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오늘 출근길에 내리는 함박눈으로 도로가 많이 미끄러웠습니다.
지난 연말에 강원도에서 만난 폭설 다음으로 시가지에서 정말 오랜만에 눈을 밟으며 운전을 했는데, 경험상 차가 지나가는 길은 녹아있어 아스팔트가 드러나있는 곳이 있는 반면 어떤 곳은 아스팔트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하얗게 눈이 쌓인 도로가 번갈아 가면서 나오는 상황이 오히려 더 위험합니다.
즉 마찰력이 일정하게 낮은 것이 아니라 괜찮다 싶을 정도로 마찰력이 높은 곳과 엄청난 저마찰로가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면 제동거리를 가늠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풀타임 4륜 구동이라 하더라도 제동상황에서는 후륜이나 전륜과 크게 다르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저마찰로 상황에서 제동거리를 가늠하는 작은 노력이 있으면 좀 더 예측가능한 상황에서 운전이 가능합니다.
일단 내리막을 내려가야하는 상황에서 미끄러워보이는 노면일 때 뒤에 차가 따라오지 않는 상황일 때 급제동을 걸어 어느정도로 미끄러운지 가늠할 필요가 있습니다.
생각보다 굉장히 미끄러울 수도 혹은 생각보다 덜 미끄러울 수도 있는데, 생각보다 미끄러운 경우라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긴 제동거리가 필요하지요.
88도로와 같은 고속화도로 처럼 큰 언덕과 내리막이 없는 도로에서도 차의 속도가 30km/h정도로 앞차를 따라가는 조건일지라도 뒤에 가깝게 따라오는 차가 없을 때 급제동을 짧게 쳐서 얼마나 미끄러운 상황에 내차가 있는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출근하면서 보니 동호대교에서 영동대교쪽으로 가는 88도로의 미끄러운 정도가 거의 얼음판과 같더군요.
이런 상황에서 30km/h로 가는 상황에서 급제동을 걸어봤자 차를 정지시키는데 시간적으로는 7초 이상이 걸리고 미끄러져가는 거리도 수십미터에 이릅니다.
제동으로 노면을 파악하는 노력과 더불어 순간적인 액셀링으로 구동륜이 얼마나 접지가 가능한지를 가늠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보통 트랙션 컨트롤이 얼마나 빨리 들어오는지로 판단이 가능한데, 단 전, 후륜 구동의 차는 균형을 잃을 수도 있으니 제어에 자신이 없으면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눈길에서 운전을 안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부득이 해야한다면 노면의 변화 무쌍한 마찰력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차간 거리나 속도를 정하는 능동적 운전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차에 세미슬릭 수준의 타이어가 장착되었다면 이런 운행조건에서는 플라스틱 처럼 딱딱한 컨디션이 풀리지 않고 극히 낮은 제동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절대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자신과 남을 위해서 좋습니다.
이는 4륜구동형 차라도 이런 종류의 타이어가 제동력에서 전혀 4륜의 이득이 없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합니다.
아무쪼록 영하를 유지하고 있는 기온때문에 오늘 하루종일 미끄러운 상황일텐데 회원 여러분들 모두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testkwon-
지난 연말에 강원도에서 만난 폭설 다음으로 시가지에서 정말 오랜만에 눈을 밟으며 운전을 했는데, 경험상 차가 지나가는 길은 녹아있어 아스팔트가 드러나있는 곳이 있는 반면 어떤 곳은 아스팔트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하얗게 눈이 쌓인 도로가 번갈아 가면서 나오는 상황이 오히려 더 위험합니다.
즉 마찰력이 일정하게 낮은 것이 아니라 괜찮다 싶을 정도로 마찰력이 높은 곳과 엄청난 저마찰로가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면 제동거리를 가늠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풀타임 4륜 구동이라 하더라도 제동상황에서는 후륜이나 전륜과 크게 다르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저마찰로 상황에서 제동거리를 가늠하는 작은 노력이 있으면 좀 더 예측가능한 상황에서 운전이 가능합니다.
일단 내리막을 내려가야하는 상황에서 미끄러워보이는 노면일 때 뒤에 차가 따라오지 않는 상황일 때 급제동을 걸어 어느정도로 미끄러운지 가늠할 필요가 있습니다.
생각보다 굉장히 미끄러울 수도 혹은 생각보다 덜 미끄러울 수도 있는데, 생각보다 미끄러운 경우라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긴 제동거리가 필요하지요.
88도로와 같은 고속화도로 처럼 큰 언덕과 내리막이 없는 도로에서도 차의 속도가 30km/h정도로 앞차를 따라가는 조건일지라도 뒤에 가깝게 따라오는 차가 없을 때 급제동을 짧게 쳐서 얼마나 미끄러운 상황에 내차가 있는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출근하면서 보니 동호대교에서 영동대교쪽으로 가는 88도로의 미끄러운 정도가 거의 얼음판과 같더군요.
이런 상황에서 30km/h로 가는 상황에서 급제동을 걸어봤자 차를 정지시키는데 시간적으로는 7초 이상이 걸리고 미끄러져가는 거리도 수십미터에 이릅니다.
제동으로 노면을 파악하는 노력과 더불어 순간적인 액셀링으로 구동륜이 얼마나 접지가 가능한지를 가늠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보통 트랙션 컨트롤이 얼마나 빨리 들어오는지로 판단이 가능한데, 단 전, 후륜 구동의 차는 균형을 잃을 수도 있으니 제어에 자신이 없으면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눈길에서 운전을 안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부득이 해야한다면 노면의 변화 무쌍한 마찰력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차간 거리나 속도를 정하는 능동적 운전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차에 세미슬릭 수준의 타이어가 장착되었다면 이런 운행조건에서는 플라스틱 처럼 딱딱한 컨디션이 풀리지 않고 극히 낮은 제동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절대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자신과 남을 위해서 좋습니다.
이는 4륜구동형 차라도 이런 종류의 타이어가 제동력에서 전혀 4륜의 이득이 없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합니다.
아무쪼록 영하를 유지하고 있는 기온때문에 오늘 하루종일 미끄러운 상황일텐데 회원 여러분들 모두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testkwon-
2009.01.16 10:16:05 (*.133.157.141)

ㅋㅋ 저는 권영주님보다 일찍 출근해서 그런지...마치....
티라미슈의 초코렛처럼 살짝 내렸었습니다.
88타고 성산에서 잠실까지....거의 없었는데....
아침회의 끝나고 밖을보니....엄청내렸더군요.......
벌써 얼음판이라니....이거 마치 빙수를 엎은것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헐.....벌써 생케잌빵같으니...
(오늘 아침밥 안먹고 출근해서 괜히 빵이야기가 나오네요..ㅎㅎ)
이거 집에갈때.... 교통혼잡이 예상되네요...ㅜㅜ;; 밤늦게 퇴근을 해야하나..헐...ㅜㅜ;;
회사에 차를 두고갈까...고민되네요...ㅋㅋ
눈길 조심하세요.....
티라미슈의 초코렛처럼 살짝 내렸었습니다.
88타고 성산에서 잠실까지....거의 없었는데....
아침회의 끝나고 밖을보니....엄청내렸더군요.......
벌써 얼음판이라니....이거 마치 빙수를 엎은것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헐.....벌써 생케잌빵같으니...
(오늘 아침밥 안먹고 출근해서 괜히 빵이야기가 나오네요..ㅎㅎ)
이거 집에갈때.... 교통혼잡이 예상되네요...ㅜㅜ;; 밤늦게 퇴근을 해야하나..헐...ㅜㅜ;;
회사에 차를 두고갈까...고민되네요...ㅋㅋ
눈길 조심하세요.....
2009.01.16 10:17:10 (*.80.101.10)

오늘같은 날씨에 적절한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후방차가 없을때 제동을걸어서 얼마나 미끄러운지 어느정도에서 abs가 작동하는지 등을 확인해보는데 좋은 습관이었군요. ^.^/
저도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후방차가 없을때 제동을걸어서 얼마나 미끄러운지 어느정도에서 abs가 작동하는지 등을 확인해보는데 좋은 습관이었군요. ^.^/
2009.01.16 10:27:28 (*.12.196.93)

눈 내린 날은 항상 주차장(도로보다 제설상태가 나쁩니다) 빠져나오면서 가속해보는 습관이 있죠.
오늘은 주차위치상 270도 돌아서 나와야 했는데, 살짝 카운터 주면서 빠져나왔습니다. "조심해"라는 경고죠.
오늘은 주차위치상 270도 돌아서 나와야 했는데, 살짝 카운터 주면서 빠져나왔습니다. "조심해"라는 경고죠.
2009.01.16 10:37:33 (*.134.207.82)

오전 9시쯤의 상황이라면 시내주행이 엄청 미끄러웠습니다..
조금이라도 깊이 밟을라치면 어김없이 슬립나고 계기판에서는 VSA 램프만 깜빡거리더군요..
지금의 상황으로 봐서는 조금 쌓이다가 기온이 올라가는 오후에 녹을듯 합니다만 앞차와 멀리 떨어져서 감속 주행하는것이 최고인듯 싶습니다..
후륜차들 고생할만한 날씨와 도로사정인것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깊이 밟을라치면 어김없이 슬립나고 계기판에서는 VSA 램프만 깜빡거리더군요..
지금의 상황으로 봐서는 조금 쌓이다가 기온이 올라가는 오후에 녹을듯 합니다만 앞차와 멀리 떨어져서 감속 주행하는것이 최고인듯 싶습니다..
후륜차들 고생할만한 날씨와 도로사정인것 같습니다...
2009.01.16 10:51:03 (*.33.138.103)

집이 산중턱에 있어 급내리막을 거쳐야만하는지라 눈이 오면 참 고민스럽기만 저로서는 참 공감되는 글이네요.
그치만 잦은 급제동으로 노면을 확인하는 것은 최대한 도로상황을 파악해 효율적으로 빨리 도착지에 가기위함이라는 측면에서는 이해가 되는 것이지만, 잦은 잘못된 급제동은 오히려 안전을 위협해 그보다 사고를 불러올 상황이 많다는 것을 인지해야할 것 같습니다.
눈길에는 정말 장사가 없습니다.
저는 도로보다 우선 집에서 내려오는 길이 급선무라 집에서부터 우선 간간히 급제동으로 확인을 하는 습관이 들어있습니다.
예전에 이 내리막길에서 급경사의 밭두렁으로 굴러떨어질 뻔한 적도 있어서, 워낙 눈길의 위험을 잘 인지하고 있어 항상 조심하는지라, 일단 도로에 나가면 걱정은 주변 차들을 향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눈길에서 저속운전을 할 맘을 먹고 있다면, 문제는 자신의 차가 아닌 주변차입니다.
방어운전을 가장 필요로 하게 되는 때이죠.
오늘도 약간의 오르막의 왕복 4차선 빙판길 도로에서 차가 더 가속해서는 올라갈수 없는 상황이자(스로틀을 조금이라도 더 열면 슬립할 상황), 상황을 인지하고 바로 2차선으로 바꾸고 비상등을 키고 올라가는데 바로 1차선에서 뒤에서 따라오던 쏘렌토가 슬쩍 가속을 하더니 바로 제앞에서 갓길 쪽 가드레일에 쳐밖히더군요. -_-;;
다행히 어차피 포기하고 천천히 올라가던 저는 사고현장을 피해왔지만, 어이가 없더군요.
그렇게 급한 가속도 아니였으며, 뒤가 상당히 슬립한거로 봐선 4륜으로 변환도 안한 것 같았습니다. --;
(아시다싶이 쏘렌토는 풀타임 4륜구동이 아니라 운전자가 변환하지 않으면 평소에는 '후륜'구동이죠...-_-;)
제발 눈길엔 허세부리지말고, 절대적으로 저속운전해서 다른 운전자에게 피해가지 않도록 했으면 합니다.
평소 몇분 안걸리는 산길을 수십여분만에 겨우겨우 산에서 내려온 저로서는 도로에서만큼은 좀 맘편히 운전하고 싶은 맘이 간절합니다.
그치만 잦은 급제동으로 노면을 확인하는 것은 최대한 도로상황을 파악해 효율적으로 빨리 도착지에 가기위함이라는 측면에서는 이해가 되는 것이지만, 잦은 잘못된 급제동은 오히려 안전을 위협해 그보다 사고를 불러올 상황이 많다는 것을 인지해야할 것 같습니다.
눈길에는 정말 장사가 없습니다.
저는 도로보다 우선 집에서 내려오는 길이 급선무라 집에서부터 우선 간간히 급제동으로 확인을 하는 습관이 들어있습니다.
예전에 이 내리막길에서 급경사의 밭두렁으로 굴러떨어질 뻔한 적도 있어서, 워낙 눈길의 위험을 잘 인지하고 있어 항상 조심하는지라, 일단 도로에 나가면 걱정은 주변 차들을 향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눈길에서 저속운전을 할 맘을 먹고 있다면, 문제는 자신의 차가 아닌 주변차입니다.
방어운전을 가장 필요로 하게 되는 때이죠.
오늘도 약간의 오르막의 왕복 4차선 빙판길 도로에서 차가 더 가속해서는 올라갈수 없는 상황이자(스로틀을 조금이라도 더 열면 슬립할 상황), 상황을 인지하고 바로 2차선으로 바꾸고 비상등을 키고 올라가는데 바로 1차선에서 뒤에서 따라오던 쏘렌토가 슬쩍 가속을 하더니 바로 제앞에서 갓길 쪽 가드레일에 쳐밖히더군요. -_-;;
다행히 어차피 포기하고 천천히 올라가던 저는 사고현장을 피해왔지만, 어이가 없더군요.
그렇게 급한 가속도 아니였으며, 뒤가 상당히 슬립한거로 봐선 4륜으로 변환도 안한 것 같았습니다. --;
(아시다싶이 쏘렌토는 풀타임 4륜구동이 아니라 운전자가 변환하지 않으면 평소에는 '후륜'구동이죠...-_-;)
제발 눈길엔 허세부리지말고, 절대적으로 저속운전해서 다른 운전자에게 피해가지 않도록 했으면 합니다.
평소 몇분 안걸리는 산길을 수십여분만에 겨우겨우 산에서 내려온 저로서는 도로에서만큼은 좀 맘편히 운전하고 싶은 맘이 간절합니다.
2009.01.16 10:58:43 (*.104.15.95)

비교적 노면상태가 양호한 곳에 있다가 산이나 언덕 등을 만나서 노면상태가 갑자기 나빠지게 되면 속도를 줄이고 브레이킹, 급악셀링 등을 하면서 얼마나 미끄러운가를 가늠합니다. 그리고 수시로 브레이킹을 확인하면서 언제라도 바로 정차할 수 있는지를 계속 확인하면서 가게 되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뒤에 다른 차량이 바짝 따라오면 정말 밉습니다. '당신 내가 급정차 하면 내 차 안박고 바로 설 자신 있습니까?' 라고 물어보고싶어지죠.
이러한 상황에서 뒤에 다른 차량이 바짝 따라오면 정말 밉습니다. '당신 내가 급정차 하면 내 차 안박고 바로 설 자신 있습니까?' 라고 물어보고싶어지죠.
2009.01.16 11:20:20 (*.133.99.200)

눈길에서는 내 자신보다도 다른 차가 과속하는 경우가 많아서 웬만하면 안끌고 나갑니다. 내가 아무리 잘해도 다른 차가 박는 경우는 어쩔 수가 없더군요.
2004년 충주에 30cm 폭설이 왔을 때 회사 워크샵때문에 어쩔 수없이 10년이 다된 ABS도 에어백도 없는 완전 깡통 누비라 수동을 몰고 30cm의 눈을 헤치며 간신히 국도를 달리고 있는데 옆차선에서 저를 추월하던 차가 전방에서 갑자기 스핀하면서 저한테 달려드는데 완전 시껍하더군요. 간신히 카운터를 치며 피했는데 속마음은 한 대 치고 싶었습니다.
2004년 충주에 30cm 폭설이 왔을 때 회사 워크샵때문에 어쩔 수없이 10년이 다된 ABS도 에어백도 없는 완전 깡통 누비라 수동을 몰고 30cm의 눈을 헤치며 간신히 국도를 달리고 있는데 옆차선에서 저를 추월하던 차가 전방에서 갑자기 스핀하면서 저한테 달려드는데 완전 시껍하더군요. 간신히 카운터를 치며 피했는데 속마음은 한 대 치고 싶었습니다.
2009.01.16 13:19:22 (*.106.65.125)

후방의 상황을 살피고 급제동을 시도하는 것이 실제로 후방 차량에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미끄럽다면 급제동이 되지도 않고 브레이크 패달에 발을 데고 누르기가 무섭게 ABS가 작동하며, 만약에 접지력이 좋아 제동이 잘되는 상황이라면 패달을 밟다가 본능적으로 놓게 됩니다.
즉 후방에서 보았을 때 의도적으로 급제동을 하는 이상한 운전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지요.
이유는 미끄럽다면 급제동이 되지도 않고 브레이크 패달에 발을 데고 누르기가 무섭게 ABS가 작동하며, 만약에 접지력이 좋아 제동이 잘되는 상황이라면 패달을 밟다가 본능적으로 놓게 됩니다.
즉 후방에서 보았을 때 의도적으로 급제동을 하는 이상한 운전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지요.
2009.01.16 15:02:36 (*.127.196.224)
정말 오늘같은 날씨에는 도움이 많이 되는 글인것 같습니다 ^^b
오랜만에 눈이 많이 왔더군요... 쪼금만 눈이 내려도 요즘은 장비가 훌륭한 제설차들이 돌아다니면서 염화칼슘을 뿌려주셔서 눈쌓인 도로를 볼 기회조차 없었는데... 오늘은 제설차가 늦었는지 도로에도 눈이 많이 쌓인것을 볼수있었습니다
다행이 이번엔 4계절타이어라 저번겨울처럼 약간의 경사에도 포기해야하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정말 미끄러워서 제동 가속 둘다 초보수준으로 간신히 운전했습니다 (옆으로 열심히 추월해가시는 8톤, 5톤트럭 및 버스, 승용차들을 바라보며...ㅡㅡ;;;)
그나저나 이런 상황에도 꿋꿋이 포르쉐카레라를 몰고 출근하시는 의사선생님도 계시더군요 (저희동네에 제가아는바로는 포르쉐 딱 2대가 있습니다... ) 길이 막혀서 다른길로 돌아가느라 이후상황은 못보았지만... 상당히 고전하실듯 싶었는데... 잘들어가셨나 모르겠습니다
오랜만에 눈이 많이 왔더군요... 쪼금만 눈이 내려도 요즘은 장비가 훌륭한 제설차들이 돌아다니면서 염화칼슘을 뿌려주셔서 눈쌓인 도로를 볼 기회조차 없었는데... 오늘은 제설차가 늦었는지 도로에도 눈이 많이 쌓인것을 볼수있었습니다
다행이 이번엔 4계절타이어라 저번겨울처럼 약간의 경사에도 포기해야하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정말 미끄러워서 제동 가속 둘다 초보수준으로 간신히 운전했습니다 (옆으로 열심히 추월해가시는 8톤, 5톤트럭 및 버스, 승용차들을 바라보며...ㅡㅡ;;;)
그나저나 이런 상황에도 꿋꿋이 포르쉐카레라를 몰고 출근하시는 의사선생님도 계시더군요 (저희동네에 제가아는바로는 포르쉐 딱 2대가 있습니다... ) 길이 막혀서 다른길로 돌아가느라 이후상황은 못보았지만... 상당히 고전하실듯 싶었는데... 잘들어가셨나 모르겠습니다
2009.01.16 18:29:37 (*.229.107.156)

슬립정도를 알기위해, 급제동, 급가속 해보는거..정말 좋은 팁입니다.
미끄러운 도로에서 또한가지 문제는 정지후 재출발할때인데, 수동차의 경우는 반클러치를 가능한 쓰지말고 클러치온상태로 출발해 20키로미만의 속도인 경우, 1단을 그대로 사용하는게 유리합니다. 반클러치 상태에선 토크조절이 어려워 연신 슬립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눈은 그쳤어도 결빙구간이 종종 나타날 수 있는데, 눈온지 얼마안된 환경에서는..그늘진 곳은 무조건 감속후 진입하는 원칙을 지켜야합니다. 연속된 언덕을 등판, 또는 섰다갔다 할때는 1 단 온 상태에서 최대한 액셀링이 균일하도록 힘조절을 잘하는게 관건입니다. 타이어에 온오프되는 구동력이 불규칙할때 눈길그립은 최악이 됩니다.
위험하지 않은 서행시 클러치온상태에서 제동을 끌고가면, 타이어 록으로 쉽사리 시동이 꺼져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정도 제동이 이루어진 뒤, 부드럽게 클러치오프시켜 시동을 잘 유지하는것도 필요하리라 봐집니다.
미끄러운 도로에서 또한가지 문제는 정지후 재출발할때인데, 수동차의 경우는 반클러치를 가능한 쓰지말고 클러치온상태로 출발해 20키로미만의 속도인 경우, 1단을 그대로 사용하는게 유리합니다. 반클러치 상태에선 토크조절이 어려워 연신 슬립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눈은 그쳤어도 결빙구간이 종종 나타날 수 있는데, 눈온지 얼마안된 환경에서는..그늘진 곳은 무조건 감속후 진입하는 원칙을 지켜야합니다. 연속된 언덕을 등판, 또는 섰다갔다 할때는 1 단 온 상태에서 최대한 액셀링이 균일하도록 힘조절을 잘하는게 관건입니다. 타이어에 온오프되는 구동력이 불규칙할때 눈길그립은 최악이 됩니다.
위험하지 않은 서행시 클러치온상태에서 제동을 끌고가면, 타이어 록으로 쉽사리 시동이 꺼져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정도 제동이 이루어진 뒤, 부드럽게 클러치오프시켜 시동을 잘 유지하는것도 필요하리라 봐집니다.
2009.01.17 08:57:26 (*.68.61.62)

가끔 신문기사에 눈길에선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해서 제동하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수동을 몰더라도 왠만한 운전자들은 다운쉬프트를 하면서 적정 수준의 RPM보상을 못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구동륜이 잠길 수 있어서 오히려 오른발로 세밀하게 풋브레이크만 쓰는 것보다 위험할 것 같습니다. 이 점은 자동변속기도 완벽하게 레브매칭이 안되기 때문에 마찬가지구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