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김해 회원 정원우 입니다.
아래에 AD 렌트카 운행 소감을 적었지만, 또 렌트카라니... ^^;
이유가 있습니다.
열흘 쯤 전에, NF의 큰 사고가 있었습니다.
프레임바디 차량이 우측 후방을 강하게 추돌하여 전손처리 진행 중입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부분만 하더라도 백판넬, 트렁크바닥, 우측 리어사이드멤버, 우측 쿼터패널,
우측 리어 휠하우스, 우측 C필러 외측 및 인너패널,
그리고 튕겨나가 중앙분리대를 받으며 앞쪽 좌측 휀더 및 헤드라이트까지 손상되었습니다.
사업소 견적 800여만원, 1급 공업사는 간당간당하게 차량 가액 120% 한도에 맞출 수는 있었지만
여하간 뒤쪽 거의 절반을 다 잘라내야 하는, 접합차 수준의 대공사 견적이었습니다.
몸은 골절된 곳 없이 약한 뇌진탕으로 입원치료를 받았고 향후 통원치료 예정이고요...
어쨌거나 뒷차 과실 100%로 병원 치료 및 사고 처리는 무사히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사고란게 늘 그렇죠. 상대방 과실 100%라도 감가상각 등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는 점.
그나마도 엔진 스커핑 진단으로 오버홀 및 하체 올 수리 예정이었는데,
수리 후 사고가 났다면 정말 피눈물 날 뻔 했습니다.
어쨌거나 출퇴근 및 일상용으로 새로운 차가 필요해졌고, 병원에 있는 동안 수없이 고민한 끝에...
예전에, 신차 출고 만 2년째부터 뜬금없이 연거푸 뒤, 앞, 옆에서 들이받히는 말도 안 되는 사고로
작년 여름에 중도 매각했던 MD 디젤이 있었죠...
그것과 같은 년월식에 지금까지 탔을 경우를 가정할 때 주행거리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걸로 가져왔습니다.
주행거리가 더 짧은 차도 있었지만, 색상이나 관리상태, 사고이력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패스했습니다.
MD 구입 후 바디, 서스펜션 셋팅을 완료하고 나니 마음에 들어서 차를 더 이상 바꾸고 싶지 않았었는데
그 이후 1년 사이에 차를 세 번이나 바꾸는 기막히는 경험을 하니 기분은 착잡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만...
MD 대신 이걸 신차로 사서 계속 타고 있는 걸로 생각하자며 위안하고 있습니다.
잦은 중고차 교체는 당장 들어가는 목돈 줄이기에 급급하거나 차의 셋팅이 운행 여건에 용도 적합한지
심사숙고 하지 못한 제 판단 미스였고,
갑작스런 연이은 추돌피해는 제 운전패턴의 미묘한 변화도 일부 원인이 있을거라며 반성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턴가 교통사고 걱정을 지나치게 하기 시작했는데, 생각이 나쁘게 흐르면 그게 현실이 된다고...
사고가 현실이 되어 끊이지 않은 건, 지친 마음을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여 흐트러진 것도 문제인 것 같네요.
보통 물건 하나를 사면 10년 이상 잘 쓰는 체질인데다 MD 후방추돌 사고 전까진 십몇년간 운전하면서
교통사고는 먼 나라 얘기었었기에...
여하간 신차 아니면 오래된 중고차만 타다가 연식 오래지 않은 중고차를 가져오기는 처음이네요.
널찍한 중형차도 아니고 사람들 눈에 익은 세단도 아니며 최신형 모델은 아니지만, 취향껏 골랐습니다.
실용성과 성능, 컨디션 등 여러 면에서 옳은 판단이 되고 오래 함께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그 동안 트렁크에 잔뜩 쟁여넣고 다니던 차량 보수용 케미컬과 도구 등 용품들이나 사제 헤드유닛 등
잡동사니들도, 그리고 고단함에 지친 마음과 잡념까지도 같이 미련없이 싹 다 걷어내다 버렸습니다.
아무쪼록... 후방추돌... 뒤에서 받는 걸 어쩌냐 하지만, 저도 더욱 주의해야겠습니다.
사고는 바짝 다가와 받은 차의 잘못이되, 법리적인 관점과는 달리 그런 상황이 없도록 최대한 노력할 여지가
앞차에게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새로운 차를 가져온 뒤로는 감속을 하든 아예 밟든, 주위 차들 무리에서 멀찍이 떨어져서 다니고 있습니다.
뒷차 운전자의 시선과 행동 및 동승자가 운전자에게 하는 행동까지 관찰하기 시작했고요. ㅡㅡ;;
뒷차의 감속이 늦는 것 같으면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밟거나 비상등을 켜거나 경적을 짧게 빵! 울립니다.
...물론, 그 이전에 다른 차들이 애초에 멀리 떨어지려 하는 묘하게 좋은 현상도 일어나고 있네요.
새로운 차에 바퀴주변으로 막걸리 한통 사서 뿌리시면서 무사고를 기원하는걸 추천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세민님도 많이 안 다치셨고, 얼른 쾌차하시길 기원합니다.
사고란게 운이기도 하지만, 그 운이라는 것도 마음 고쳐먹기에 따라서 조금은 달라질 수 있는 것 같아요.
뒤에서 박는 건 정말 답이 없지만, 그제부터는 좀 더 미리 감속하여 뒷차의 감속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게 의외로 잘 먹히는 편입니다.
주차테러는 가만히 있는데 건드리는거라 무방비 상태이니... ㅠ.ㅜ 위로드립니다.
저도 MD 디젤 때 루프 야구공 테러 당한 이후로는 차를 아예 지하주차장에 넣거나 CCTV 있는 곳에 넣거나...
여의치 않으면 아이들이 다니지 않는 곳 위주로 주차하고 있습니다.
한편, 사고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마음가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와 남의 생명과 재산을 존중하는 마음가짐에서 우러나오는 안전거리 유지와 전방주시 및 교통법규 준수...
내 앞의 차를 단순히 내가 가는 길을 가로막는 방해물로 여기거나, 나 편한대로 길 막으며 기어가거나...
혹은 요새 보험 좋으니까 사고나면 보험처리 하면 되지. 이런 식으로 부주의하게 다니는 등...
이런 사람들이 가만 보면 또 사고를 잘 내거나 유발하더군요.
사람들 인성의 선악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개념 부재의 문제가 아닐까 싶어요.
꽤 큰 사고였네요. 많이 다치지 않으셔서 그나마 다행입니다.
말씀대로 비용을 들이기 전에 떠난게 어떻게 보면 그나마 다행(?) 같기도 합니다만
사고가 없었더라면 나름 정붙여가면서 타셨을텐데... 아쉬운 마음도 많이 드실 것 같습니다.
몸도 마음도 많이 힘드셨을텐데 쾌유하시고 앞으로는 좋은 일만 계속 있으시길 기원드립니다.

이미 여러 답글과 내용 중복이긴 하겠습니다만;;
통원치료 잘 마무리 하시구요,
다음 차량에는 고사를 정성껏;;;
모쪼록 쾌유하시길 빕니다. 작년 올해 원우님이 많이 힘드시겠어요. . . 차가 사람 편하자고 있는건데 어째. . .ㅠ
새로 들이신 차로는 무탈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작년, 올해 모두 사주에 교통사고 조심하라고 되어 있더군요. 뜨헙... ㅡㅡ
여하간, 슬슬 통원치료 시작하려 합니다.
중고차 몇 대와 스파크S까지의 '위축되고 성급한 구매의 부작용'을 깨닫고 샀었던 MD...
그게 사고만 없었어도 계속 탔을텐데 말이죠.
2015년 당시 준중형 중 유일하게 제가 좋아하는 수동변속기에 일반선루프 조합을 할 수 있었어요.
새로 들인 차는 작은 덩치는 아닌데 기동성이 매우 탁월해서 다행히 운전이 편안합니다.
잘 하는 운전은 아니지만, 이제는 제 손발로 휘어잡을 수 있는 차가 아니면 안 되겠다는 확신도 들고...
적극적인 방어운전에 더더욱 총력을 기울여 저도 차도 더 이상 다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아 저도 NF로.. 지난주에 후행추돌로 사고가 났습니다..
견적이 500정도 나왔는데.. 폐차하시나요.. 중고차값만 쳐준다고..
많이 안다치셨다니 다행입니다.
저는 물리치료 받고 있는데.. 몸조리 잘하세요..

몸조리 잘하시길 바랍니다. 휴우증도 무시못합니다.
저도 상주터널 사고이후로 룸미러로 뒤에서 쫒아오는 차량 보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이제 전방위로 다 피해다녀야 할듯 합니다. ㅎ
상주터널 사고 때 계셨었던 건가요? 별 일 없으셨기를 바라겠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작년부터 다사다난한 개인사로 생각이 많아지니 방어운전이 좀 느슨해진 것 같습니다.
깊이 생각해보니 그러하네요... 파장이 너무 컸고요.
차간거리가 다닥다닥 붙지 않도록 사전 대응할 여지도 조금은 있었다 생각하여 깊이 반성 중입니다.
평소 모든 상상력을 동원하여 별의 별 돌발상황을 가정하며 운전했고, 위험지역엔 차를 잘 안 가져갔으며
서울 송파~경기도 용인 죽전~신갈로 이어지는 전용도로에서는 과장 좀 보태서 도로 위의 전투비행이라며
차들이 엉킨 곳을 잘 피해서 주위 차간 거리가 널럴하도록 다녔었는데...
그렇게 다니면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최근 1년간 이전에는 오버페이스로 인한 단독사고 1건 외에는
접촉 수준의 후방추돌 두어 번 밖에 없었고, 사고라 할만한 수준도 아니었습니다.
지적해주신 분도 계셨지만, 최근의 제 운전을 돌이켜보면 시야가 전보다 좁아진 것 같습니다.
그냥 차들의 대열 속에 섞인 채 앞 차 가는대로 따라가는 것에 가까워졌달지...
하여, 요즘은 초보 시절 아버지께서 옆자리에서 늘 말씀해주시던 걸 상기하며 운전대를 잡고 있습니다.
"주위 360도의 차들을 비단 눈에 보이는 한 대 뿐만 아니라 여러 대를 전방위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물론,
때로는 가/감속 타이밍을 더 일찍, 또는 늦게 주면서 주위 차들이 엉키지 않도록 적당히 움직임을 유도해라."
큰 의미는 없겠지만, 조그마한 스티커 하나 구해다 붙이고 다니고 있습니다.
바짝 들러붙었다가 다시 거리를 조금씩 띄우는 차들이 더러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