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전에 읽은 글에서
클러치 조작시 발뒤꿈치를 바닥에 고정하고 조작하란 말씀이 있었는데..
팁 좀 부탁드립니다.
연습해 보는데, 자꾸 떨어지더군요.. 흑~
시트포지션이 예매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전에 읽은 글에서
클러치 조작시 발뒤꿈치를 바닥에 고정하고 조작하란 말씀이 있었는데..
팁 좀 부탁드립니다.
연습해 보는데, 자꾸 떨어지더군요.. 흑~
시트포지션이 예매한지도 모르겠습니다..
2007.08.06 22:51:50 (*.130.122.194)

발끝(에 가까운 부분)으로 밟고 발목을 회전시켜 페달을 누르는데 집중하시고, 뒷꿈치는 붙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니 편한 방법을 찾으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발 전체로 페달을 밟고 다리를 모두 들었다놓는 식으로 페달을 누르는 것은 피하시는 것이 예민한 조작 및 자세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2007.08.06 23:24:58 (*.235.55.143)

되도록 발끝을 이용한 조작이라야 발목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엄지발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갈 정도로 발끝만을 이용합니다.
시트의 적정포지션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운전석시트는 최적의 상태에서 레일조작을 피하시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피곤할때는 조수석에서 쉬기^^
저의 경우는 엄지발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갈 정도로 발끝만을 이용합니다.
시트의 적정포지션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운전석시트는 최적의 상태에서 레일조작을 피하시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피곤할때는 조수석에서 쉬기^^
2007.08.07 10:50:06 (*.201.180.230)

클러치를 완전히 밟고 있다가 미트시키는 지점까지 뗄때는 뒷꿈치가 살짝(매트와 스치듯)떨어지고 미트시키는 지점에서는 뒷꿈치가 고정되는 방법이 정확한 조작을 돕기에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클러치조작이 능숙한 운전자라면 뒷꿈치가 매번 떠 있어도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미스가 생기지 않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신만의 올바른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07.08.07 17:38:37 (*.114.62.37)

자기가 정교하게 컨트롤 할 수 있으면 그것이 자신만의 정석입니다.
클러치를 어떻게 밟아야한다는 교본이나 정석은 없습니다.
다만 뒷발꿈치가 붙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놓는 것은 발 전체를 이용해 조절하는 것보다 예민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차량을 바꾸어 탔을 경우 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지요.
가속패달을 뒷발꿈치를 땅에서 떨어트린체 발전체로 컨트롤한다고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상당히 부정확한 컨트롤이 되겠지요?
클러치 패달도 마찬가지로 발목을 이용하면 발목이 꺽이는 한계로 인해 보다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동판과는 전혀 무관하며, 단 클러치의 미트시점이 너무 늦은 패달은 조금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발꿈치가 붙은 상태에서 떼는 것은 익숙해지면 훨씬 쉽습니다.
클러치를 어떻게 밟아야한다는 교본이나 정석은 없습니다.
다만 뒷발꿈치가 붙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놓는 것은 발 전체를 이용해 조절하는 것보다 예민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차량을 바꾸어 탔을 경우 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지요.
가속패달을 뒷발꿈치를 땅에서 떨어트린체 발전체로 컨트롤한다고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상당히 부정확한 컨트롤이 되겠지요?
클러치 패달도 마찬가지로 발목을 이용하면 발목이 꺽이는 한계로 인해 보다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동판과는 전혀 무관하며, 단 클러치의 미트시점이 너무 늦은 패달은 조금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발꿈치가 붙은 상태에서 떼는 것은 익숙해지면 훨씬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