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TOYOTA MR-S 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운행후 1년 가까이 별탈없이 잘 다니던 녀석이..
Check Engine Light 가 들어오면서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ㅠㅠ
다음에 있는 MRS 동호회에서 추천해주는 정비소에 가서 스캔을 해보니까
산소센서가 불량이라고 하여서
ebay에서 팔고있는 산소센서를 구입하여 교환을 하였습니다.
ebay에서 파는게 전원 커넥터 부분이 없이 전선만 달랑 있는 모양이라..
원래 달려있던 센서의 커넥터를 잘라서 붙이고 교환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CEL은 꺼지지 않습니다ㅠ.ㅠ
MRS 동호회의 정비소 미케닉분은 산소센서의 선을 짜르면 원래 그러니 어쩔수 없다고 하시네요ㅠㅠ
게다가 그곳의 OBD스캐너가 간단한 정보만 나오기 때문에 자세한 스캔도 못하는 상황이구요
그래서 일본차.. 중에서도 TOYOTA차종에 대해서 경험이 많은 정비소 추천부탁드립니다.
강남권이나 서울권의 공임이 저렴한 곳이면 좋겠습니다ㅠㅠ
TOYOTA MR-S 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운행후 1년 가까이 별탈없이 잘 다니던 녀석이..
Check Engine Light 가 들어오면서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ㅠㅠ
다음에 있는 MRS 동호회에서 추천해주는 정비소에 가서 스캔을 해보니까
산소센서가 불량이라고 하여서
ebay에서 팔고있는 산소센서를 구입하여 교환을 하였습니다.
ebay에서 파는게 전원 커넥터 부분이 없이 전선만 달랑 있는 모양이라..
원래 달려있던 센서의 커넥터를 잘라서 붙이고 교환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CEL은 꺼지지 않습니다ㅠ.ㅠ
MRS 동호회의 정비소 미케닉분은 산소센서의 선을 짜르면 원래 그러니 어쩔수 없다고 하시네요ㅠㅠ
게다가 그곳의 OBD스캐너가 간단한 정보만 나오기 때문에 자세한 스캔도 못하는 상황이구요
그래서 일본차.. 중에서도 TOYOTA차종에 대해서 경험이 많은 정비소 추천부탁드립니다.
강남권이나 서울권의 공임이 저렴한 곳이면 좋겠습니다ㅠㅠ
2007.07.04 21:09:28 (*.172.214.159)

북미 버전이라면 96년 이후부터는 OBD-II가 필수가 되면서 산소센서가 2개 입니다. 그 중에 어떤 것이 문제였는지 제대로 확인하셨습니까? 혹시 코드 번호가 뭔지 아시면 제가 코드가 정확하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찾아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산소센서 불량에 관한 코드가 아주 여러개 있습니다. 그리고 북미형이라면 OBD-II 포트로 제가 직접 스캔이 가능합니다.
2007.07.04 21:20:00 (*.172.214.159)

그리고 애프터 마켓 산소센서의 경우에는 커넥터 없는 것들이 훨씬 쌉니다. 그리고 전선 연결 숫자가 맞고 제대로 연결만 했다면 그런 산소센서를 사용했다고 해서 CEL이 계속 들어온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_- 산소 센서는 고온에서 제대로 동작하기 때문에 보통 전열 히터가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이 히터가 끊어져도 산소센서와 관련된 OBD 코드가 뜨기는 합니다. 하지만 애프터 마켓 산소센서라도 히터가 들어있는 것으로 구매를 하셨으면 당연히 CEL이 꺼져야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어떤 문제가 해결이 되더라도 CEL은 약 3번 정도 엔진이 새로 시동이 걸리고 웜업이 될 때까지 CEL을 끄지 않습니다. (스캐너로 리셋하면 꺼집니다.) 그러니깐 만약에 아직 3번이상 안타셨다면 고쳐졌는데도 안꺼진 것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2007.07.04 23:30:42 (*.75.240.220)
산소센서는 4선짜리 제대로 된거구요, 유럽버젼이라 산소센서가 총 3개(매니폴더2개, 중통이후1개) 들어가는데 매니의 2개가 한꺼번에 고장이나서 교환했습니다. 교환 후 CEL을 배터리를 뽑아서 ECU 리셋을 통해 1회, 스캐너를 이용해 1회 지웠습니다. 각각 지우고 나서 2주일 정도 주행했구요ㅠ.ㅠ 제가 갔던 정비소의 스캐너는 일제 였는데 별다른 오류코드 없이 말로만( 뱅크1 산소센서 실패, 뱅크2 산소센서 실패) 이런식으로 나오더군요.
2007.07.04 23:32:58 (*.75.240.220)
한가지 궁금한게 인터넷이나 정비소들에서나 산소센서는 짤라서 써는게 아니라고 하는데, 정작 미국쪽 동호회에 문의하고 알아본 바로는 짤라써도 아무 문제 없다고 하더군요. 분명 선을 절단하고 붙임으로 인해서 센서의 출력에 노이즈가 낄수는 있겠지만.. 왜 유독 국내에선 선을 짜르는게 아니라고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2007.07.04 23:51:27 (*.127.196.140)
아무래도 산소센서 선이 잘못연결되었거나... 산소센서문제가 아닌 배선의 문제로 보입니다... 산소센서는 오실로스코프로 센서출력과 히팅입력을 보시면됩니다 (정상인지 아닌지 바로 알수있습니다) 대부분의 국산 자기진단장비엔 오실로스코프기능이 있습니다 좀 큰정비소에 가시면 Hi-DS라는 전문적인 장비도 있고요 전자제어엔진을 전문으로 보는 곳이라면 별 어려움없이 잡아내실겁니다 꼭 도요타정비소를 찾으신다면 국내 렉서스 A/S센터도 있고요 (그레이도 별 차별없이 봐준다고 들었습니다만... )
2007.07.05 08:40:54 (*.20.191.201)

선을 잘라서 붙이는 것은 잘만하면 문제가 될 것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히터 라인 두개랑 전압 센싱하는 파트 두개를 차량 커넥터에 잘 맞게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히터 쪽은 저항 측정만 해도 끊어졌는지 제대로 동작하는지 볼 수가 있습니다. CEL 스캔 한번 해보시고 여전히 산소센서 코드라면 저도 위의 이동섭님의 의견과 같이 와이어링이나 커넥터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많다고 봅니다.
2007.07.05 14:10:43 (*.75.240.220)
현대차에 쓰는 스캐너로도 MRS를 스캔해볼수 있나요? 그렇다면 정비소를 찾아가지 않아도 되겠네요ㅠㅠ 정말 배선 문제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2007.07.05 15:48:47 (*.127.196.140)
현대차용 스캐너로는 외제차량 스캔은 안됩니다만...(간혹 외제차도 가능한 기능이 있는 장비도 있긴하지만...) 센서출력을 오실로스코프로 볼수는 있습니다 ^^ 산소센서는 엔진이 정상작동온도에서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파형과 반응시간으로 정상인지 아닌지 판단할수있습니다
2007.07.05 16:14:29 (*.75.240.220)
오실로스코프로 본다는 말씀이.. 따로 오실로스코프 장비를 가져다가 찍어본다는 말씀이시죠;? 친구네에 있는 오실로스코프로 한번 찍어봐야곘네요..
2007.07.05 17:50:42 (*.127.196.140)
국내에서 개발된 신형 스캐너에는(2채널을 지원하는것도 있고요...보통 1채널... 구형은 없는것이 많습니다) 오실로스코프기능도 포함되어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2007.07.06 14:03:33 (*.108.120.96)

감지 방식에따라 산소센서가 크게 두 종류가 있다는데... 이것만 맞는다면 커넷터를 잘라서 붙여도 문제가 없습니다. 없어야 하죠. 이베이에서 MR-S 에 맞게 구입하신거라면... 위에 분들 말씀대로 하신 이유가 크지 않을까하네요.
미드십에 엔진과 바로 연결된 매니폴더에 촉매가 있고 거기에 산소센서가 달려 있어서인지(?) MR-S의 산소센서 이상은 거의 모든 차에서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안산의 스피드매니아라고 일본차들을 비롯해 제 엠알을 잘 보시는 분이 있긴한데... 좀 멀고 그곳에 스캐너가 없어서... 추천해주긴 그러네요... 계속 CEL 불이 들어온다면 렉서스 AS 에서 자세한 스캔 할 수 있으나 비용은 따로 받습니다. 아님 스캐너 fault 관련 코드는 미국 MR-S 포럼에 자세히 나와 있고 원하시면 저도 알아봐드릴께요.
미드십에 엔진과 바로 연결된 매니폴더에 촉매가 있고 거기에 산소센서가 달려 있어서인지(?) MR-S의 산소센서 이상은 거의 모든 차에서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안산의 스피드매니아라고 일본차들을 비롯해 제 엠알을 잘 보시는 분이 있긴한데... 좀 멀고 그곳에 스캐너가 없어서... 추천해주긴 그러네요... 계속 CEL 불이 들어온다면 렉서스 AS 에서 자세한 스캔 할 수 있으나 비용은 따로 받습니다. 아님 스캐너 fault 관련 코드는 미국 MR-S 포럼에 자세히 나와 있고 원하시면 저도 알아봐드릴께요.
2007.07.06 18:07:04 (*.39.111.184)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산소쎈서 이상으로 체크엔진이 들어오는 경우는 시동후 조금 지나야
합니다. 만약 시동걸자마자 들어온다면 다른쪽을 의심 해봐야 하겠구요
그리고 선을 이어 붙히는 경우에 원래 고쳐져도 불들어온다는 말은
전자제어에 대해서 전혀 모르시는 분인듯합니다.
산소쎈서의 경우 하는 역할은 배기가스내에 잔존 산소량을 측정해서
ecu로 아날로그 신호를 보냅니다 (mv 이죠)그럼 ecu 에서는 ad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연산을 하게 됩니다.
물론 이때는 다른 피드백 쎈서이 데이터를 종합후 연산해서 연료량 보정을
하게 되는것이죠 산소쎈서의 경우 대부분 어느정도 열을 받아야 작동하므로
최근의 경우에는 거의가 4선 쎈서입니다. 입,출력,그라운드,히팅이 주를 이루죠
선 배열에서 틀림없이 이어졌다면 다시 불이 들어와서는 안되죠
간혹 16비트 내지는 32비트 ecu의 경우 스캔에서 지워주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런 경우도 배터리 리셋으로 거의 지워집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배터리 - 단자를 떼서 5분간 나두시고 다시 배터리 단자를
안마 하듯이 접속 단락을 몇번 되풀이 하신 후 배터리를 이어보세요
그래도 안지워진다면 두 가지라고 보여집니다.
하나는 산소쎈서 때문이 아닌 다른 이유로 체크엔진이 들어 오는것이고
둘째는 스캔상에서 지워야만 되는 독종 ecu 라고 보여집니다.
둘째 부분은 가능성이 좀 희박해 보입니다.
1번을 전제로 해본다면 에어플로우쎈서중 흡기온 부분의 문제일 가능성도
농후하며 수온쎈서로도 들어옵니다. 다시금 점검을 해보시는게 좋으실듯
합니다.
산소쎈서 이상으로 체크엔진이 들어오는 경우는 시동후 조금 지나야
합니다. 만약 시동걸자마자 들어온다면 다른쪽을 의심 해봐야 하겠구요
그리고 선을 이어 붙히는 경우에 원래 고쳐져도 불들어온다는 말은
전자제어에 대해서 전혀 모르시는 분인듯합니다.
산소쎈서의 경우 하는 역할은 배기가스내에 잔존 산소량을 측정해서
ecu로 아날로그 신호를 보냅니다 (mv 이죠)그럼 ecu 에서는 ad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연산을 하게 됩니다.
물론 이때는 다른 피드백 쎈서이 데이터를 종합후 연산해서 연료량 보정을
하게 되는것이죠 산소쎈서의 경우 대부분 어느정도 열을 받아야 작동하므로
최근의 경우에는 거의가 4선 쎈서입니다. 입,출력,그라운드,히팅이 주를 이루죠
선 배열에서 틀림없이 이어졌다면 다시 불이 들어와서는 안되죠
간혹 16비트 내지는 32비트 ecu의 경우 스캔에서 지워주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런 경우도 배터리 리셋으로 거의 지워집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배터리 - 단자를 떼서 5분간 나두시고 다시 배터리 단자를
안마 하듯이 접속 단락을 몇번 되풀이 하신 후 배터리를 이어보세요
그래도 안지워진다면 두 가지라고 보여집니다.
하나는 산소쎈서 때문이 아닌 다른 이유로 체크엔진이 들어 오는것이고
둘째는 스캔상에서 지워야만 되는 독종 ecu 라고 보여집니다.
둘째 부분은 가능성이 좀 희박해 보입니다.
1번을 전제로 해본다면 에어플로우쎈서중 흡기온 부분의 문제일 가능성도
농후하며 수온쎈서로도 들어옵니다. 다시금 점검을 해보시는게 좋으실듯
합니다.
2007.07.06 18:54:36 (*.123.10.251)
많은분들의 자세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ㅠㅠ
지금 상황을 다시 정리해야 될거 같습니다.
1. 처음 CEL이 들어와서 스캔한 결과 산소센서 이상으로 나옴(자세한 에러코드는 안나오는 스캐너임)
2. 4선으로된 산소센서를 ebay에서 구입하여 커넥터를 잘라붙임.
3. 밧데리 연결을 끊어서 ECU를 리셋하여 CEL을 소거시킴.
4. 일정거리(30km정도) 주행후 CEL이 다시 들어왔음.
5. 1의 스캐너를 이용해 ECU를 리셋함.
6. 역시 다시 일정거리 주행후 CEL이 들어왔음.
결과적으로 보면 산소센서를 신품으로 교환후 ECU 리셋을 2회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EL이 들어와서 좀더 전문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어서 정비소 추천을 문의한것입니다ㅠ.ㅠ
비용이 좀 들더라도 렉서스AS 쪽에 가서 스캔을 받아봐야 할거 같습니다ㅠㅠ
지금 상황을 다시 정리해야 될거 같습니다.
1. 처음 CEL이 들어와서 스캔한 결과 산소센서 이상으로 나옴(자세한 에러코드는 안나오는 스캐너임)
2. 4선으로된 산소센서를 ebay에서 구입하여 커넥터를 잘라붙임.
3. 밧데리 연결을 끊어서 ECU를 리셋하여 CEL을 소거시킴.
4. 일정거리(30km정도) 주행후 CEL이 다시 들어왔음.
5. 1의 스캐너를 이용해 ECU를 리셋함.
6. 역시 다시 일정거리 주행후 CEL이 들어왔음.
결과적으로 보면 산소센서를 신품으로 교환후 ECU 리셋을 2회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EL이 들어와서 좀더 전문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어서 정비소 추천을 문의한것입니다ㅠ.ㅠ
비용이 좀 들더라도 렉서스AS 쪽에 가서 스캔을 받아봐야 할거 같습니다ㅠㅠ
2007.07.06 22:45:18 (*.39.111.184)

음 제가 아는 바로는 배선이 4가닥인 경우 흰색,회색이 둘 검정 인 경우와
흰색 검정 갈색이 둘인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에 정확한 연결이
이루어졌다면 문제가 없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혹은 연결부위에 대한 테이핑 처리는 어찌하셨는지요? 간혹 그 부위에
습기가 차면 그러한 증상이 나옵니다. 수축튜브와 테잎으로 확실하게
밀봉을 다시 한번 해보심이 물론 말린후에요 절대적으로 습기는
에러의 원인입니다.
흰색 검정 갈색이 둘인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에 정확한 연결이
이루어졌다면 문제가 없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혹은 연결부위에 대한 테이핑 처리는 어찌하셨는지요? 간혹 그 부위에
습기가 차면 그러한 증상이 나옵니다. 수축튜브와 테잎으로 확실하게
밀봉을 다시 한번 해보심이 물론 말린후에요 절대적으로 습기는
에러의 원인입니다.
2007.07.07 23:53:00 (*.127.196.140)
산소센서도 두종류라서요... 구입하신 산소센서가 정품인가요? 산화티타니아 산화지르코니아 두종류입니다 하나는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고 하나는 전압을 스스로 발생시키는 센서인지라...
2007.07.08 02:26:51 (*.75.240.220)
ebay의 판매자가 MRS용이라고 파는 제품이니까 문제는 없는 센서일거라고 생각됩니다. 덴소제품이기도 하구요. 선의 연결도 통전은 제대로 되는걸 보면.. 문제는 없을거라구 생각되구요. 선의 연결을.. 양쪽선을 까서 넣고 꽉 찝으믄 연결되는 걸로 이어놨습니다. 이또한 판매자가 같이 보내준거라.. 미국서는 이걸로 선을 연결하는 모양입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