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아내의 VW BORA 가 오일교환 무료쿠폰도 다 썼고 해서 K&N 순정형 에어필터로 교환하여 사용할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성능향상 목적이라기보단, 한번 사서 더이상 필터비용을 줄이기 위한 경제적인 목적이 더 큰데요,
그런데, 지금까지 에어필터는 Aftermarket제품을 사용한 적이 없었습니다. 항상 순정으로만 교환해 왔는데요, K&N같은 유명 회사라도 믿음이 좀처럼 안가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K&N이나 ITG, BMC같은 제품이 선전하듯이 흡기저항이 적다는 것은 그들이 제시하는 여러가지 시험데이터 등으로 충분히 신뢰가 가는데요,
이들 제품들의 파티클 필터링 능력이 순정보다 뛰어난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좀처럼 판단이 서질 않습니다. 사실상 필터링 성능이 우수할수록 필터 저항이 커 질 수밖에 없는 것이 상식이라고 생각되는데, K&N필터를 보면, 순정보다 더 촘촘한 필터조직도 아니고, 재질도 순정의 재질보다 더 필터링 성능이 뛰어날지에 대해서 확신이 서질 않습니다.
이들 튜닝 필터들이 흡기저항이 적어 출력향상에 도움이 되기는 하는 것 같지만, 필터링성능이 순정보다 뛰어나거나 최소한 순정만큼 뛰어나 엔진 내구성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까요? 사실 이런 업체들이 광고하는 레이싱에서의 성능 입증같은얘기들은 엔진 내구성과는 큰 상관이 없는 얘기들일테니까요..
K&N이나 ITG등의 에어필터들의 필터링성능에 대한 믿을만한 순정과의 비교데이터 같은게 있는지요? 혹은 다른 의견 있으시다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아내의 VW BORA 가 오일교환 무료쿠폰도 다 썼고 해서 K&N 순정형 에어필터로 교환하여 사용할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성능향상 목적이라기보단, 한번 사서 더이상 필터비용을 줄이기 위한 경제적인 목적이 더 큰데요,
그런데, 지금까지 에어필터는 Aftermarket제품을 사용한 적이 없었습니다. 항상 순정으로만 교환해 왔는데요, K&N같은 유명 회사라도 믿음이 좀처럼 안가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K&N이나 ITG, BMC같은 제품이 선전하듯이 흡기저항이 적다는 것은 그들이 제시하는 여러가지 시험데이터 등으로 충분히 신뢰가 가는데요,
이들 제품들의 파티클 필터링 능력이 순정보다 뛰어난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좀처럼 판단이 서질 않습니다. 사실상 필터링 성능이 우수할수록 필터 저항이 커 질 수밖에 없는 것이 상식이라고 생각되는데, K&N필터를 보면, 순정보다 더 촘촘한 필터조직도 아니고, 재질도 순정의 재질보다 더 필터링 성능이 뛰어날지에 대해서 확신이 서질 않습니다.
이들 튜닝 필터들이 흡기저항이 적어 출력향상에 도움이 되기는 하는 것 같지만, 필터링성능이 순정보다 뛰어나거나 최소한 순정만큼 뛰어나 엔진 내구성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까요? 사실 이런 업체들이 광고하는 레이싱에서의 성능 입증같은얘기들은 엔진 내구성과는 큰 상관이 없는 얘기들일테니까요..
K&N이나 ITG등의 에어필터들의 필터링성능에 대한 믿을만한 순정과의 비교데이터 같은게 있는지요? 혹은 다른 의견 있으시다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2006.03.20 15:14:38 (*.74.230.252)

음.. 의견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순정필터에 비해 퍼포먼스이 향상은 있긴 있을 것이라고 저도 생각합니다만, 문제는 성능향상 말고, 먼지 포집성능이 순정보다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인터넷 좀 돌아다녀 보니, K&N 필터의 영국 MIRA에서의 테스트 결과는 96.x%의 필터링 능력이 있다고 하던데, KS규격에서 디젤엔진용 필터의 초기 청정효율을 98.5%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더군요. MIRA의 테스트와 KS테스트가 같은 테스트는 아닌 것 같아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먼지 포집효율이 순정만큼 좋을것인가? 하는 부분에 대해 여전히 의문이 남습니다.
2006.03.20 21:43:01 (*.163.21.14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의 예상대로 몇몇 필터들이 우려할만큼 나쁜 필터링 성능을 갖고있군요. HKS같은 경우, 그 회사가 과연 필터링 성능에 대한 연구와 테스팅을 수행한 후에 제품을 출시했을지 의문스럽습니다. 물론 출력향상에 대한 테스트야 했겠지요.
제 개인적인 생각에 Apexi 역시 수많은 테스트를 거쳐 제품을 내놓은것이 아니고, K&N의 필터를 흉내내어 만들었는데, 의외로 좋은 테스팅 결과가 우연히 나온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위의 필터 테스트의 결론은 K&N 제품이 그나마 젤 낫다.. 는 쪽으로 기우네용.. 다만, K&N 필터마져도 순정 폴리에스터 조직으로 만든 건식필터보다 필터링 성능이 좋을것인가? 하는데 대해서는 아직 답이 없군요.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가정용 HEPA공기청정기의 경우, 여러단계의 필터부 중 차량용 순정 필터와 거의 같은 필터층이 있습니다만, 가정용 HEPA공기청정기 중 K&N과 비슷한 방식의 파티클 필터부를 가지는 제품은 없다는 점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에 Apexi 역시 수많은 테스트를 거쳐 제품을 내놓은것이 아니고, K&N의 필터를 흉내내어 만들었는데, 의외로 좋은 테스팅 결과가 우연히 나온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위의 필터 테스트의 결론은 K&N 제품이 그나마 젤 낫다.. 는 쪽으로 기우네용.. 다만, K&N 필터마져도 순정 폴리에스터 조직으로 만든 건식필터보다 필터링 성능이 좋을것인가? 하는데 대해서는 아직 답이 없군요.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가정용 HEPA공기청정기의 경우, 여러단계의 필터부 중 차량용 순정 필터와 거의 같은 필터층이 있습니다만, 가정용 HEPA공기청정기 중 K&N과 비슷한 방식의 파티클 필터부를 가지는 제품은 없다는 점입니다.
2006.03.21 16:10:16 (*.237.7.222)

제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K&N 보다는 ITG 가 훨 낳은 느낌 입니다.(경험상).. 현재 K/N 은 약 500키로 주행후 빼놓은 상태 입니다. (차종 파사트 1.8) ITG 에 비하여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답답함이 있습니다. 비숫한 차종이라 한번 말씀 드렸습니다. ^^
그 느낌이라는게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일 수 있으니 참고 정도만 하십시오.
저 RPM시엔 오픈형이나 순정형이나 별반 차이를 느낄 수 없었고 중고속으로 갈수록 확연한 차이가 드러났습니다.
엑셀 전개시 오픈형이 즉각적인 반응을 반응을 보이는데 비해 순정형은 한 템포 늦게 반응을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토크감은 순정형이 조금 더 두터운 느낌이 듭니다.
이전의 오픈형 시스템의 경우 지속적으로 엑셀 전개시 고속에서 약간의 바람빠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는데 순정형 시스템에서는 끊임 없이 밀도감 있는 배압이 형성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필터만 바꾼 상태에서 순정 흡기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진공이 제대로 형성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무튼 지금은 아주 만족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고 알피엠 사용시 오픈형보다 소음이 조금 더 있는 것 같습니다.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