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해외 포럼에서 타이어를 이것 저것 검색 해보던중 국내에서는 사계절 타이어로 판매 되고 있는게 해외에서는 여름용 투어링 타이어로 분류 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심지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계절로 판매하고 있는 저연비 중심 에코 타이어도 여름용 타이어로 분류 되고 있었습니다.
대강 보면 효율 중심 에코 타이어 급들은 투어링 서머로 분류하고 그 윗급들은 미드 레인지 서머로 분류 하는 것 같았습니다.
2013 ACE Summer Touring Tyre Test
2016 ACE Mid Range Summer Tyre Test
올시즌 타이어로 분류되고 있는 확대 사진으로 타이어들의 트레드를 보면 거의 대부분 윈터 타이어에 들어가는 자글자글한 커프들이 중앙 쪽에 위치 해 있었습니다.
2015 Auto Express All Season Tyre Test
예전부터 국내에서 사계절로 판매되는 타이어 트레드를 보면서 왜 눈길에서도 다닐 수 있다고 사이드월에 눈 결정 모양 까지 박아가며 사계절로 판매 하는지 약간의 의구심이 있긴 했었는데 그동안 속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무튼 저번 겨울에 처음으로 윈터 타이어를 써보니 국내에서 사계절 타이어로 판매 되고 있는 타이어는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 정도로 눈길에서 형편 없다고 생각 됩니다.
간혹가다가 섬머로 분류되는 미쉐린 프라이머시3를 4계절이라고 파는사람들이 간혹 있더군요...

국내에서 사계절 uhp로 파는 타이어는 해외 tirerack 등 판매사이트에서도 allseason uhp로 구분되어있더군요.

참고로.. 한국타이어 제품 코드명중,
H417/H426/H433(ECO) 등등.. H로 시작되는게 4계절 용 이며..
K415/K425/K110(V12) 등등.. K로 시작되는게 서머 용 입니다.
흔히, I40 스포츠팩? 옵션 적용때 들어가던게 K115 (벤투스프라임2) 제품이 있었죠.. ^^
현대 카달로그 상에선, 위 제품 적용시엔 겨울용 타이어를 별도로 사용하는걸 권장한다고 써있었구요..^^
사계절은 "눈길을 주행할 계획이 없는" 차에만 끼우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계절이지 all-terrain (전 노면) 타이어가 아니니까요.... 또, 사계절이라는 이름이 한국에서 만든 단어가 아닌만큼 겨울에 눈 안 오는 곳도 많다는 걸 인식하면 사계절 = 한국겨울사용 비추 공식이 성립될 거 같습니다.
저는 타이어 판매자의 분류는 무시하고 트레드 모양으로 직접 판단, 그리고 제조사 분류, 그리고 테스트 결과로 결정합니다 ;;;;;;; 예를들어 미쉐린 PS A/S3은 사계절용이라고는 하지만 트레드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