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엔진내구성에 영향을 미칠만한 튜닝은 절제하고 보강과 내구성, 경량화 위주로만 저만의 차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제가 즐기는 다운힐MTB계열엔 샥압소버용 티타늄스프링을 구할수가 있는데 차량용은 도무지 찾아봐도 정보를 구하기가 힘들더군요.
네이버에서는 차량용은 밸브스프링만 검색되고...
혹시 MTB에만 국한된게 아닐까 싶어 구글링을 해보니 그것도 아니었습니다.
부가티베이론에도 사용되었고 모터바이크용으로도 판매가 되고 있더군요.
그래서 판단해 볼때 커스텀제작을 해야 할거 같기도 한데 티타늄스프링을 제작해 주는곳을 찾는것도 쉽지가 않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시거나 정보를 알고 계신분들께서 알고 계신 정보들을 공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차량용은 너무 비싸질것.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극한의 스포츠카 또는 레이싱용은 괜찮을꺼같지만
일반 박스카는. 스프링의 느낌보다는 댐퍼의 느낌이 더 많이 느껴질것 같습니다

비용이 가장 걸림돌이 되겠지만...아무튼 일본의 튜닝업체 어뮤즈 라는 곳에서 GTR용과 S2000용이 나오는거 같았습니다.
밸브스프링 16개 1세트가 1800달러인데.............. 차량용 주문제작하면 훠얼씬 비싸지 않을까요...
하지만, 기성품을 저렴하게 파는곳을 찾았기에 .... 일단 링크 해봅니다.
http://www.racingsprings.com/Suspension%20Springs/Store/12
ID = inner diameter * 수치는 아마 다 인치일겁니다. 맞는 사이즈를 구하실 수 있다면 대박!!
사이트의 스프링 레이트는 국제표준인 kg/mm을 따르지 않고 지 잘났다고 lb/in 쓰는 미국이라서 이거 참고하시면 됩니다.
kg/mm to lbs/in
-----------------------------
16 = 896
15 = 840
14 = 784
13 = 728
12 = 672
11 = 616
10 = 560
9.0 = 504
8.5 = 476
8.0 = 448
7.5 = 420
7.0 = 392
6.5 = 364
6.0 = 336
5.5 = 308
5.0 = 280
4.5 = 252
4.0 = 224
3.0 = 168
2.0 = 112
아니면 여기서, 빈 창 중에 아무거나 먼저 입력해도 되니 이용하셔도 되구요
저도 차량용 티타늄 스프링 생각했었는데요 구하거나 만들수있다해도 가격이 ㅎㄷㄷ할거 같습니다 베이런같은 하이엔드급 슈퍼카에 들어가는데는 다 이유가 있을거같구요
솔직히 저도 예전 다운힐에 티타늄 스프링 껴봤지만 생각나는 장점은 일단 스프링색이 고급스럽다는 것ㅎㅎ과 약간의 경량화...내부식성 정도 생각나네요 스프링 탄성 유지력이 더 좋다는데 사실 그정도까지는 느끼기 힘들었구요
제생각에는 자동차에 그정도의 돈을 지불한다면 더좋은 대안이 있을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