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펌] 한국만 베끼냐???
http://kr.blog.yahoo.com/ppao2/1069
약간 심심풀이 재미로 읽을만한 글입니다. ^^;
어떻게 보면 최근들어 디자인 문제로 이래나 저래나 말이 많죠(시쳇말로 까인다고 하지요^^)
무슨 차는 무슨차와 복사판이네, 판박이네 말이 많습니다.
오래전 오피러스도 재규어냐(앞모습), 뉴요커냐(C필러 곡선) 말이 많았지요.
지금 제네시스 쿱(BK)도 브레이크 등 모양이 다를지언정 G37 복사판이라는 말도 돕니다.
제네시스도 이런저런 느낌이 난다고 이리저리 말이 많지요. 전 뭔가 현대차 특유의,
친숙하면서 묘하게 다른 차의 냄새가 나는 것 같은 무난하고 괜찮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분명 메이커마다 특징이 있습니다만 그것을 꼭 다른 차가 가져와 쓰지 마란 법이 있을까?
라고도 생각해봅니다. 예를 들면 땡그란 두 눈을 보면 포르쉐가 연상되는데
그런 헤드라이트를 쓰면 안 될까요? (물론 안 될껀 없겠지만 -_-)
앞으로도 말이 많겠지만, 테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듣고싶어 퍼와봅니다. ^^
분명 자동차 디자인이 트랜드가 있고, 한계가 있지만 아직도 새로 나오는 차들을 보면
재밌습니다. 계속 다른 디자인이 있고 독창적인 모양도 있고, 시류를 재 해석해 나오는 차도 있고
세월히 흘러도 무난한 현대차도 있구요 ㅎㅎㅎ.
ps. 이번달 모터트랜드에선 BK를 소개하면서 여러번 G37을 언급했었습니다 그러면서,
"..... 전체적 비례가 G37을 닮았다. (and really, what coupe doesn't?)"
"근데 있지, 안 그런 쿱도 있어?" 이런 의미로 받아들였습니다. (일천한 영어 실력이 들어나는 순간이군요 ㅡㅜ)
http://kr.blog.yahoo.com/ppao2/1069
약간 심심풀이 재미로 읽을만한 글입니다. ^^;
어떻게 보면 최근들어 디자인 문제로 이래나 저래나 말이 많죠(시쳇말로 까인다고 하지요^^)
무슨 차는 무슨차와 복사판이네, 판박이네 말이 많습니다.
오래전 오피러스도 재규어냐(앞모습), 뉴요커냐(C필러 곡선) 말이 많았지요.
지금 제네시스 쿱(BK)도 브레이크 등 모양이 다를지언정 G37 복사판이라는 말도 돕니다.
제네시스도 이런저런 느낌이 난다고 이리저리 말이 많지요. 전 뭔가 현대차 특유의,
친숙하면서 묘하게 다른 차의 냄새가 나는 것 같은 무난하고 괜찮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분명 메이커마다 특징이 있습니다만 그것을 꼭 다른 차가 가져와 쓰지 마란 법이 있을까?
라고도 생각해봅니다. 예를 들면 땡그란 두 눈을 보면 포르쉐가 연상되는데
그런 헤드라이트를 쓰면 안 될까요? (물론 안 될껀 없겠지만 -_-)
앞으로도 말이 많겠지만, 테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듣고싶어 퍼와봅니다. ^^
분명 자동차 디자인이 트랜드가 있고, 한계가 있지만 아직도 새로 나오는 차들을 보면
재밌습니다. 계속 다른 디자인이 있고 독창적인 모양도 있고, 시류를 재 해석해 나오는 차도 있고
세월히 흘러도 무난한 현대차도 있구요 ㅎㅎㅎ.
ps. 이번달 모터트랜드에선 BK를 소개하면서 여러번 G37을 언급했었습니다 그러면서,
"..... 전체적 비례가 G37을 닮았다. (and really, what coupe doesn't?)"
"근데 있지, 안 그런 쿱도 있어?" 이런 의미로 받아들였습니다. (일천한 영어 실력이 들어나는 순간이군요 ㅡㅜ)
2008.04.15 16:42:50 (*.127.196.187)
디자인은 독창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디자이너의 개성과 창의력이 돋보이는 혹은 적어도 디자이너의 고심이 느껴지는 디자인을 좋아합니다
디자인 트렌드를 따라가는것과 베끼는것과는 별차이 없어보이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디자인 이란것이 특허를 내기도 어려운 분야라 디자이너들이 양심없이 베끼고도 전혀 가책을 못느끼는 분야 같습니다
대놓고 베낀수준의 디자인들이 꽤 많습니다 (특히 과거 일제차나 현재 우리나라차 독자모델들...)
성능은 올라갔어도 디자인은 생뚱맞거나 베끼거나... 그런차들 볼때마다 매우 안타깝습니다
개인적으로 디자이너의 개성과 창의력이 돋보이는 혹은 적어도 디자이너의 고심이 느껴지는 디자인을 좋아합니다
디자인 트렌드를 따라가는것과 베끼는것과는 별차이 없어보이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디자인 이란것이 특허를 내기도 어려운 분야라 디자이너들이 양심없이 베끼고도 전혀 가책을 못느끼는 분야 같습니다
대놓고 베낀수준의 디자인들이 꽤 많습니다 (특히 과거 일제차나 현재 우리나라차 독자모델들...)
성능은 올라갔어도 디자인은 생뚱맞거나 베끼거나... 그런차들 볼때마다 매우 안타깝습니다
2008.04.15 17:29:45 (*.133.99.200)

우리나라 메이커의 디자인 능력은 이제 세계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쏘나타 시리즈만 하더라도 나름대로 독창적인 캐릭터를 구축했으며 한국차를 따라한 외국차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기아의 쏘렌토와 카렌스는 일본차인 RX300과 입섬을 그대로 베낀 차라 아쉽습니다. 90년대도 아니고 21세기에 일본차를 그대로 베껴서 국내에서 히트쳤으니 말입니다.
2008.04.15 21:48:37 (*.187.237.147)

주영님 말씀에 초공감합니다. 컨셉카 때의 개성있고 멋진 모습을... 대중화를 의식하는건지 뭔지 성형수술을 시켜 내보내니 환장합니다. 그런 사례 볼때마다 '내가 가진 취향은 대중적인 취향과 거리가 먼건가? 난 4차원인건간? 외계인인간?' 하는 생각이 들어 정신적인 피해가 큽니다.
2008.04.15 22:05:40 (*.62.85.162)

분명 디자인 수준은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양산형으로 확정지어가면서 윗선(나이많으신분들)으로 결제가 올라갈수록 반려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분(?)들은 좀 더 안정적이고 무난하며 롱런할수 있는.. 모험을 굳이 택하지 않는다고할까요? 젊은 피들이 많아지고 그런사람이 윗선에 올라가게 되면 달라지겠죠..
2008.04.15 22:53:57 (*.147.157.83)

저도 주영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아무래도 현대 결제라인의 뒤떨어진 현실감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지요.. 디자인 하면 뭔가 멋있고 잘빠져보이는 것만에 집착함도 문제겠지요 그러다 보니 트렌드에 종속된 디자인만 인정받게 되고...사실상 제대로 된 비쥬얼이나 ux컨셉이 트렌드를 리드하는 것일텐데요
2008.04.16 10:22:28 (*.70.214.131)

우리나라 자동차 디자이너의 실력도 이미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판매를 위해서는 안전하고 팔릴만하게 변형시켜야 하기에
어느정도 실차에서의 디자인이 그럴수밖에 없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테드에서와 같은 매니아들이 좋아하는 디자인이라면
오히려 판매에는 실패할수도 있겠지요
다만 판매를 위해서는 안전하고 팔릴만하게 변형시켜야 하기에
어느정도 실차에서의 디자인이 그럴수밖에 없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테드에서와 같은 매니아들이 좋아하는 디자인이라면
오히려 판매에는 실패할수도 있겠지요
처음부터 그런 디자인 기조로 간다..라고 컨셉카부터 나오면 사람들이 아..디자인 흐름.. 이럴텐데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