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갑자기 이상한 증상이 생겨서 여러분들께 문의드립니다.
일단 엔진은 뉴베타 2.0 Non VVT 수동입니다.
증상1.공회전 시 RPM 4~5000까지 올렸다가 악셀오프하면 1300rpm~1400rpm정도에서
1~2초 가량 멈추었다가 정상 rpm으로 내려옵니다.
증상2. 주행 중 기어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밟으면 rpm이 2000~2,500에서 안떨어지고
계속 유지됩니다. 브레이크를 밟아주면 다시 내려갑니다.
진단:1차적으로 스로틀바디 청소 후 ECU리셋.....미해결
2차적으로 ISC밸브 청소 후 ECU리셋......미해결
ISC밸브 신품으로 테스트 삼아 잠깐 끼워 봤는데도 안됨.....
마지막으로 스로틀바디 서지탱크에서 분리하여 청소 후 재 장착....
그런데도 미해결입니다.T_T
도와주세요~~~~
참고로 차는 예전과 같이 자알~ 나갑니다.T_T
어제부터 갑자기 이상한 증상이 생겨서 여러분들께 문의드립니다.
일단 엔진은 뉴베타 2.0 Non VVT 수동입니다.
증상1.공회전 시 RPM 4~5000까지 올렸다가 악셀오프하면 1300rpm~1400rpm정도에서
1~2초 가량 멈추었다가 정상 rpm으로 내려옵니다.
증상2. 주행 중 기어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밟으면 rpm이 2000~2,500에서 안떨어지고
계속 유지됩니다. 브레이크를 밟아주면 다시 내려갑니다.
진단:1차적으로 스로틀바디 청소 후 ECU리셋.....미해결
2차적으로 ISC밸브 청소 후 ECU리셋......미해결
ISC밸브 신품으로 테스트 삼아 잠깐 끼워 봤는데도 안됨.....
마지막으로 스로틀바디 서지탱크에서 분리하여 청소 후 재 장착....
그런데도 미해결입니다.T_T
도와주세요~~~~
참고로 차는 예전과 같이 자알~ 나갑니다.T_T
2008.06.17 12:25:44 (*.39.111.51)

세원님 아까 통화할때는 클러치 밟는 부분은 설명이 안됐네요...,
tps 문제 맞는것 같습니다. 폐차장 뒤져서 구형 아반떼 초창기에
나온 tps 가 보쉬겁니다. 그거 찾아서 장착하세요
신품 케피코 보다 폐차장 출신 보쉬 tps 가 여러모로 더 좋습니다 ㅠ.ㅠ
tps 문제 맞는것 같습니다. 폐차장 뒤져서 구형 아반떼 초창기에
나온 tps 가 보쉬겁니다. 그거 찾아서 장착하세요
신품 케피코 보다 폐차장 출신 보쉬 tps 가 여러모로 더 좋습니다 ㅠ.ㅠ
2008.06.17 12:51:15 (*.60.2.25)

비슷한 경험을 해 본 적 있어서, 속으로 스로틀포지션센서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상규님께서 답 주셨네요. ^^
2008.06.17 13:15:53 (*.227.65.28)

케피코 tps만큼 소모적인 소모품도 없을 겁니다..^^
참고로 위 증상은... ecu매핑 차량에 유난히 많이 발생합니다.
tps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맵핑를 할 경우 아이들관련으로 데이터값을 조금 바꿔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tps바꾸고, 배터리 리셋이나 한번 하시죠 세원님? .. ^^^
참고로 위 증상은... ecu매핑 차량에 유난히 많이 발생합니다.
tps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맵핑를 할 경우 아이들관련으로 데이터값을 조금 바꿔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tps바꾸고, 배터리 리셋이나 한번 하시죠 세원님? .. ^^^
2008.06.17 14:52:54 (*.221.14.6)
TPS가 아니었습니다.T_T
방금 신품으로 구입 후 장착했는데.....마찬가지....
건호님 참고로 ECU는 순정입니다.T_T
차정민님-ISC는 교체하지 않았는데.......혹시 요녀석이 나가도 진단기에서
표시를 하지 않나요? 일단 진단기상으로는 정상이었습니다.T_T
너무나 어렵습니당.....
방금 신품으로 구입 후 장착했는데.....마찬가지....
건호님 참고로 ECU는 순정입니다.T_T
차정민님-ISC는 교체하지 않았는데.......혹시 요녀석이 나가도 진단기에서
표시를 하지 않나요? 일단 진단기상으로는 정상이었습니다.T_T
너무나 어렵습니당.....
2008.06.17 15:28:36 (*.179.171.123)

다른차에 비슷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흡기관쪽에 크랙이 발견되어서 수리했었고..(이걸로 해결 된거 같진 않습니다)
솔직히 수리업체쪽에서도 잘 모르는 일같았는데.
기억상 maf센서 교체와 연료에주입하는 인젝터 크리너로 해결봤었습니다
저도 확실하게 딱 이거다 싶어서 잡지는 못했고
위에 방법으로 소 뒷걸음질 치다 뭐 밟은 격으로 해결본 것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다 고치시거든
무슨문제였나 정보 공유도 좀 해주심이..-_-;;
외려 하나 떠 연가드리는 답변같아 죄송합니다
흡기관쪽에 크랙이 발견되어서 수리했었고..(이걸로 해결 된거 같진 않습니다)
솔직히 수리업체쪽에서도 잘 모르는 일같았는데.
기억상 maf센서 교체와 연료에주입하는 인젝터 크리너로 해결봤었습니다
저도 확실하게 딱 이거다 싶어서 잡지는 못했고
위에 방법으로 소 뒷걸음질 치다 뭐 밟은 격으로 해결본 것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다 고치시거든
무슨문제였나 정보 공유도 좀 해주심이..-_-;;
외려 하나 떠 연가드리는 답변같아 죄송합니다
2008.06.17 15:35:30 (*.183.139.52)

제 이전 라세티가 똑같은 증상을 겪었는데 스로틀바디와 각종 센서류를 모두 올 교체한 후에야 그 증상을 잡았습니다.-_- 사업소에서 엔진배선까지 의심했었다는.. 쿨럭.. ㅡㅡ;
2008.06.17 16:05:20 (*.20.192.245)

보통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진공이 새면 rpm이 뜨는 현상이 생기는데요, 그런 경우는 공회전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아닌 것 같습니다. 액셀 케이블이 좀 뻑뻑하여 실제로 가속 페달을 놨는데도 쓰로틀이 걸려서 열려있는 경우도 비슷한 증상이 있습니다만, 클러치만 밟아도 생기므로 역시 아닐 수도 있겠구요. -_- 어렵네요. 혹시 습식 에어필터 쓰신 적 있으면 MAF 센서 청소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조금이나마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2008.06.17 17:15:39 (*.20.192.245)

어렵지 않으므로 추가로 액셀 페달 움직임하고 케이블 유격, 각종 동작 부위 윤활상태 확인해 보세요. 제가 이런저런 정비를 했던 어코드의 경우는 확실히 페달이 잘 안움직여서 rpm 상승 현상이 있었습니다. 물론 연식이 꽤 있었던 차라 세원님차에는 해당이 안될것 같습니다만. ^^
2008.06.17 17:29:01 (*.233.214.76)

ISC 값이. 변화가 있던가요.. 악셀 온 오프나 악셀 개도량에 따라서..언뜻 생각나는게 진공관에서.. 진공이 새거나.. 아니면. TPS 교환후 보정이 제대로 안됬거나..;;
2008.06.17 19:48:16 (*.113.214.245)

일단 제 차랑 증상이 비슷하네요... ^^;
제차도 뉴베타 논 vvt 수동입니다...구형 아반떼 16비트 ecu데이터 맵이 되있습니다..
예전에 저도 위의 증상땜에 여기저기 알아본적이 있는데..
결론은 ecu였습니다.. 데이터가 망가지거나 회로상의 문제가아닌
현대에서 엔진 보호의 의미로 이렇게 세팅되어 있다고...
모샵에 문의를 했더니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저도 모든 진공라인과 흡기매니폴드 가스켓등 흡기와 관련되 모든 곳을 체크해봤지만
이상이 있는 부분은 없었습니다..
센서도 역시 각자의 센서값을 잘 출력해주고 있었고
물론 차의 주행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지요..
다만 8비트의 ecu를 꼿으면 위의 증상이 없어졌습니다..
16비트를 연결하면 위의 증상이 있구요...
제차도 뉴베타 논 vvt 수동입니다...구형 아반떼 16비트 ecu데이터 맵이 되있습니다..
예전에 저도 위의 증상땜에 여기저기 알아본적이 있는데..
결론은 ecu였습니다.. 데이터가 망가지거나 회로상의 문제가아닌
현대에서 엔진 보호의 의미로 이렇게 세팅되어 있다고...
모샵에 문의를 했더니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저도 모든 진공라인과 흡기매니폴드 가스켓등 흡기와 관련되 모든 곳을 체크해봤지만
이상이 있는 부분은 없었습니다..
센서도 역시 각자의 센서값을 잘 출력해주고 있었고
물론 차의 주행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지요..
다만 8비트의 ecu를 꼿으면 위의 증상이 없어졌습니다..
16비트를 연결하면 위의 증상이 있구요...
2008.06.17 19:57:23 (*.113.214.245)

지금은 그냥 그런가 보다 하며 타고 있습니다.. ^^;
참고로 ISC(ISA), 진공쪽이 안좋거나 미세하게 샌다면 아이들에서 약간의 부조가 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시에 급가속이나 가속할시에도 좀 이상해지구요
도둑공기가 있는것과 마찬가지이지요.. ISC는 약간 틀립니다..(아이들 위주 제어)
글고 TPS는 악셀의 개도량의 판단해 ECU로 보내주는 센서입니다..
이게 상태가 메롱이면 나는 풀악셀인데 ECU는 "너 뭐하니?" 합니다..
고로 가속이 힘들어 진다거나 악셀 리스폰스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MAP(MAF)는 대기압 센서입니다...
이상 어줍잖은 회원이 아는대로 조금 써봤습니다.. ^^
혹시 틀린 내용이 있으면 사정없이 고쳐주세요....
참고로 ISC(ISA), 진공쪽이 안좋거나 미세하게 샌다면 아이들에서 약간의 부조가 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시에 급가속이나 가속할시에도 좀 이상해지구요
도둑공기가 있는것과 마찬가지이지요.. ISC는 약간 틀립니다..(아이들 위주 제어)
글고 TPS는 악셀의 개도량의 판단해 ECU로 보내주는 센서입니다..
이게 상태가 메롱이면 나는 풀악셀인데 ECU는 "너 뭐하니?" 합니다..
고로 가속이 힘들어 진다거나 악셀 리스폰스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MAP(MAF)는 대기압 센서입니다...
이상 어줍잖은 회원이 아는대로 조금 써봤습니다.. ^^
혹시 틀린 내용이 있으면 사정없이 고쳐주세요....
2008.06.17 21:26:05 (*.219.205.231)
전종헌님 - 답변 감사드립니다^^ 리스폰스 및 가속성은 안타깝게도(?)
좋습니다.
이경석님 - 저도 케이블을 의심했었으나 스로틀바디에서 직접 손으로 강제로
여닫아봐도 마찬가지였습니다.T_T
좋습니다.
이경석님 - 저도 케이블을 의심했었으나 스로틀바디에서 직접 손으로 강제로
여닫아봐도 마찬가지였습니다.T_T
2008.06.17 23:07:19 (*.120.254.242)

가끔씩 멀쩡한 ECU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았지만 과연 그럴
가능성이? 아깐 자다가 전화를 받은데다 경우의 수가 워낙 많아서 잘
모르겠다고 대답은 했지만.. TPS 및 진공라인은 체크해 보신듯 하니
이젠 각 센서의 커넥터간 접촉상태 및 전압체크를 해보세염...
그래도 안되면 주말에 ECU 체크를 해보도록 하죠..
굴러다니는 SAM2000 ECU 가 하나 있으니 XD2.0 데이터를 넣어서
ECU를 바꿔봐도 되구요.. 아래 리플을 보니 2번 증상은 잡힌듯
한데 1번은... 음.. 스로틀OFF 시 시동꺼짐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
구간 진입시 잡아주는 경우는 있는데 맵핑된 차의 경우는 아이들 점
화시기등을 손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재 노멀 데이터
이니 해당사항은 없는 것 같구요...
배선쪽 문제로 부하신호가 들어가는게 아닌지도 봐야 할듯 하구...
역시 경우의 수가 무궁무진 하네요...
역시 직접 보구 주물러 봐야?
그동안 혹시 도둑공기 안들어가는지 잘 체크해 보세요...
체크 방법은 카브레터 청소제를 진공라인 근처 여기저기 칙~칙~
뿌려보면 됩니다.. 만일 구멍이 나서 도둑공기가 유입되는 지점이
있다면 약제가 들어가면서 아이들에 변화가 생기겠죠?
가능성이? 아깐 자다가 전화를 받은데다 경우의 수가 워낙 많아서 잘
모르겠다고 대답은 했지만.. TPS 및 진공라인은 체크해 보신듯 하니
이젠 각 센서의 커넥터간 접촉상태 및 전압체크를 해보세염...
그래도 안되면 주말에 ECU 체크를 해보도록 하죠..
굴러다니는 SAM2000 ECU 가 하나 있으니 XD2.0 데이터를 넣어서
ECU를 바꿔봐도 되구요.. 아래 리플을 보니 2번 증상은 잡힌듯
한데 1번은... 음.. 스로틀OFF 시 시동꺼짐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
구간 진입시 잡아주는 경우는 있는데 맵핑된 차의 경우는 아이들 점
화시기등을 손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재 노멀 데이터
이니 해당사항은 없는 것 같구요...
배선쪽 문제로 부하신호가 들어가는게 아닌지도 봐야 할듯 하구...
역시 경우의 수가 무궁무진 하네요...
역시 직접 보구 주물러 봐야?
그동안 혹시 도둑공기 안들어가는지 잘 체크해 보세요...
체크 방법은 카브레터 청소제를 진공라인 근처 여기저기 칙~칙~
뿌려보면 됩니다.. 만일 구멍이 나서 도둑공기가 유입되는 지점이
있다면 약제가 들어가면서 아이들에 변화가 생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