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콰트로 차량은 특성상 빠른 바퀴가 느린 바퀴에 힘을 나누어주게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차가 발생하는 즉시 힘의 배분이 바뀌게 됩니다. 이론적으로 앞에서 발생한 회전수가 3.5일 때 후륜에 1을 나누어주게 되어 있습니다. 코너를 돌 때 뒷바퀴는 실제로 노면속도로 주행하는 것보다 더 많은 트랙션이 걸려있게 됩니다.

때문에 정기적으로 좌우 위치교환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콰트로의 기계식 토센디퍼렌셜은 승용차에 적용할 수 있는 4륜 구동 시스템중에서 최고의 완성도라고 생각합니다.
주행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데 4바퀴가 꽁꽁 묶여 있는 타이트함은 타이어의 마모속도가 빠른 것에 불만을 가지게 하지 않을 정도로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다만 차량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여러가지 부정적 요소들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시가지 주행만 많이하는 차량은 좌회전, 우회전, 유턴의 회수가 늘어나면서 결과적으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차가 고속주행을 주로하는 차량보다 큽니다.
토센 디퍼렌셜이 리어액슬에 장착된 차량은 주로 후륜이 타이어의 날이 많이 섰는데, 요즘 차량은 앞뒤 골고로 섭니다.
콰트로가 코너에서 후륜에 나누어 준 힘은 Yaw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고속에서 조타각이 줄고, 고속코너에서 머리의 움직임이 전륜구동보다 민첩해지게 하는 요인입니다.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블럭형 타이어는 뒷바퀴의 블럭블럭 손으로 만져보면 차량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블럭의 앞부분이 약간 솟아난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천천히 가려고하는 뒷바퀴에 트랙션이 걸리면서 앞쪽으로 헛돌듯 발생하는 회전력이 그 원인입니다.
바로 이것을 날이 섰다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대로 방치해두면 톱날 같이 서는데, 타이어 소음을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다만 어느 정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날이서는 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inside, outside로 방향성이 없는 타이어는 5000km정도마다 좌우로 위치교환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전 시가지보다는 정속이나 고속주행을 많이 하기 때문에 1만킬로를 타도 날이 거의 서지 않는데, 이것도 요령이 있으면 줄일 수 있습니다.
유턴을 할 때 타이어에 걸리는 부담이 가장 큽니다.
즉 앞뒤 회전차가 최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콰트로는 가속패달을 밟았을 때만 힘을 배분하기 때문에 유턴을 할 때 가속패달을 강하게 밟을수록 타이어는 더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때문에 유턴을 할 때 가속패달을 최대한 달래듯 밟거나 밟았다가 최소반경으로 턴할 때 가속패달을 놓고 있는 시간을 길게하면 타이어에 걸리는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것은 소리로도 느낄 수 있는데, 콰트로 차량 유턴할 때 가속패달을 강하게 밟으면 타이어가 노면을 비비는 소리가 커집니다.
콰트로는 내구성과 안정성에서 운전자와 가장 쉽게 친해질 수 있는 시스템이며, 콰트로가 가진 proactive한 성향 때문에 나타나는 부작용 아닌 부작용이 타이어의 날이서는 현상입니다.
제가 만 3년을 콰트로를 운전하면서 느낀 점은 콰트로라고 항상 타이어의 마모가 빠른 것은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기계적인 이해가 뒷받침되면 콰트로를 120%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testkwon-
2006.05.12 18:46:10 (*.106.65.125)

회전차가 발생한다는 뜻은 코너를 돌면 앞바퀴가 뒷바퀴보다 큰 회전반경으로 달리게 되니 앞바퀴보다 뒷바퀴가 빠른 것이 되지요. 그 회전차를 표현한 것입니다.
그리고 폭스바겐 차량은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뒷패드가 앞쪽보다 빨리 닳는 차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폭스바겐 차량은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뒷패드가 앞쪽보다 빨리 닳는 차들이 많습니다.
2006.05.12 19:36:39 (*.159.144.35)

음..그렇군요.
참고삼아, 이번에 국내 출시한 GTI의 앞뒤 브레이크 배분을 알 수 있을까요?
권영주님은 아실거 같아서요 ^^ 딜러들은 영...-_-;
참고삼아, 이번에 국내 출시한 GTI의 앞뒤 브레이크 배분을 알 수 있을까요?
권영주님은 아실거 같아서요 ^^ 딜러들은 영...-_-;
2006.05.12 21:11:55 (*.106.65.125)

일반적으로 앞뒤 브레이크 배분은 7:3이나 8:2인데, 요즘은 EBD가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합니다.
때문에 EBD가 있는 차량은 이니셜 배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리고 전자식 4륜구동은 세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리고 제가 장기간 소유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란에보 것은 뭐라고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위의 내용은 콰트로 토센 디퍼렌셜의 경우를 언급한 것입니다.
때문에 EBD가 있는 차량은 이니셜 배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리고 전자식 4륜구동은 세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리고 제가 장기간 소유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란에보 것은 뭐라고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위의 내용은 콰트로 토센 디퍼렌셜의 경우를 언급한 것입니다.
2006.05.12 22:21:01 (*.85.27.218)

5000킬로마다 타이어 좌우 교환이면... 거의 오일체인지마다 하게하면 되겠네요. 유턴및 각종 턴을 할때 악셀은 살살... 잘 알았습니다.
2006.05.12 23:54:32 (*.130.115.93)
타이어 위치교환의 필요성을 언급하신 의미로는 이해가 됩니다. 부정적인 부분을 말하려하는 의도는 아니지만 콰트로 시스템으로인해 타이어 위치교환이 필요하다면 조금 이해가 안갑니다. 특수목적 이외의 차량은 결국 대중적인 자동차인데 극대화되어 있는 구동 시스템 덕분에 구동력등이 향상되었지만 타이어 이상 마모가 생겼다면 일반적인 운전자가 좋은차와 좋은 시스템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타이어 이상 마모가 생긴다면 차량의 이해가 부족한 소비자가 이해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인 운전자라면 클레임을 제기할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아우디에서 무엇을 기준으로 설계를 했는지를 알수 있는 중요한 대목인듯합니다.
2006.05.13 11:34:21 (*.83.144.14)

잘 생각해보면 토센 디퍼런셜이 있어도 4WD인 만큼 Short-Turn Brake는 피할수 없으니 그에 알맞는 권장 운전법을 알려주신 것이었군요. 역시 4WD는 공부가 필요한듯...
2006.05.13 21:52:25 (*.127.196.89)
타이어가 날이서는건 대부분 토인이 과다할때 발생하는데요... 아우디는 컴플라이언스 스티어라는... 횡력을 받을때 서스펜션 부쉬가 변형되면서 앞뒤 바퀴가 스티어되는 것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횡력을 많이 주는 코너주행의 경우 컴플라이언스 스티어로인한 토인이 과다해 지면서 타이어가 날이 서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우디의 서스펜션에 들어가는 부싱을 한번 만져본 사람이라면 아마도 아시겠지요... ^^ 대단합니다 한쪾은 구멍을 내고 한쪽은 구멍난곳에 프라스틱을 박아넣어서 특정방향으로만 부쉬가 변형되도록 만들어져 있지요.. ^^
아우디 엔지니어들은 서스펜션을 10년간 연구해서 적용한다음 다음세대의 서스펜션을 위해서 또 10년을 연구한다고 하더군요...
아마도 제말이 맞다면 고속직진주행으로는 날이 설 일이 없겠지요 ^^
아우디의 서스펜션에 들어가는 부싱을 한번 만져본 사람이라면 아마도 아시겠지요... ^^ 대단합니다 한쪾은 구멍을 내고 한쪽은 구멍난곳에 프라스틱을 박아넣어서 특정방향으로만 부쉬가 변형되도록 만들어져 있지요.. ^^
아우디 엔지니어들은 서스펜션을 10년간 연구해서 적용한다음 다음세대의 서스펜션을 위해서 또 10년을 연구한다고 하더군요...
아마도 제말이 맞다면 고속직진주행으로는 날이 설 일이 없겠지요 ^^
조금 다른 얘기입니다만, 저의 VW차량들은 이상하게도 뒷바퀴 브레이크 디스크패드가 앞바퀴보다 훨씬 빨리 마모되고, 실제 브레이크분진도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더 많이 날립니다. 이게 정상적인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