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십니까? 가끔 Q&A란에만 글 올리는 유령회원 KIMA라고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일전에 올린 제 99년식 STi의 고알피엠에서의 부스트 하락을 잡지 못해 결국은 해결을 핑계로 터빈 업그레이드 및 인터쿨러 레이아웃의 변경작업을 시행하였고 이후 발생한 증상에 관해 고수분들의 도움을 얻고자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대용량 하이브리드 터빈과 웨스트게이트, 그리고 STi 고유의 탑마운트 방식을 버리고 프론트 마운트로 변경하여 기존의 에어필터 - 쓰로틀 바디까지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길어지는 방식으로 변경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하면서 발생한 결과인지 아니면 다른 파츠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이들 상황에서나 주행중에 기어가 물리지 않은 상황에서 악셀오프가 되면 아이들 알피엠 750rpm을 유지 못하며 600~650rpm에 한동안 머무르며 이때 와이드밴드 공연비 게이지는 10.5:1~11:1 정도로 아주 짙은 공연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 차에 사용하는 EMS는 Apexi사의 PowerFC이며, 부스트 컨트롤러는 AVC-R을 사용하며, 매핑은 직접 노트북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하고 있어, 그 상황을 모니터해 보면 에어플로센서 전압값이 기존 아이들 전압값 0.9V보다 높은 1.4~1.5V를 보이며 엔진 부하값 역시 기존 아이들 부하값 1100~1200정도보다 훨씬 높은 4000~5000 정도를 보여주고 이때의 분사량이 4~5ms 정도입니다.
조금의 시간이 지나면 정상공연비 14.5~14.7:1로 맞춰지며 아이들 알피엠도 정상적으로 돌아옵니다만, 앞서 언급한 위의 상황에서는 연료가 많아 꼭 시동이 꺼질듯한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해 보기 위해 ISC벨브를 클리너로 세척하였고, 쓰로틀밸브 또한 세척하였으나 아무런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EMS 소프트웨어로 모니터링을 해보면 전과 다른 점이 한가지 있긴 한데 진공라인을 잘못 연결한 것인지 AVC-R이나 부스트 게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는 값과는 달리 순정진공센서에 보여는 진공값은 변하지 않고 -13밀리바 정도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인지, 순정진공압력이 이상하게 보이는 부분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아예 생각지도 못한 파츠의 상태가 이상해서 인지 도움을 받고자 하며, 부디 고수분들께서는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 _)_
다름이 아니라 일전에 올린 제 99년식 STi의 고알피엠에서의 부스트 하락을 잡지 못해 결국은 해결을 핑계로 터빈 업그레이드 및 인터쿨러 레이아웃의 변경작업을 시행하였고 이후 발생한 증상에 관해 고수분들의 도움을 얻고자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대용량 하이브리드 터빈과 웨스트게이트, 그리고 STi 고유의 탑마운트 방식을 버리고 프론트 마운트로 변경하여 기존의 에어필터 - 쓰로틀 바디까지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길어지는 방식으로 변경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하면서 발생한 결과인지 아니면 다른 파츠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이들 상황에서나 주행중에 기어가 물리지 않은 상황에서 악셀오프가 되면 아이들 알피엠 750rpm을 유지 못하며 600~650rpm에 한동안 머무르며 이때 와이드밴드 공연비 게이지는 10.5:1~11:1 정도로 아주 짙은 공연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 차에 사용하는 EMS는 Apexi사의 PowerFC이며, 부스트 컨트롤러는 AVC-R을 사용하며, 매핑은 직접 노트북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하고 있어, 그 상황을 모니터해 보면 에어플로센서 전압값이 기존 아이들 전압값 0.9V보다 높은 1.4~1.5V를 보이며 엔진 부하값 역시 기존 아이들 부하값 1100~1200정도보다 훨씬 높은 4000~5000 정도를 보여주고 이때의 분사량이 4~5ms 정도입니다.
조금의 시간이 지나면 정상공연비 14.5~14.7:1로 맞춰지며 아이들 알피엠도 정상적으로 돌아옵니다만, 앞서 언급한 위의 상황에서는 연료가 많아 꼭 시동이 꺼질듯한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해 보기 위해 ISC벨브를 클리너로 세척하였고, 쓰로틀밸브 또한 세척하였으나 아무런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EMS 소프트웨어로 모니터링을 해보면 전과 다른 점이 한가지 있긴 한데 진공라인을 잘못 연결한 것인지 AVC-R이나 부스트 게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는 값과는 달리 순정진공센서에 보여는 진공값은 변하지 않고 -13밀리바 정도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인지, 순정진공압력이 이상하게 보이는 부분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아예 생각지도 못한 파츠의 상태가 이상해서 인지 도움을 받고자 하며, 부디 고수분들께서는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 _)_
2007.08.13 11:31:53 (*.128.167.185)

인젝터는 순정 525cc에서 현재 850cc로 변경한 상태이며 이를 PowerFC에서 81.7%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세팅해 놓았습니다.
2007.08.13 11:35:01 (*.128.167.185)

그리고 확인해 본 결과 순정 진공센서로 들어가는 진공라인도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상하게도 체크되는 진공값은 -13미리 바 정도이네요...-_-;;
2007.08.13 14:43:30 (*.127.196.140)
아무래도 TPS쪽 전압이 정상이 아닌듯싶습니다
공연비가 진하게 나오는건 TPS값이 높은데도 rpm이 낮아서 ECU가 고부하상황으로 인식하기때문에 나오는 현상같습니다
혹시 아이들스위치가 있는 타입인가요? 아니면 아이들스위치 역할을 TPS가 같이 하는 타입인가요?
공연비가 진하게 나오는건 TPS값이 높은데도 rpm이 낮아서 ECU가 고부하상황으로 인식하기때문에 나오는 현상같습니다
혹시 아이들스위치가 있는 타입인가요? 아니면 아이들스위치 역할을 TPS가 같이 하는 타입인가요?
2007.08.13 16:43:48 (*.128.167.185)

아이들 스위치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ISC가 아이들을 담당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EMS(PowerFC)에서는 아이들 관련해서는 처음부터 버튼이 꺼져 있어 아예 조작을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TPS값이 정상이 아닐 경우는 센서가 이상이 있는 경우 이외에 쓰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는 것일까요?
EMS(PowerFC)에서는 아이들 관련해서는 처음부터 버튼이 꺼져 있어 아예 조작을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TPS값이 정상이 아닐 경우는 센서가 이상이 있는 경우 이외에 쓰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는 것일까요?
2007.08.13 19:44:45 (*.127.196.140)
TPS가 정상인 상태에서 쓰로틀 밸브가 완전히 안닫히면 rpm이 상승하리라 예상됩니다
rpm이 내려갈 일은 없을것이라는 생각이고요
그리고 아이들 스위치라는건 지금 아이들링 상태다... 라는걸 ECU에 알려주기 위해 만든 스위치 입니다
당연히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 스위치가 있고 이 신호가 들어와야 아이들 제어가 시작되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따로 스위치를 만든것도 있고 TPS신호로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판단하는 방식도 사용합니다
만약 두번째의 경우 TPS 신호에 이상이 발생한경우라면
TPS 센서값이 스로틀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스로틀밸브가 어느정도 열려있는 어정쩡한 신호값을 내보내면 --> 스로틀밸브가 닫혀서 공기가 안들어감 + 아이들제어 안들어감 --> rpm 떨어짐 -->TPS값은 높은데 rpm이 낮으므로 ECU는 고부하로 인식 연료분사량 증가 라는 예상이 가능해집니다
rpm이 내려갈 일은 없을것이라는 생각이고요
그리고 아이들 스위치라는건 지금 아이들링 상태다... 라는걸 ECU에 알려주기 위해 만든 스위치 입니다
당연히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 스위치가 있고 이 신호가 들어와야 아이들 제어가 시작되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따로 스위치를 만든것도 있고 TPS신호로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판단하는 방식도 사용합니다
만약 두번째의 경우 TPS 신호에 이상이 발생한경우라면
TPS 센서값이 스로틀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스로틀밸브가 어느정도 열려있는 어정쩡한 신호값을 내보내면 --> 스로틀밸브가 닫혀서 공기가 안들어감 + 아이들제어 안들어감 --> rpm 떨어짐 -->TPS값은 높은데 rpm이 낮으므로 ECU는 고부하로 인식 연료분사량 증가 라는 예상이 가능해집니다
2007.08.13 19:48:02 (*.127.196.140)
아이들 제어로 들어가려면 우선...
아이들 스위치 신호가 제대로 들어오던가 아니면 TPS신호가 정확하게 스로틀밸브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압신호를 ECU로 보내줘야 한다는것입니다
이 조건이 안맞으면 아이들제어로 들어가지않습니다
당연히 ISC도 제대로 작동안하게 되지요
아이들 스위치 신호가 제대로 들어오던가 아니면 TPS신호가 정확하게 스로틀밸브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압신호를 ECU로 보내줘야 한다는것입니다
이 조건이 안맞으면 아이들제어로 들어가지않습니다
당연히 ISC도 제대로 작동안하게 되지요
2007.08.14 09:39:00 (*.128.167.185)

동섭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TPS 신호의 정상유무를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씀대로 분명 어떠한 이유로 인해 TPS 전압값 보다 rpm이 낮아 ECU에서 고부하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고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 아이들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만약 TPS값이 정상일 경우에는 무엇이 문제일까요?
대용량 터빈과 순정 레이아웃에 비해 극단적으로 길어진 인터쿨러 라인때문일 수도 있을까요?
TPS 신호의 정상유무를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씀대로 분명 어떠한 이유로 인해 TPS 전압값 보다 rpm이 낮아 ECU에서 고부하로 인식하여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고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 아이들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만약 TPS값이 정상일 경우에는 무엇이 문제일까요?
대용량 터빈과 순정 레이아웃에 비해 극단적으로 길어진 인터쿨러 라인때문일 수도 있을까요?
2007.08.14 11:52:56 (*.127.196.140)
에어플로우센서가 MAP센서인가요?
MAP센서라면 전압값이 높아진다는건 진공이 약해진다는 뜻이고... 밸브가 열려있거나 진공호스중 어느 부분이 새고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어떤이유로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다면 비슷한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래 스로틀 밸브를 열어서 rpm을 높였다가 갑자기 닫으면 흡입공기 흐름이 갑자기 변화해서 엔진 회전이 순간 불규칙해지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스로틀 밸브가 마지막에 천천히 닫히도록 다이어프램을 설치하던가 아니면 ISC가 열림양을 조절해서 rpm이 불규칙해지는것을 방지하는 대쉬포트기능이 있습니다
스로틀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면 TPS 신호도 닫힌신호를 주지 않을것이고 대쉬포트 기능이 없이 rpm이 떨어지기 때문에 rpm이 불완전하게 떨어지는데다 TPS값은 높고 rpm은 떨어지니까 ECU는 고부하 운전으로 인식할것이고 분사량을 늘릴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렇게 되면 MAP센서 전압까지 완전한 시나리오가 되긴한데...
rpm이 한참동안 내려가있다는건 좀 이상하네요... 보통 스로틀밸브가 약간 열린상태에서 분사량이 늘어나면 회전토크가 증가해서 빠르게 rpm이 보상될것이고 결국 아이들 rpm보다는 상승할텐데 말이죠
길어진 라인때문에 발생할수있는 문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부분은 양상규선생님께서 조언을 주셔야하는 파트인데... 제가 조언을 드리는것도 좀 아니다 싶긴 합니다만... 휴가를가셧는지...?
MAP센서라면 전압값이 높아진다는건 진공이 약해진다는 뜻이고... 밸브가 열려있거나 진공호스중 어느 부분이 새고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어떤이유로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다면 비슷한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래 스로틀 밸브를 열어서 rpm을 높였다가 갑자기 닫으면 흡입공기 흐름이 갑자기 변화해서 엔진 회전이 순간 불규칙해지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스로틀 밸브가 마지막에 천천히 닫히도록 다이어프램을 설치하던가 아니면 ISC가 열림양을 조절해서 rpm이 불규칙해지는것을 방지하는 대쉬포트기능이 있습니다
스로틀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면 TPS 신호도 닫힌신호를 주지 않을것이고 대쉬포트 기능이 없이 rpm이 떨어지기 때문에 rpm이 불완전하게 떨어지는데다 TPS값은 높고 rpm은 떨어지니까 ECU는 고부하 운전으로 인식할것이고 분사량을 늘릴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렇게 되면 MAP센서 전압까지 완전한 시나리오가 되긴한데...
rpm이 한참동안 내려가있다는건 좀 이상하네요... 보통 스로틀밸브가 약간 열린상태에서 분사량이 늘어나면 회전토크가 증가해서 빠르게 rpm이 보상될것이고 결국 아이들 rpm보다는 상승할텐데 말이죠
길어진 라인때문에 발생할수있는 문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부분은 양상규선생님께서 조언을 주셔야하는 파트인데... 제가 조언을 드리는것도 좀 아니다 싶긴 합니다만... 휴가를가셧는지...?
2007.08.14 13:55:40 (*.128.167.185)

아이고 동섭님 자꾸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맵(MAP)센서 방식은 아닙니다. 핫 와이어 방식의 순정 에어플로(Airt Flow)센서 방식으로 공기량의 측정은 전적으로 에어플로센서에 의존하는 타입니다.
레이아웃은 일반적인 터보 차량의 인터쿨러 라인과 동일한
오픈형 에어필터 - 에어플로센서 - 대용량 터빈 - 인터쿨러 배관 - 인터쿨러 - 인터쿨러 배관 / 블로우오프 밸브 - 쓰로틀 바디 - 써지탱크
이런 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전 세팅과 달라진 점은 인터쿨러 배관이 기존 라인보다 최소 5배 정도 길이가 길어진 점입니다.
맵(MAP)센서 방식은 아닙니다. 핫 와이어 방식의 순정 에어플로(Airt Flow)센서 방식으로 공기량의 측정은 전적으로 에어플로센서에 의존하는 타입니다.
레이아웃은 일반적인 터보 차량의 인터쿨러 라인과 동일한
오픈형 에어필터 - 에어플로센서 - 대용량 터빈 - 인터쿨러 배관 - 인터쿨러 - 인터쿨러 배관 / 블로우오프 밸브 - 쓰로틀 바디 - 써지탱크
이런 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전 세팅과 달라진 점은 인터쿨러 배관이 기존 라인보다 최소 5배 정도 길이가 길어진 점입니다.
2007.08.14 14:13:14 (*.127.196.140)
음... 핫와이어 방식이군요... 어차피 핫와이어도 공기량에 비례해서 전압이 높아지니까...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같은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겠다고 생각됩니다 ^^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같은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겠다고 생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