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미천한 운전실력의 이상훈입니다^^;
오늘 있었던 일이었습니다.
늘 다니던 왕복 2차선 국도가 있습니다. 한적한 시골길이고, 적당히 굽이치는 길이라 부담없이 와인딩을 즐기기에 참 편한 길이지요.
수십번을 왕복한 길이기에 제 차로 돌아나갈 수 있는 한계속도도 대강 파악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역시 그 길로 귀가하면서 여유롭게 즐기고 있었지요.
90도정도 되는 좌측 코너가 하나 있습니다. 제 운전실력과 제 차의 성능으로는 90-100정도가 한계인 코너이지요.
여유롭게 80으로 돌아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맞은편에서 트레일러가 한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려니 했으나...그 트레일러는 중앙선을 30cm이상 넘어서 돌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머릿속으로 아차! 했지요. 트럭은 코너의 정점 부근에서 머리를 제 차선으로 디밀고 있었고, 저는 어쩔수 없이 핸들을 풀어서 그 트럭을 피한 뒤, 다시 급한핸들로 라인을 찾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몇번 경험해봐서 알지만, 이런 경우엔 대개 오버스티어가 발생하더군요.(뉴ef 순정입니다..)
이런 식의 오버스티어때문에 사고도 당한 적이 있습니다.
머릿속에서는 온통 차가 미끄러지는 것에 대한 생각 뿐입니다. '후륜이 흐르면 핸들을 살짝 풀러야지, 브레이크는 밟으면 안되고 카운터를 너무 많이 주면 리버스 스티어로 바로 병원행이다...살짝만...살짝만...'
그런데 차 뒤가 생각보다 훨씬 많이 흘러버립니다. 어떻게 어떻게 반대편 차량과의 추돌을 피하면서 빠져나왔습니다. 왜 많이 흘러 버렸냐 하면...오른쪽 길가에 공사장 트럭들이 지나가면서 흘려놓은 무수한 모래와 흙이 쌓여 있었고, 우측 후륜이 그곳을 밟으면서 그립을 급히 잃어버린 것이지요...-_-
엄청난 스키드음과 함께 가까스로 코너 탈출, 땀나는 손을 에어컨 바람에 말리면서 생각해보니 후륜을 미끄러뜨리는 연습이 아직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상했던만큼만 뒤가 흘렀다면 비교적 덜 당황하고 코너를 빠져나왔을텐데, 짧은 순간에 적잖이 뒤가 흘러버리니 많이 당황해서 또 전과같이 리버스를 내 버릴 뻔 했거든요...^^;;
드라이빙 스쿨이라도 좀 알아봐야 하겠습니다...^^;;
오늘 있었던 일이었습니다.
늘 다니던 왕복 2차선 국도가 있습니다. 한적한 시골길이고, 적당히 굽이치는 길이라 부담없이 와인딩을 즐기기에 참 편한 길이지요.
수십번을 왕복한 길이기에 제 차로 돌아나갈 수 있는 한계속도도 대강 파악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역시 그 길로 귀가하면서 여유롭게 즐기고 있었지요.
90도정도 되는 좌측 코너가 하나 있습니다. 제 운전실력과 제 차의 성능으로는 90-100정도가 한계인 코너이지요.
여유롭게 80으로 돌아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맞은편에서 트레일러가 한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려니 했으나...그 트레일러는 중앙선을 30cm이상 넘어서 돌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머릿속으로 아차! 했지요. 트럭은 코너의 정점 부근에서 머리를 제 차선으로 디밀고 있었고, 저는 어쩔수 없이 핸들을 풀어서 그 트럭을 피한 뒤, 다시 급한핸들로 라인을 찾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몇번 경험해봐서 알지만, 이런 경우엔 대개 오버스티어가 발생하더군요.(뉴ef 순정입니다..)
이런 식의 오버스티어때문에 사고도 당한 적이 있습니다.
머릿속에서는 온통 차가 미끄러지는 것에 대한 생각 뿐입니다. '후륜이 흐르면 핸들을 살짝 풀러야지, 브레이크는 밟으면 안되고 카운터를 너무 많이 주면 리버스 스티어로 바로 병원행이다...살짝만...살짝만...'
그런데 차 뒤가 생각보다 훨씬 많이 흘러버립니다. 어떻게 어떻게 반대편 차량과의 추돌을 피하면서 빠져나왔습니다. 왜 많이 흘러 버렸냐 하면...오른쪽 길가에 공사장 트럭들이 지나가면서 흘려놓은 무수한 모래와 흙이 쌓여 있었고, 우측 후륜이 그곳을 밟으면서 그립을 급히 잃어버린 것이지요...-_-
엄청난 스키드음과 함께 가까스로 코너 탈출, 땀나는 손을 에어컨 바람에 말리면서 생각해보니 후륜을 미끄러뜨리는 연습이 아직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상했던만큼만 뒤가 흘렀다면 비교적 덜 당황하고 코너를 빠져나왔을텐데, 짧은 순간에 적잖이 뒤가 흘러버리니 많이 당황해서 또 전과같이 리버스를 내 버릴 뻔 했거든요...^^;;
드라이빙 스쿨이라도 좀 알아봐야 하겠습니다...^^;;
2008.05.14 13:33:16 (*.231.44.54)

문막에서 열리는 교통안전공단 안전교육 내용중에 위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좌측 바퀴쪽을 인위적으로 미끄럽게 해놓고 진입과 동시에 브레이킹... 뒤가 흐르면 카운터로 안정시키는 것과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급핸들조작(긴급회피)시 차가 돌아가는 것을 핸들링으로 안정화 시키는 것을 연습시키죠. 반복 교육으로 어느정도 감을 잡을때까지 행해집니다. 좋은 교육과정이라 생각됩니다.
2008.05.14 13:54:45 (*.133.99.200)

왕복 2차선 국도를 많이 다니다보니 대형차, 소형차를 막론하고 꼭 중앙선을 불필요하게 넘는 인간들이 있더군요. 차를 돌려 쫓아가서 보복을 할 수도 없고 가급적 바깥으로 붙어서 다니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2008.05.14 14:38:14 (*.238.96.223)

무수한 모래와 흙 ... 잘못 밟으면 네바퀴 한거번에 미끌어져요...
그럴때 환장함.. ㅠ.ㅠ .. 한 30센티정도 옆으로 순간이동을 하더군요.
그럴때 환장함.. ㅠ.ㅠ .. 한 30센티정도 옆으로 순간이동을 하더군요.
2008.05.14 14:39:07 (*.146.172.52)

저도 얼마 전 조그마한 램프를 타다가 감속, 힐앤토를 한다는 것이,, 그 때 무슨 생각을 했는지.. 타이밍 놓치고 코너를 이미 돌고있는 상황에서 클러치를 붙이게 되었습니다.
ABS, TCS와는 거리가 먼 차라서 원초적으로 오버가 나는 바람에 식겁했는데요,,
어느 타이밍에서 그걸 감지하고서 방향을 되잡았는지는 지금 생각해도 모르겠지만
오토크로스에서의 비슷한 경험이 도움이 된 것 같더군요.^^;;
그 날 만큼은 연비를 위해서 타이어 폭을 줄였던 게 후회되더군요.. 너무도 쉽게 돌아버리니...
ABS, TCS와는 거리가 먼 차라서 원초적으로 오버가 나는 바람에 식겁했는데요,,
어느 타이밍에서 그걸 감지하고서 방향을 되잡았는지는 지금 생각해도 모르겠지만
오토크로스에서의 비슷한 경험이 도움이 된 것 같더군요.^^;;
그 날 만큼은 연비를 위해서 타이어 폭을 줄였던 게 후회되더군요.. 너무도 쉽게 돌아버리니...
2008.05.14 14:45:08 (*.229.115.101)

이상훈님이 겪으신 상황에선 훈련이 많이된 사람도 비슷한 반응을 할겁니다. 물리적인 사실만 놓고 보면 그렇죠. 평범한 도로에서의 예측운전도 중요하지만, 코너를 달리는 상황에선 일어날수있는 모든상황을 가능한 만큼 예측하는게 선결되어야 합니다.
좌측 블라인드 코너라면, 중앙선을 넘는차나 같은방향 서행차.. 무단횡단하는 자전거나 경운기, 사람까지..예측 가능하죠. 빨리 달리는 중에도 블라인드 코너의 경우엔 가능한 탈출구가 확실히 보이는 시점까지는 아웃라인을 타고, 다음직선 시야가 확보되는 시점부터 코너정점(CP)을 거쳐 나가는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단차선이라면 단차선 내에서 실행하고요..
아웃라인으로 진입하다보면 당연히 도로외곽의 노면상태를 미리 볼수있고, 마음의 여유를 한결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 열거하신 ' 리버스때 어떻게..핸들량은 어떻게~' 요런 내용이 다 맞습니다. 침착하게 상황에 대비하려면,'예측'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마인드에 따라 당황정도의 레벨은 더 낮아질거 같네요. ^^
좌측 블라인드 코너라면, 중앙선을 넘는차나 같은방향 서행차.. 무단횡단하는 자전거나 경운기, 사람까지..예측 가능하죠. 빨리 달리는 중에도 블라인드 코너의 경우엔 가능한 탈출구가 확실히 보이는 시점까지는 아웃라인을 타고, 다음직선 시야가 확보되는 시점부터 코너정점(CP)을 거쳐 나가는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단차선이라면 단차선 내에서 실행하고요..
아웃라인으로 진입하다보면 당연히 도로외곽의 노면상태를 미리 볼수있고, 마음의 여유를 한결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 열거하신 ' 리버스때 어떻게..핸들량은 어떻게~' 요런 내용이 다 맞습니다. 침착하게 상황에 대비하려면,'예측'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마인드에 따라 당황정도의 레벨은 더 낮아질거 같네요. ^^
2008.05.14 14:51:03 (*.229.115.101)

의도적인 슬라이드를 시키거나, 슬립에 대응하는 방법은 짐카나 트레이닝이 도움 많이 되는데.. 보통 드라이빙스쿨에서도 심도있게 다루지 못합니다. 두어번 해보고 상황만 경험해보는거죠. 트랙달리기를 종종 경험하는것도 도움이 되고.. 기회될때 짐카나 트레이닝에 함께 하시면 좋을거 같네요. 조만간 테드와 까로마니 회원대상으로 짐카나 트레이닝겸 오토크로스 경기를 시행해볼 생각입니다. 장소 구해지는 대로요. 그때 꼭~함께 하시면 좋겠네요.ㅋ
2008.05.14 15:07:31 (*.235.34.143)
저는 비오는 날이면 일부러 사이드 땡겨서 뒤를 흘려보면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공부해보곤 하는데, 1년에 기껏해야 한달 비오는 동네라 그것도 힘드네요.. ㅋㅋ
2008.05.14 19:19:42 (*.154.51.22)

오 - 잘 피하셨네요
저도 뉴이엡입니다. 이엡이 뒤가 가벼운 차량은 아닌데 이상하게 뒤가
흐르더라는 오너가 꽤 계시더군여.. 저도 몇 번 겪어 봤고.. 노면탓인지..
미끄러뜨리는 연습의 필요성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는 밤에 문열린 학교 운동장에 종종 들어가 차를 돌려보곤 했습니다
차에도 무리가 덜 갈것 같구.. 지인들과 동영상도 찍으며 놀구여ㅎㅎ ^^;
저도 뉴이엡입니다. 이엡이 뒤가 가벼운 차량은 아닌데 이상하게 뒤가
흐르더라는 오너가 꽤 계시더군여.. 저도 몇 번 겪어 봤고.. 노면탓인지..
미끄러뜨리는 연습의 필요성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는 밤에 문열린 학교 운동장에 종종 들어가 차를 돌려보곤 했습니다
차에도 무리가 덜 갈것 같구.. 지인들과 동영상도 찍으며 놀구여ㅎㅎ ^^;
2008.05.14 20:27:33 (*.46.122.32)

새벽에 넓고 차 없는 눈길에서 연습 많이 하시면 실제 돌발상황에서도 도움이 된다고 믿습니다..!! 과거 뉴그랜져(non ABS)로 사이드 잡고 날리고 심지어 모 동호회에서 주최한 슬라럼도 나가고 한 이후로 돌발상황 대처능력이 조금 생긴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서울에서는 상암동에 일부 아직 아파트가 입주하지 않은 블록이 몇 개 있는데 그런 곳에서 연습해보심을 추천합니다..!!
서울쪽은 마땅한 공터 찾기도 쉽지않고.. 학교운동장에서 잡아돌리긴 보기에도 안좋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