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별거 아닌것 같은 제목 이지만 매번 저건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기에 글을 올립니다.
두어달에 한 번 정도밖에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아서 저 자신이 그 흐름이나 암묵적인 룰에
따르지 못해서 느끼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고속도로를 주행하다가 보면 인터체인지나 휴게소 등에서 합류하는 차량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지선을 통해 합류하는 차량들로 인해 본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명절이나 연휴 등등 근본적으로 통행량이 많아서
발생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한산하던 고속도로가 갑자기 정체 비슷한 정도까지 갔다가
조금 지나면 또 여유가 있어지는 현상의 사이에는 보통 휴게소가 있는 것을 확인하곤 합니다.
짧은 제 생각으로는 본선으로 진입하기 전에 가속할 수 있는 차선에서 충분히 속도를 올리지
않은채 진입하기 때문인것 같은데, 생각보다 이를 지키지 않는 운전자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충분한 가속이 되지 않은채 본선으로 진입하고 또 가속차선의 중간쯤에서
그냥 본선으로 밀어 붙이는 모습은 너무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1차선 정속주행과 함께 지양해야 할 운전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시내 주행에서는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만날 수 있는데, 교차로 전방 수십미터 부터 좌회전
차량을 위해 넓어지는 좌회전 차선으로 진입하는 경우 입니다.
좌회전 차선에 차량이 많이 대기중인 경우에는 감속을 위한 거리가 충분치 못하므로 어쩔 수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때에도 1차선에서 미리 속도를 다 줄인 후에 좌회전 차선으로 들어가는
운전자들도 쉽게 만날 수 있지요.
물론 브레이크를 좀 더 밟아야 하고 또 가속시엔 연료를 좀 더 소모하게 되겠지만 나만 편하고
나만 안전하고 나만 돈 아끼자는 생각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파리 시내에서 인상깊었던것 중 하나는 신호등 맨 앞에 서 있는 차량들이 대부분 신호가 바뀌면
풀악셀 정도의 급출발을 하던 것입니다.
짧은 신호에 한대라도 뒷차들이 더 신호를 통과할 시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최소한의 배려가
아닐런지...
두어달에 한 번 정도밖에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아서 저 자신이 그 흐름이나 암묵적인 룰에
따르지 못해서 느끼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고속도로를 주행하다가 보면 인터체인지나 휴게소 등에서 합류하는 차량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지선을 통해 합류하는 차량들로 인해 본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명절이나 연휴 등등 근본적으로 통행량이 많아서
발생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한산하던 고속도로가 갑자기 정체 비슷한 정도까지 갔다가
조금 지나면 또 여유가 있어지는 현상의 사이에는 보통 휴게소가 있는 것을 확인하곤 합니다.
짧은 제 생각으로는 본선으로 진입하기 전에 가속할 수 있는 차선에서 충분히 속도를 올리지
않은채 진입하기 때문인것 같은데, 생각보다 이를 지키지 않는 운전자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충분한 가속이 되지 않은채 본선으로 진입하고 또 가속차선의 중간쯤에서
그냥 본선으로 밀어 붙이는 모습은 너무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1차선 정속주행과 함께 지양해야 할 운전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시내 주행에서는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만날 수 있는데, 교차로 전방 수십미터 부터 좌회전
차량을 위해 넓어지는 좌회전 차선으로 진입하는 경우 입니다.
좌회전 차선에 차량이 많이 대기중인 경우에는 감속을 위한 거리가 충분치 못하므로 어쩔 수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때에도 1차선에서 미리 속도를 다 줄인 후에 좌회전 차선으로 들어가는
운전자들도 쉽게 만날 수 있지요.
물론 브레이크를 좀 더 밟아야 하고 또 가속시엔 연료를 좀 더 소모하게 되겠지만 나만 편하고
나만 안전하고 나만 돈 아끼자는 생각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파리 시내에서 인상깊었던것 중 하나는 신호등 맨 앞에 서 있는 차량들이 대부분 신호가 바뀌면
풀악셀 정도의 급출발을 하던 것입니다.
짧은 신호에 한대라도 뒷차들이 더 신호를 통과할 시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최소한의 배려가
아닐런지...
2008.05.16 13:53:45 (*.161.237.86)

전 초보시절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그랬다가 아버지한테 엄청
혼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1) 타 차량과 속도가가 심할수록 더욱 위험
2) 소통흐름 방해 및 그로인한 연료손해
의 이유였는데요, 2)는 제쳐두고라도 1)만 보자면 염두해야할 사항임엔
분명할것 같습니다.
혼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1) 타 차량과 속도가가 심할수록 더욱 위험
2) 소통흐름 방해 및 그로인한 연료손해
의 이유였는데요, 2)는 제쳐두고라도 1)만 보자면 염두해야할 사항임엔
분명할것 같습니다.
2008.05.16 14:50:12 (*.46.117.69)

두가지 경우 다 정말 속터지는 경우죠... 뒤는 생각도 안하는...
그리고 더 위험한 경우는 가끔 4차선 고속화 도로에서 진입차량이 계속 들어오는데
4차선으로 과속으로 밀어붙이며 달리는 차량들은 정말 간튜닝을 심히 하신듯 합니다.
며칠전에 외곽순환 진입하는데 멀리서 부터 달려오며 3차선 차량을 추월하려고
줄줄이 합류차량이 많은 4차선으로 뛰어들어 경적과 하이빔을 날리며 가는 분도
계시더군요. 그래봐야 얼마 못갔던데 말이죠.
그리고 더 위험한 경우는 가끔 4차선 고속화 도로에서 진입차량이 계속 들어오는데
4차선으로 과속으로 밀어붙이며 달리는 차량들은 정말 간튜닝을 심히 하신듯 합니다.
며칠전에 외곽순환 진입하는데 멀리서 부터 달려오며 3차선 차량을 추월하려고
줄줄이 합류차량이 많은 4차선으로 뛰어들어 경적과 하이빔을 날리며 가는 분도
계시더군요. 그래봐야 얼마 못갔던데 말이죠.
2008.05.16 15:18:52 (*.11.60.2)

그러고보면 저는...
요즘 즐기고 있는 취미(..?)중 하나가,
출근할때 하남IC에서 하행선 중부고속도로를 타기위해 270도 회전을 해 합류할때, 회전 램프를 빠르게 돌아서, 합류 시점에 본선 차량보다 빠른속도로 합류해서 추월해 나가는걸 요즘 출근의 소소한 재미로 즐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글을 읽다 생각해보니.. 반대로 직진하던 차보다 오히려 더 빠른속도로 램프에서 튀어나오는 차량의 경우도, 상당히 위험하다면 위험할 가능성이 있겠군요 -_-
..암튼 램프 합류중 짜증나는걸로..
램프에서 나와서 속도 맞춰 합류하려고 가속차선에서 가속하려는데,
앞에서 가속차선 끝까지 들어갈 자리 찾느라 천천히 빌빌대는 차가 있는 경우와,
가속차선에서 속도를 맞췄더니 절대 못끼어들게 하려고 블록킹하는 본선 차량 -_-
전 이 두가지가 가장 짜증나더군요 -_-
요즘 즐기고 있는 취미(..?)중 하나가,
출근할때 하남IC에서 하행선 중부고속도로를 타기위해 270도 회전을 해 합류할때, 회전 램프를 빠르게 돌아서, 합류 시점에 본선 차량보다 빠른속도로 합류해서 추월해 나가는걸 요즘 출근의 소소한 재미로 즐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글을 읽다 생각해보니.. 반대로 직진하던 차보다 오히려 더 빠른속도로 램프에서 튀어나오는 차량의 경우도, 상당히 위험하다면 위험할 가능성이 있겠군요 -_-
..암튼 램프 합류중 짜증나는걸로..
램프에서 나와서 속도 맞춰 합류하려고 가속차선에서 가속하려는데,
앞에서 가속차선 끝까지 들어갈 자리 찾느라 천천히 빌빌대는 차가 있는 경우와,
가속차선에서 속도를 맞췄더니 절대 못끼어들게 하려고 블록킹하는 본선 차량 -_-
전 이 두가지가 가장 짜증나더군요 -_-
2008.05.16 16:07:06 (*.80.101.10)

매우 공감가는 이야기네요.. 리어뷰어미러에서 보이는 후방 차량의 속도를 지각하는 방법을 별도로 알려드려야 하는건지... 본선 진입을 50킬로도 안되는 속도로 하고 그러면 2차선에 오던 트럭은 1차선으로 변경하고 덕분에 1차선 밀리고... 덤으로 규정속도 1차선 고수차량까지 합쳐지면 정말 할말 없죠. ㅎ.ㅎ
그리고 제가 새가슴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신호등 제일 앞에 정지하게 되면 드래그레이스 출발선에 서있는 것 같은 긴장감이 들고 신호바뀌면 0.01초이내에 출발을 합니다. 물론 주변상황은 보고 휠스핀을 낸다던지 하지는 않습니다. 신호 바뀌고 한참뒤에 천천히 움직여서 자기차뒤 2~3대 지나고 신호 바뀌는걸 뒤에서 보고 있으라면 정말 따라가서 패주고 싶은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ㅜ.ㅜ
그리고 제가 새가슴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신호등 제일 앞에 정지하게 되면 드래그레이스 출발선에 서있는 것 같은 긴장감이 들고 신호바뀌면 0.01초이내에 출발을 합니다. 물론 주변상황은 보고 휠스핀을 낸다던지 하지는 않습니다. 신호 바뀌고 한참뒤에 천천히 움직여서 자기차뒤 2~3대 지나고 신호 바뀌는걸 뒤에서 보고 있으라면 정말 따라가서 패주고 싶은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ㅜ.ㅜ
2008.05.16 16:15:00 (*.239.199.136)

저도 심히 신경쓰이는 일들 중의 하나입니다. 그런 사람들은 고속도로 진입 할 때, 본선 차량들의 속도와 자기 차의 현재 속도 차이는 별로 생각안하고 무조건 일단 본선에 올려놓기만 하면 이제 진입했으니 빠르게 임무를 다했다~ 라고 착각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진입로가 긴 이유를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겠죠. 아마 차량 10대가 동시에 진입할 수 있도록 그렇게 길게 만들어 놓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_-;
2008.05.16 16:33:28 (*.123.10.251)
운전자의 탓이 더 크긴 하곘습니다만.. 몇몇 진입로들은 어쩌라고 그렇게 만들어 놓은건지 이해가 안가는 곳들도 있습니다. 블라인드 코너로 회전해서 바로 10m도 여유를 주지 않고 바루 합류 해버린다던가 하는 곳들 말이죠-_-;
2008.05.16 18:08:27 (*.180.138.130)

예전에 미국에서 운전면허 필기시험때 나왔던 문제가 생각나네요.
문제: 고속도로 진입시 속도제한은?
1. 30마일
2. 50마일
3. 고속도로 속도제한만큼
4. 다른 차량들의 교통흐름 속도에 맞춰서
물론 정답은 4번이었죠.
국내 운전면허 필기시험에도 이 문제가 나오나요? 나온다면 다 까먹고 계시는듯..
문제: 고속도로 진입시 속도제한은?
1. 30마일
2. 50마일
3. 고속도로 속도제한만큼
4. 다른 차량들의 교통흐름 속도에 맞춰서
물론 정답은 4번이었죠.
국내 운전면허 필기시험에도 이 문제가 나오나요? 나온다면 다 까먹고 계시는듯..
2008.05.16 18:25:44 (*.16.35.180)

합류지점마다 붙여놓으면 좋겠습니다. "최소한 합류 차선 차량의 속도와 동일하게 가속" ㅋㅋ 저도 광삼님처럼 램프 타고 직선 나오면 풀 가속해서 본선 차량 추월하는게 소소한 즐거움입니다...ㅋㅋ
2008.05.16 19:33:41 (*.182.28.75)
천천히 진입해서 2차선에 가만 있으면 양반이죠. 50 정도 되는 속도로 1차선으로 바로 진입하는 몰상식한 차들도 아주 많습니다.
2008.05.16 23:59:07 (*.48.32.30)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무리하게 진입을 해야 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빨리 진입입을 못하면 뒷차가 먼저 끼어들어 깜짝 놀라곤한 경험이 있습니다. 제가 있는 홍콩에서는 무리하게 진입을 해야 하는 상황이면 당연히 일단 정지를 해서 기회를 봐서 진입을 하고 뒷차들은 당연히 차례가 오기를 기다립니다. 물론 법규가 조금 다른점이 있다면 홍콩은 유럽 법규와 비슷해서 우선순위를 보면 무조건 우측에서 오는차가 우선입니다. 즉 우리나라로 보면(홍콩은 우핸들) 좌측에서 오는 차량이 무조건 우선입니다. 즉 무리하게 끼어들다 사고가 나면 좌측이 우선이기때문에 끼어들던 차가 가해 차량입니다. 법규가 이렇다보니 무리하게 끼어드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좌회전 차선으로 감속한 후에 들어가는 차량들도 짜증나지만, 좌회전이나 우회전 차선에서 떡하니 버티고 서서 양보하지 않는 몰지각한 사람들도 참 짜증스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