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MK4 R32의 클러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일주일전에 클러치가 떼자마자 ENGAGE되며 주행중 클러치를 다 밟지 않은것처럼
기어가 뻑뻑하게 들어가고 결국은 변속이 안되서 클러치를 발등으로 차올렸더니
기어변속이 정상이 되고 했다는 질문을 드렸었습니다.
공부를 좀 해보니 궁금증이 또 생겨버렸습니다. 보통의 슬레이브실린더(오페라) 형상과
R32의 형상이 이게 정말 같은 부품이 맞나 싶을 정도로 차이가 남과 동시에
R32의 슬레이브실린더+릴리스 베어링은 그 작동 유압을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받는다고
되어있더군요.
그렇다면 클러치 답력이나 작동범위가 일시적으로 불일정 한것은 마스터 실린더 유압의
문제 일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리턴이 덜되는 문제점 등등>
물론 차를 맡기면 명쾌하게 증상을 파악하고 <뜯어보면> 지금도 추측 가능한 부분을
말씀해주신 전문가 분이 있으시지만 문제는 시간입니다. 제가 지방이라서 한번 차를
보러가려면 휴가를 써야하고 하루를 꼬박 날리는 슬픈 인생인지라... 혹시 클러치 메커니즘
또는 R32에 대해서 정보가 있으신분들은 지도 편달 바랍니다.
그리고 클러치 리턴 스프링의 역할에 대해서 혹시 아시는분 설명 부탁드립니다.
클러치의 작동유압을 브레이크 마스터펌프에서 받는것이아닌
브레이크액(유압유라한다면..)을 공급?받는다또는 리저브탱크를 공유한다가 맞는것 같습니다.
고장의증상을 재현하고 원인이되는 부분을 수리하시면 해결되는 케이스 같습니다.
오퍼레이팅실린더(슬레이브 실린더)는 아주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리턴스프링은 말씀하시고 아시고 계신대로 ..이지만..다시설명한다면..
결국 압력판과 마찰제를 단속하는역활을 사람의 발힘으로 끈코,
압력판의 다이프렘스프링(또는코일스프링)에의해 연결되는구조인데요
압력판을 누르는 동작에서 조작과 답력을 편하게하기위해 페들에는
-지렛대의원리를 적용(조작점의 거리가 커지므로 리턴되기어려울수있으니...이부분에 리턴 스프링이 들어있습니다)
-유압라인에도 유압과 유량을 확보(슬레이브피스톤안쪽에 리터스프링이 들어있습니다)
-조작부부을 간결하고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노력(설계에따라 조작부분에 리터스프링이들어있습니다=대형상용차량등)
-하이드롤릭 진공배력기구(진공백)를 적용한차량도있습니다.
그러니까..차량의설계에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리턴이 되는 역활을하는부분은
-클러치압력판 다이어프렘스프링
-유압라인 슬레이브피스톤 리턴스프링
-유압의 반발력
-패들의 링크?리턴스프링
이중에 흔히 리턴스프링이라부르는것은 클러치패들에있는것을 말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