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경인기자] 정부 구제금융의 대가로 오는 3월말까지 회생가능성을 증명해야만 하는 크라이슬러가 이탈리아 피아트로부터 구명줄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양 측은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빠르면 20일(현지시각) 구체적인 계약 내용이 공개 될 전망이다. 

▲ 이탈리아 車업체 피아트의 로고
지난주까지 닛산과 제휴를 추진해 왔던 크라이슬러는 현재 피아트와 합작사 설립과 업무 제휴 등을 논의 중이다. 양 측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계약 조건을 놓고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협의 중인 계약 사항은 피아트가 이달 중순까지 크라이슬러 지분 35%를 갖고 장기적으로 55%까지 보유하는 옵션을 받는 것. 그 대가로 현금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크라이슬러 공장 개편에 자금을 대게 된다. 

피아트는 크라이슬러에게 엔진 및 트랜스미션 기술을 공개해 크라이슬러의 친환경 소형차 생산을 돕게 된다. 그 대가로 피아트는 크라이슬러의 미국 공장과 딜러십을 공유해 북미지역 사업을 확장할 토대를 마련한다. 

크라이슬러와 피아트의 지난 행보를 볼 때 양 측의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크라이슬러는 오는 3월까지 회생가능성을 의회에 증명하기 위해 친환경 소형차 생산기술이 절실하다. 또한 다임러에 의해 매각되면서 유럽부문 생산설비를 상당부분 잃은 터라 유럽 자동차와의 제휴가 필요했다. 

한편 피아트는 최근 포드와도 제휴협상을 갖는 등 북미지역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영향력있는 파트너를 원하는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양 측이 제휴에 합의할 경우 30억~40억달러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크라이슬러와 피아트의 관계는 생산설비를 공유하는 `르노와 닛산`의 제휴와 유사한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ttp://www.edaily.co.kr/news/world/newsRead.asp?sub_cd=DD42&newsid=01236566589559688&MLvl=1&curtype=read

어떤 식으로라도 살아남기만 하면, 다행일듯 싶습니다.
지난 몇개월간 절때 망할수없는 빅3라고 생각했던 많은 사람들에게
충분한 언론 노출과 복합적인 문제를 많은이들에게 인지시킨것이
가장 큰 성과 같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정부가 짐을 좀 덜었다고 할까요?

 GM의 앞날 또한 상당히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