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이번에 중고 휠을 하나 구매했는데
15mm 휠스페이서(볼트체결식)도 같이 받아왔습니다.
차량은 투스카니인데 휠 자체의 옵셋은 순정과 거의 다를 바 없는 상태입니다
(전륜 7j +45, 후륜 8j +45)
첨엔 휠 스페이서는 생각도 않고 있었는데
같이 받은거라 장착해 볼까? 라는 생각으로 검색을 해 봤는데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더군요.
문제는 트레드가 넓어짐에 따라 오는 스트레스 때문인 것 같은데
또 갸우뚱하게 만드는 것은 휠스페이서는 그렇다면서
휠스페이서 끼우려면 차라리 옵셋 좋은 것으로 해라. 라는 답변 글들입니다.
어차피 휠스페이서 끼우나 옵셋 좋은 놈으로 하나 트레드가 변하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왜 그런 것인지 궁금하더군요.
그리고 휠스페이서를 끼우려면 전륜은 하지말라고
하던데 특별히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15mm 휠스페이서(볼트체결식)도 같이 받아왔습니다.
차량은 투스카니인데 휠 자체의 옵셋은 순정과 거의 다를 바 없는 상태입니다
(전륜 7j +45, 후륜 8j +45)
첨엔 휠 스페이서는 생각도 않고 있었는데
같이 받은거라 장착해 볼까? 라는 생각으로 검색을 해 봤는데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더군요.
문제는 트레드가 넓어짐에 따라 오는 스트레스 때문인 것 같은데
또 갸우뚱하게 만드는 것은 휠스페이서는 그렇다면서
휠스페이서 끼우려면 차라리 옵셋 좋은 것으로 해라. 라는 답변 글들입니다.
어차피 휠스페이서 끼우나 옵셋 좋은 놈으로 하나 트레드가 변하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왜 그런 것인지 궁금하더군요.
그리고 휠스페이서를 끼우려면 전륜은 하지말라고
하던데 특별히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2008.06.02 20:12:49 (*.100.185.176)

5~10mm정도면 몰라도 15mm 이상은 아무래도 4P캘리퍼나 +옵셋 휠셋팅시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장착에 큰의미가 없네요...다만 좀 타이트해진 휠하우스와 타이어의 차이가 있겠네요
2008.06.02 22:31:49 (*.60.104.12)

스페이서에 대해 저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봅니다...저또한 스페이서를 이용하고 있으며
수십대의 차량에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오지만 정확히 장착하고 제품이 잘 깍여있다면
그리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경기용차량들도 대부분 스페이서 많이 사용하고 있고요.....선택은 결국 오너가 직접....
수십대의 차량에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오지만 정확히 장착하고 제품이 잘 깍여있다면
그리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경기용차량들도 대부분 스페이서 많이 사용하고 있고요.....선택은 결국 오너가 직접....
2008.06.03 01:05:59 (*.214.96.64)

그게요 예전 저질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이야기들입니다
재질이 문제입니다
물론 가공 공차도 문제이지만요...핸들 떨림을 호소 하시는 경우는 대부분입니다
좋은 (믿을만한) 제품은 선동님 처럼 저도 긍정적으로 봅니다
재질이 문제입니다
물론 가공 공차도 문제이지만요...핸들 떨림을 호소 하시는 경우는 대부분입니다
좋은 (믿을만한) 제품은 선동님 처럼 저도 긍정적으로 봅니다
2008.06.03 02:08:30 (*.229.103.85)

과도하게 두꺼운 휠스페이서를 전륜(구동륜)에 비관적으로 보는건, 구동축허브 돌출부에 휠허브가 암수로 꽉 맞지않을때, 휠볼트만으로 구동력과 회전및 운동저항을 감당함으로 탈거될 위험이 있기때문입니다. 트레드가 넓어지는건 롤억제력이 좋아져 크게 문제될게 없습니다. 그러나..윗분들 얘기처럼, 휠볼트 체결시 정확한 토크로 조여주는데 신경쓰고, 정밀한 제품을 썼을때, 별 문제가 없습니다.
2008.06.03 12:01:43 (*.107.37.191)
답변들 감사합니다.
어제 오늘 이곳 저곳 찾아본다고 했는데
솔직히 아직도 헷갈리기는 합니다^^;
결론은 오너가 직접 선택해야 하겠죠^^;;
어제 오늘 이곳 저곳 찾아본다고 했는데
솔직히 아직도 헷갈리기는 합니다^^;
결론은 오너가 직접 선택해야 하겠죠^^;;
2008.06.03 17:48:15 (*.143.205.69)

제대로된 스페이서+ 롱볼트의 조합이면 별로 문제될건 없다는 1인입니다.
다만 그렇게 쎄팅 하시려는 목적이 명확하다면야 ^^;;
분명 얻는부분과 잃는 부분이 있을테니 말이죠...,
다만 그렇게 쎄팅 하시려는 목적이 명확하다면야 ^^;;
분명 얻는부분과 잃는 부분이 있을테니 말이죠...,
2008.06.04 02:09:46 (*.123.208.83)

그리고 스페이서 장착하실때는 토크값도 조심하라고 배워서 탈착에 주의하실필요가 있습니다. 헐겁게 조이면 이익렬님 말씀데로 바퀴가 탈거될 위험이 있지만 너무 강하게 조이면 스페이서의 손상으로 이어져 또다른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습니다. 휠자체의 옵셋으로 스페이서 없이 결합하는 경우는 이런 걱정이 없으니 낫다고들 하는 것 같네요.
2008.06.04 10:11:47 (*.107.37.191)
여러 글들을 참고하고 조언해 주신 것들 종합해 본 결과
일단은 스페이서 없이 장착해 보려 합니다.
그러다가 문득 든 생각인데 어차피 타이어 사이즈는 전부 215-45-17로
할 예정이라 림폭이 넓은 후륜 휠을 앞에다가 장착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일단은 스페이서 없이 장착해 보려 합니다.
그러다가 문득 든 생각인데 어차피 타이어 사이즈는 전부 215-45-17로
할 예정이라 림폭이 넓은 후륜 휠을 앞에다가 장착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2008.06.04 12:46:10 (*.236.112.149)

저희 집근처 샵에 700마력대 아반떼 드랙 차량 있는데요..
전륜에 15mm 쓰던데^^;
장착이 중요하다고 하더군요^^;
전륜에 15mm 쓰던데^^;
장착이 중요하다고 하더군요^^;
2008.06.04 16:18:29 (*.143.173.130)

휠스페이서에서는 근본적으로 일반 알루미늄 (인발 소재)이 아닌 단조소재를 써야합니다.
인발된 제품은 조직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쪼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조 소재를 가공한 제품은 제품 케이스에 단조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이상은 일본 휠 스페이서 공장 담당자로부터 들은 얘기였습니다.
인발된 제품은 조직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쪼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조 소재를 가공한 제품은 제품 케이스에 단조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이상은 일본 휠 스페이서 공장 담당자로부터 들은 얘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