갈아줘서 막히는 경우가 많죠..;;
신차일땐 좀 자제하고 년식이 지날수록 더 꼼꼼하게 정비하는것이 일반화 되어야 할텐데..
개인적으로도 레이스용 엔진 길들이는거 아니라면 천키로 교환은 좀 오버라고 생각해요..
신차일땐 좀 자제하고 년식이 지날수록 더 꼼꼼하게 정비하는것이 일반화 되어야 할텐데..
개인적으로도 레이스용 엔진 길들이는거 아니라면 천키로 교환은 좀 오버라고 생각해요..
2008.03.25 14:21:17 (*.228.196.29)

필터성능이 좋아져서 1000키로후 교환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만... 정신 건강을 위해 5000키로 뛰고 교환했습니다.
그 이후는 일본bmw 딜러들은 12000키로라고 하는데(국내딜러는 25000키로) 주행거리가 그리 많지 않기때문에 8000키로에 교환하고 있습니다.
그 이후는 일본bmw 딜러들은 12000키로라고 하는데(국내딜러는 25000키로) 주행거리가 그리 많지 않기때문에 8000키로에 교환하고 있습니다.
2008.03.25 14:21:48 (*.133.138.117)

연소조건, 오일퀄리티 등에 따라서 오일교환주기는
1000km~15000km까지 다양합니다.
요즘차들 기준으로 최적조건시 15000km
가혹조건시 7500km가 일반적입니다만.. ;;
테드에 오시는분들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가혹조건의 범주를
넘어서는 분이 많은지라.. ㅋ
높은 퀄리티의 롤라이프계열 엔진오일의 경우 7500~15000km
그외 엔진오일은 5000km를 넘으시면 별로 좋은일이 없을것입니다.. ^^;;
1000km~15000km까지 다양합니다.
요즘차들 기준으로 최적조건시 15000km
가혹조건시 7500km가 일반적입니다만.. ;;
테드에 오시는분들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가혹조건의 범주를
넘어서는 분이 많은지라.. ㅋ
높은 퀄리티의 롤라이프계열 엔진오일의 경우 7500~15000km
그외 엔진오일은 5000km를 넘으시면 별로 좋은일이 없을것입니다.. ^^;;
2008.03.25 15:01:32 (*.238.96.153)

홀든 서비스 매뉴얼에 따르면 매 12개월마다도 교환 하라고 되어있더군요..
너무 오래 열과 공기에 노출되어있으면 킬로수가 적더라도 변질이
되는듯 합니다...
너무 오래 열과 공기에 노출되어있으면 킬로수가 적더라도 변질이
되는듯 합니다...
2008.03.25 16:04:32 (*.253.219.194)

제가 들은바로...
그리고 실제로 행하는 바로...
는 엔진오일은 뚜껑따고 사용하기 시작하면 산화되기 시작합니다.
고로 6개월 또는 1만키로 중에 선도래 시점에 교환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행하는 바로...
는 엔진오일은 뚜껑따고 사용하기 시작하면 산화되기 시작합니다.
고로 6개월 또는 1만키로 중에 선도래 시점에 교환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008.03.25 17:19:03 (*.137.131.41)

vgo에서 제가 좀 더 타시라고 리플 남겼는데...다른 분들은 빨리 교환하라고 리플 남기셨나보네요.ㅋㅋ
실제 요즘 국산차도 2천킬로에 들어가면 <더 타다 오셔도 괜찮습니다>라는 말을 듣습니다. 엔진도 좋아졌지만 오일도 많이 좋아졌죠.
실제 요즘 국산차도 2천킬로에 들어가면 <더 타다 오셔도 괜찮습니다>라는 말을 듣습니다. 엔진도 좋아졌지만 오일도 많이 좋아졌죠.
2008.03.25 18:44:46 (*.145.162.179)

환경도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 그냥 매뉴얼대로만 관리해도 20만 Km 타는데 문제 없습니다.
20만 Km를 10년동안 타겠다.. (뭐 그러는 분들이 많지는 않지만 차주가 바뀌더라도 그 차의 입장에서 20만 Km를 주행했다고 본다면) 1만5천k 마다 갈면 13번 갈겠군요. 6리터씩 썼다면 80리터의 윤활유를 쓰고 버린 셈입니다. 10년동안.
5천 K 마다 갈면 그 3배인 240리터의 윤활유를 쓰고 버렸겠죠.. 5천 k 마다 교환한 차량과 1만5천k 마다 교환한 차량의 성능차이? 가 그정도 가치가 있을까요? 후손들한테 160리터 의 오염된 윤활유를 안겨줄만큼...? Feeling 의 차이가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 분명히 심리적 만족은 있죠.. 조금만 환경적 측면에서의 사치를 자제한다면 훨씬 적은 양의 윤활유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20만 Km를 10년동안 타겠다.. (뭐 그러는 분들이 많지는 않지만 차주가 바뀌더라도 그 차의 입장에서 20만 Km를 주행했다고 본다면) 1만5천k 마다 갈면 13번 갈겠군요. 6리터씩 썼다면 80리터의 윤활유를 쓰고 버린 셈입니다. 10년동안.
5천 K 마다 갈면 그 3배인 240리터의 윤활유를 쓰고 버렸겠죠.. 5천 k 마다 교환한 차량과 1만5천k 마다 교환한 차량의 성능차이? 가 그정도 가치가 있을까요? 후손들한테 160리터 의 오염된 윤활유를 안겨줄만큼...? Feeling 의 차이가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 분명히 심리적 만족은 있죠.. 조금만 환경적 측면에서의 사치를 자제한다면 훨씬 적은 양의 윤활유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2008.03.25 20:30:30 (*.64.142.163)

예전에야 쇳가루때문에 1000km에서 교환해줬다 하지만 지금은 천키로에서 교환해주는건
^^.. 좀 아니라는 생각이드내요
애마 생각하는마음은 이해가 막옵니다 ~
^^.. 좀 아니라는 생각이드내요
애마 생각하는마음은 이해가 막옵니다 ~
2008.03.25 23:59:31 (*.142.61.180)
엔진이 중요한지 아니면 우리 모두의 환경이 중요한지 생각하면 이런 질문은 더 이상 필요 없지 않을까요.독일 아우토반이 환경 문제로 속도 제한이 생긴다는데 우리는 아직도....
2008.03.26 03:25:25 (*.51.214.6)

예전 테스트할때의 이야기입니다만 개발중인 차량에도 쉽사리 엔진오일 교환 안했던걸로 알고있어요 대신 1000km 4000km 7000km 10000km....형식으로 정검을했던 추억이....사내테스트는 자사에서 추천하는 순정광유로하니 안심하셔도되요 문제없습니다 ^^ 요즘은 어떻게하는가 모르겠네요
2008.03.26 03:27:29 (*.51.214.6)

아 그러고보니 차량 운용상태에 따라 소모성이 달라지는건 좀 있겠군요
(서킷뛰기전후로 오일체인지 하는건 거의 상식이 되어있으니 말이죠~)
(서킷뛰기전후로 오일체인지 하는건 거의 상식이 되어있으니 말이죠~)
2008.03.26 09:32:36 (*.106.68.2)
요듬 아주 조금씩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이 생겨서인지...
이종권님 글이 인상 깊습니다.
참고로 환경을 무지막지하게 회손하는 회사일을 하는 사람인지라...
조금은 우리 자녀들이 운전하고 다닐 세상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할거 같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오픈카생산이 안되는날이 올지도...
이종권님 글이 인상 깊습니다.
참고로 환경을 무지막지하게 회손하는 회사일을 하는 사람인지라...
조금은 우리 자녀들이 운전하고 다닐 세상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할거 같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오픈카생산이 안되는날이 올지도...
2008.03.26 11:22:35 (*.134.225.3)
환경... 생각지도 않았는데
이종권님 글 보고 정말 번쩍 눈이 떠지네요 ^^;;
저는 그냥 일반적 반합성유로 짧게는 1만키로.
길게는 1.5만키로 쓰는데..
알게모르게 환경을 보호했군요...
몸이 둔해서 인지... 좀 길게써도 약간 털털거린다?
는 느낌 이외에는 별다른 느낌을 못받았습니다.
연비,진동,소음 크게 차이는 안난다는 느낌...
새차일때 1천키로에 오일을 갈아준다는거...
97년쯤에 엑센트때 한번 해봤고. 04년에 베르나때 한번해봤는데
현저하게 달라졌더군요... 베르나는 오일아까웠습니다.
그냥 드레인볼트에 쇳가루 약간...
그정도는 지금도 오일갈면서 나옵니다.
이종권님 글 보고 정말 번쩍 눈이 떠지네요 ^^;;
저는 그냥 일반적 반합성유로 짧게는 1만키로.
길게는 1.5만키로 쓰는데..
알게모르게 환경을 보호했군요...
몸이 둔해서 인지... 좀 길게써도 약간 털털거린다?
는 느낌 이외에는 별다른 느낌을 못받았습니다.
연비,진동,소음 크게 차이는 안난다는 느낌...
새차일때 1천키로에 오일을 갈아준다는거...
97년쯤에 엑센트때 한번 해봤고. 04년에 베르나때 한번해봤는데
현저하게 달라졌더군요... 베르나는 오일아까웠습니다.
그냥 드레인볼트에 쇳가루 약간...
그정도는 지금도 오일갈면서 나옵니다.
이전보다 더욱 정밀한 제조가 가능 하기에 그렇겠지요.^^
시간이 지나고 기술이 발전할수록 출고후 첫 오일교환등의 문제는 점점 없어질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