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아직 8만킬로가 채되지 않은 E60 M5의 건강 상태는 너무나 좋습니다.
차를 모는 날의 기분이나 감정에 따라 오늘은 이녀석이 왜 이렇게 예민할까하는 날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날은 운전자의 손과발의 박자가 착착 맞는 그런 날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초고회전 V10엔진의 까다로움, 그리고 SMG3라는 변속기 자체가 수동변속기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운전자들이 다뤄야 아주 부드러운 운전이 가능하다는 점등 이차를 다루는 방법은 일반 자동변속기 스포츠 모델을 다루는 것과는 분명 다른 차원의 운전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그것이 E60 M5의 최대의 매력이 아닐까 싶네요.
그 까다로움을 맞출 수 있는 실력과 섬세한 조작의 차이를 느끼면서 운전하는 쾌감이 바로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이차를 욕할 지도 모르지만 기계적인 핸디캡도 특성으로 이해하고 그 미세함을 느끼면서 운전하는 재미가 바로 요즘차에서는 찾기 힘든 그런 부분이기도 합니다.
오일교환을 위해 넥스젠 분당점에 들렀습니다.
엔진룸을 열었을 때의 깔끔함과 정돈된 느낌 그리고 엔진위 위치등이 이차의 실력과 만듬새를 확인시켜 줍니다.
전용엔진을 부여받은 복받은 녀석인데, 만들 때 정비하는 분들을 위한 배려까지 어찌보면 지나친 배려로 보일 정도로 일반정비사 입장에서 메인트넌스 그것도 오일교환을 위한 일련의 작업은 너무나 쉽고 슬슬 풀려나갑니다.
에이클리너를 교환하는 작업 2분 미만, 에어컨 필터를 교환하는데도 1분이면 충분합니다.
아우디의 그것과 비교하면 정말 너무너무 기분좋은 작업이 아닐 수 없으며, 이렇게 까다롭디 까다로운 차를 정비하기 편하게까지 만들었다는 점은 정말 높이살 수 있는 부분입니다.
차뽕 클리너 주입 후 딱 1,000km를 주행한 모습인데, 시꺼멓게 두껍게 끼어있던 검정 카본은 다 없어지고 배기구는 속이 시원할 정도로 깨끗해졌습니다.
그만큼 엔진 내부의 카본 제거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봅니다.
V10의 괴성을 지나치게 줄인 듯 보이는 순정 배기이지만 그래도 이 녀석의 목청이 어떤지 어떤 목소리인지 충분히 인지하게 만들 정도의 사운드는 실내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좋은 사운드는 엔진몸통에서 만들어지는 사운드와 뒤에서 들려오는 배기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에서 E60 M5는 이전 세대 M5들과 마찬가지로 앞뒤에서 들리는 사운드의 밸런스가 참 좋은 차에 속합니다.
PSS는 정말 좋은 타이어입니다. 그립도 그립이지만 정말 오래견딥니다.
가격을 생각하면 수명이 긴 것으로 인해 체감 비싸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겨울에 고출력 후륜을 타면서 위험한 순간은 정말 많습니다. 타이어의 중요성을 절대로 간과할 수 없는 정말 변화무쌍한 노면을 이런 차로 무모하게 달리는 것은 위험하기 짝이 없습니다만 그 경계를 즐기고 컨트롤 하는 재미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안전마진을 엄청나게 많이 확보하면서 운전해야한다는 점이고, 그렇다고 위험성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하체의 볼트하나하나 녹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건조한 상태는 주행거리와 관계없이 언제든 500마력 이상을 견딜 수 있는 준비가 완벽함을 의미합니다.
오일필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도 하부 커버를 완전히 탈거하지 않아도 되고, 오일 드레인을 위해서 역시 아래 사진의 중앙 구멍에 볼트를 풀면 드레인이 가능해 정말 간편합니다.
겉모습은 평범한 5시리즈이지만 하체는 분명 모든 것이 다릅니다. 전용부품의 비율이 높고, 모든 것은 330km/h이상 달리는 머신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고도의 엔지니어링이 갖춰졌음을 의미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메인트넌스인 오일교환은 늘 기분이 좋은 작업중 하나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주유경고등이 들어오면 크루즈 컨트롤로 세팅할 수 있는 속도가 80km/h로 제한된다는 점입니다.
극한의 회전수로 최대의 출력을 내는 엔진이다보니 연비가 나쁘고, 70리터 탱크로 400km를 달리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닙니다.
평균 리터당 6km정도를 달리면 그래도 잘 달린 것에 속하는데, 연비에 비해 연료탱크가 작기 때문에 어느 수준 이하의 연료에서는 연료효율이 좋은 속도대에서만 크루즈가 가능하게 한 점은 어찌보면 이런차들을 모는 사람들이 모든 것에 예민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지나친 배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겨울에 911을 모는 것이나 AMG를 모든 것이나 M5를 운전하는 것 모두 아우디 콰트로를 타는 것보다 훨씬 위험한 것은 사실입니다. 일단 가속하는 과정속에서 후륜이 흔들리면서 사고의 위험이 있고, 전륜에 엔진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는 후륜의 특성은 분명 안전운전에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그 나름의 재미와 특성을 이해하고 운전자가 노면 상황에 따른 판단력을 기르는 차원에서 겨울 환경에서 이런 후륜 구동 고성능차를 운전하면서 배우는 것도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E60 M5는 분명 까다롭고 거친 차이고 이해하기 위해서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모든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더욱 더 알아가는 재미가 큰 차라고 봅니다.
레이스 엔진의 뿌리와 정신 그리고 고도의 정밀성을 뽐내기 위해 탄생한 V10 5리터 엔진의 초고회전 특성은 차를 탄 후의 감동이 유독 오래 남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드 회원분들의 E60 M5도 자주 소개해주시기 바랍니다.
-testdrive-
- IMG_0001.jpg (207.4KB)(7)
- IMG_0002.jpg (260.8KB)(1)
- IMG_0003.jpg (276.9KB)(0)
- IMG_0005.jpg (226.4KB)(0)
- IMG_0006.jpg (244.6KB)(0)
- IMG_0007.jpg (244.5KB)(0)
- IMG_0008.jpg (342.4KB)(2)
- IMG_0010.jpg (218.4KB)(1)
- IMG_0011.jpg (290.8KB)(0)
- IMG_0012.jpg (224.2KB)(0)
- IMG_0013.jpg (212.4KB)(0)
- IMG_0014.jpg (221.0KB)(2)
- IMG_0019.jpg (342.3KB)(0)
- IMG_0021.jpg (214.7KB)(0)
- IMG_0022.jpg (224.4KB)(0)
- IMG_0023.jpg (201.4KB)(0)
- IMG_0024.jpg (265.5KB)(0)
- IMG_0025.jpg (262.6KB)(0)
- IMG_0028.jpg (211.4KB)(2)
- IMG_0032.jpg (170.4KB)(0)

e60 m5, e63 m6 에 탑재된 s85엔진은 굉장한 매력을 갖고 있을거라 지레짐작 하고 있었습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꼭 들이고 싶은 차량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m에 대해 알아갈수록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는게 e60 m5인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감당해야할 리스크도 적지 않다고 들어서 쉽사리 접근하기가 어렵네요. 여러 차종 보유를 대비해서 유지비용도 줄이고 취미도 즐길겸 전문적으로 정비를 배우고 싶은데 이 목표부터 달성하고 생각해봐야겠습니다.

이 차를보니, 북미시장에만 들어왔던 s85에 6단수동을 언젠간 꼭 타보고 싶네요
연식이 조금 있어도 내가 항상 좋아했던 차량을 수리하고 메인터넌스 하는 작업들은 때론 새차 구입보다도 훨씬 즐거운것 같아요 ㅋ
개인적으로는 E60 M5가 가장 마음에 꽂힙니다.. 그것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색을 갖고계시네요
탁월한 선택이십니다..ㅎㄷㄷ
E28이나 E34 의 야생마같은 느낌도 좋고 E39도 당시엔 벤츠 E55에 비해 좋았다 생각하지만.. E60는 제게 좀 특별합니다.
뭐 안좋은 M5가 어딨겠습니까? ㅎㅎ

E60 M5의 엔진의 예민한 부분과 관찰해야할 부분 몇가지를 언급하자면
- 유해가스 증가 메시지 : 체크 엔진등 점등되며, 후촉매에 박혀있는 산소센서에서 주는 신호로 촉매변환효율 저하 혹은 배기가스 증가 등으로 들어오는 메시지입니다. 차뽕 트리트먼트 주입 후 사라졌으나 1000km정도 주행하면서 다시 들어왔고, 이 경고등이 E60 M5에서는 가장 흔하고 거의 대부분의 E60 M5가 한국에서 이 경고등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아니라 그냥 타도 되는데, 해결책으로는 촉매나 센서가 이상이 없다는 조건에서 촉매에 박혀 있는 산소센서에 5cm정도의 어댑터를 연결해 배기가스와의 접촉을 줄이면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아우디나 BMW중 이 후촉매 산소센서의 민감도 때문에 이상이 없는데도 배기가스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 이같은 방법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쓰로틀 바디 밸브의 저항 때문에 체크 엔진등 및 파워 저하
쓰로틀 바디가 슬러지 등의 오염으로 쓰로틀 바디가 뻑뻑하게 움직여 심하면 쓰로틀바디의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구동 기어가 부서져 쓰로틀 바디를 통째로 교환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직분사 엔진의 슬러지 문제가 원인입니다.
저 역시 이 경고등이 간헐적으로 들어왔는데, 별도의 조치 없이 차뽕 트리트먼트와 클리너 이후 한번도 이 경고등은 다시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 바노스 솔레노이드 관련
시동건 직후나 공회전시 디젤틱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인데, 출력이나 주행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만 사운드의 질감이 좀 거친 경우 바노스 솔레노이드 세척 후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E39때와 비교하면 E60의 바노스의 내구성은 월등히 높습니다. 다만 복잡한 구성이라 관찰이 필요하고 캠 포지션센서의 상태가 바노스 작동의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이밖에 오일소모가 많은 점과 SMG3의 작동이 지나치게 거친 경우 혹은 출발 때 떨림이 심한 경우 등을 관찰해야 합니다.
오일소모량이 많은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고 SMG3의 경우 급가속시 변속하면서 가속패달을 살짝 놨다가 밟는 방법으로 클러치의 수명을 혁신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액튜에이터의 내구성도 이같은 운전방법이 큰 도움을 줍니다.
가평휴게소 모임에 후기형 카본블랙을 끌고 갔던 회원입니다.
순정 후기형에 카본블랙 8만이 안 되는 주행거리까지 최고의 조합이었는데...
현재도 동급 차량 중에 공차중량이 1800kg 대인 차량은 없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