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2002년식 Jaguar X-type 15만 킬로 정도 주행후 허브 베어링 수명이 다하여 얼마 전에 전륜의 좌우 너클을 교환했습니다.
휠 베어링만을 교체하려고 했지만 부품이 오려면 2주 정도 더 소요된다고 하고 베어링 체결에 쓰이는 특수 공구가 없다는 말에 마침 재고가 있는 너클로 교환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승차감과 얼라인먼트에 민감한 편이라 혹시 교환 후에 좋지 않은 변화는 없을까 걱정스러웠는데 아니나 다를까 너클 교환 후에 얼라인먼트를 재보니 캠버 각이 좌 -0.6 우 -0.7에서 양측 모두 -1.0 으로 변했더군요. ( 캠버 허용치는 -0.03~-1.03 )
캐스터는 정상 값으로 잘 나옵니다.
문제는 승차감이 너무 좋지 않고 노면의 충격이 그대로 차체에 전해지는 것입니다.
요새 허리와 목 디스크 증세가 있어서 승차감에 민감한데 전과 너무 다른 승차감에 당황스럽습니다.
승차감이라는 것이 주관적인 면이 강하기 때문에 어필하기가 참 애매하더군요.
써브프레임 얼라인먼트를 점검한 후에 얼라인먼트를 3차례나 다시 보고 타이어까지 새 것으로 바꿔 보았지만 허사였습니다.
너클에 클레임을 걸어야 하는지....
스프링과 댐퍼까지 바꾸려고 생각도 했지만 상태는 아직 괜찮은 것 같아서 지금 생각으로는 예전 너클에 휠 베어링만 끼워서 다시 바꿔보려고 합니다.
너클을 교환한 후에 캠버값이 -0.3~04 정도 변했다고 이렇게 승차감에 큰 차이가 생길 수 있을까요.
혹시 몰라서 써스펜션 마운트를 풀어놓고 주행한 후에 편평한 곳에서 다시 체결해 보기도 했는데 조향감이 전보다 좋아지더군요.
하지만 노면의 기복이 있는 곳에서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은 여전합니다.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 계신가요.
원인이 뭘까요.
휠 베어링만을 교체하려고 했지만 부품이 오려면 2주 정도 더 소요된다고 하고 베어링 체결에 쓰이는 특수 공구가 없다는 말에 마침 재고가 있는 너클로 교환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승차감과 얼라인먼트에 민감한 편이라 혹시 교환 후에 좋지 않은 변화는 없을까 걱정스러웠는데 아니나 다를까 너클 교환 후에 얼라인먼트를 재보니 캠버 각이 좌 -0.6 우 -0.7에서 양측 모두 -1.0 으로 변했더군요. ( 캠버 허용치는 -0.03~-1.03 )
캐스터는 정상 값으로 잘 나옵니다.
문제는 승차감이 너무 좋지 않고 노면의 충격이 그대로 차체에 전해지는 것입니다.
요새 허리와 목 디스크 증세가 있어서 승차감에 민감한데 전과 너무 다른 승차감에 당황스럽습니다.
승차감이라는 것이 주관적인 면이 강하기 때문에 어필하기가 참 애매하더군요.
써브프레임 얼라인먼트를 점검한 후에 얼라인먼트를 3차례나 다시 보고 타이어까지 새 것으로 바꿔 보았지만 허사였습니다.
너클에 클레임을 걸어야 하는지....
스프링과 댐퍼까지 바꾸려고 생각도 했지만 상태는 아직 괜찮은 것 같아서 지금 생각으로는 예전 너클에 휠 베어링만 끼워서 다시 바꿔보려고 합니다.
너클을 교환한 후에 캠버값이 -0.3~04 정도 변했다고 이렇게 승차감에 큰 차이가 생길 수 있을까요.
혹시 몰라서 써스펜션 마운트를 풀어놓고 주행한 후에 편평한 곳에서 다시 체결해 보기도 했는데 조향감이 전보다 좋아지더군요.
하지만 노면의 기복이 있는 곳에서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은 여전합니다.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 계신가요.
원인이 뭘까요.
2006.09.04 04:25:58 (*.49.166.104)

익렬님말씀에 많이 공감합니다. 함께 살피시고, 원칙적으로는 얼라인먼트 후 완전 정상화 되어야 답입니다. upper strut mount도 살피시길 ...
2006.09.04 09:10:39 (*.192.187.141)

그정도 캠버각 변화로 승차감을 확연히 느낄수있나요? 제가 둔한건지.. 이경석님이 뉴타입이시던지 -_-;;; 제 생각에도 캠버 자체의 문제라기보단 다른 부품과 관련있을듯한데요..
2006.09.04 10:08:57 (*.115.56.83)
이익렬님 말씀대로 부싱의 문제일수있고 (-)캠버의 경우는 토인을-->토아웃 으로 바꿔주어야 직진성이 보장됩니다
제 생각이지만 너클이 이전너클과 약간 다르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맥퍼슨스트럿의 경우 캠버는 너클과 쇼크업소버의 체결부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너클도 한번 비교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너클이 이전너클과 약간 다르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맥퍼슨스트럿의 경우 캠버는 너클과 쇼크업소버의 체결부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너클도 한번 비교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2006.09.04 12:59:57 (*.110.140.38)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직진 안정성엔 큰 문제는 없지만 노면의 굴곡이 차에 전달되는 것이 예민해져서 승차감이 많이 떨어집니다.
조금만 좋지 않아도 쿵쿵거리고요.
너클을 교환할 때 서브 프레임은 살짝 풀어야하지만 댐퍼 마운트 쪽은 건드리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부싱은 교환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참고 타기엔 승차감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긴 힘듭니다.
너클 클레임을 걸기도 참 애매하네요.
직진 안정성엔 큰 문제는 없지만 노면의 굴곡이 차에 전달되는 것이 예민해져서 승차감이 많이 떨어집니다.
조금만 좋지 않아도 쿵쿵거리고요.
너클을 교환할 때 서브 프레임은 살짝 풀어야하지만 댐퍼 마운트 쪽은 건드리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부싱은 교환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참고 타기엔 승차감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긴 힘듭니다.
너클 클레임을 걸기도 참 애매하네요.
2006.11.25 01:20:40 (*.155.230.198)

2달만에 해결했습니다. 스태빌라이져 바와 링크쪽이 문제였더군요.
본래 너클로 교환하니 정상 캠버로 돌아왔습니다.
승차감 문제는 너클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스태빌라이져 바가 어떻게된 일인지 끼어있는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더군요.
그래서 링크가 제 기능을 못하고 모든 힘을 받고 있었던 것이지요.
링크 쪽에서 소리가 좀 니긴 하지만 이전의 승차감이 돌아오니 살 맛 납니다.
본래 너클로 교환하니 정상 캠버로 돌아왔습니다.
승차감 문제는 너클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스태빌라이져 바가 어떻게된 일인지 끼어있는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더군요.
그래서 링크가 제 기능을 못하고 모든 힘을 받고 있었던 것이지요.
링크 쪽에서 소리가 좀 니긴 하지만 이전의 승차감이 돌아오니 살 맛 납니다.
1) 부싱류가 충분히 연화되지않아 느낌이 탄탄할수 있고요..
2) 통상 캠버가 벌어지면, 양륜이 중심부로 파고들려는 성향을 갖기때문에 접지가 가볍고 불규칙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토우 각을 좀더 벌려주어야 리니어한 주행감이 나옵니다. AS 에 정확한 데이타가 없다면, 토우각을 좀더 벌려달라 하시고, 시험운행을 해보세요.
느낌이 많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