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아세토코르사를 집에서 즐기고 있습니다만..
FR 은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 알겠는대
AWD 의 운전방식은 도통 모르겠네요.
TCS를 끄고 달릴시 코너에 진입후 악셀을 놔버리면
바로 오버스티어로 돌아버려 코너에서 튕겨 나갑니다..
또 RR 구동 방식은 이미 코너 진입전에 브레이킹 할때
차가 돌아 버리고요
AWD 와 RR 구동방식의 운전은 FR구동 방식과
다른것인지 또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FR 은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 알겠는대
AWD 의 운전방식은 도통 모르겠네요.
TCS를 끄고 달릴시 코너에 진입후 악셀을 놔버리면
바로 오버스티어로 돌아버려 코너에서 튕겨 나갑니다..
또 RR 구동 방식은 이미 코너 진입전에 브레이킹 할때
차가 돌아 버리고요
AWD 와 RR 구동방식의 운전은 FR구동 방식과
다른것인지 또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016.04.11 14:17:29 (*.142.239.104)

아세토코르사는 타이어 물리엔진이 많이 과장된 느낌입니다. 레이싱시뮬의 최대 단점은 비슷한 차량에 같은 타이어를 선택해도 각 차량별로 너무나 다르게 과장된 움직임이 나온다는 것입니다.(실제차는 출력, 구동방식, 중량, 기타 파워트레인 부속 및 하체부속 구성 및 배치가 유사한 차량은 제조사가 달라도 비슷한 성향을 보이죠)
물론 게임의 특성상 각 차량의 차이를 나타내야 하고 유저가 느끼게 하려면 과장된 표현은 어쩔수 없단 생각입니다.
브레이킹 할때 차가 도는건 게임에서 정해진 하중 이동량 값 이상의 과한 브레이킹과 미세하게 조타가 틀어지게 들어갔기에 그런거구요. 많이 연습하시는거 밖에 정답은 없을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론 4륜구동차는 거동이 급격하지 않고 트랙션이 우수하기에 탈출가속을 극대화 하는 운전이 빠르며
RR은 기본구조상 조향바퀴에 하중이 덜 실려서 초기 조향성이 떨어지기에 진입시 트레일 브레이킹 및 yaw를 적극적으로 만드는 주행을 해야 빠릅니다.(발터뢸의 포르쉐 뉘르 주행영상을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물론 게임의 특성상 각 차량의 차이를 나타내야 하고 유저가 느끼게 하려면 과장된 표현은 어쩔수 없단 생각입니다.
브레이킹 할때 차가 도는건 게임에서 정해진 하중 이동량 값 이상의 과한 브레이킹과 미세하게 조타가 틀어지게 들어갔기에 그런거구요. 많이 연습하시는거 밖에 정답은 없을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론 4륜구동차는 거동이 급격하지 않고 트랙션이 우수하기에 탈출가속을 극대화 하는 운전이 빠르며
RR은 기본구조상 조향바퀴에 하중이 덜 실려서 초기 조향성이 떨어지기에 진입시 트레일 브레이킹 및 yaw를 적극적으로 만드는 주행을 해야 빠릅니다.(발터뢸의 포르쉐 뉘르 주행영상을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2016.04.11 14:50:23 (*.237.127.70)
저도 아세토가 좀 과장된 느낌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이게 어떻게 보면 과장되지만 좋은 손맛으로 연결되는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전 프로젝트 카스와 번갈아 가면서 합니다.
그래도 이게 어떻게 보면 과장되지만 좋은 손맛으로 연결되는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전 프로젝트 카스와 번갈아 가면서 합니다.
2016.04.11 20:05:46 (*.156.212.239)
아세토.코르사.다른차량은 모르겠으나 재차 포르쉐랑 비교했을때 영암 서킷에서 전자제어.모두 off로 상당히 흡사한 모션 보여줍니다.. 연습하면서 큰도움늘 받았습니다 그냥 과장 이렇게.치부하기엔.... 만약에 아세토에서 구형 에로우버드 완벽하게 모신다면 아마두 실지 997이하 전자제어 off 큰도움을 받으실겁니다..
저는 게임을 즐길때 슬로인 패스트 아웃을 기본으로 합니다. 저속으로 코너 진입후 탈출할때 엑셀타이밍을 최대한 빠르게 잡습니다.
이니셜디봣나...여튼 엑셀로 코너를 돌아 나간다 라는 말을 어디서 줏어 듣고 카트에서도 써먹어보고 했는데 게임속 awd 에서도 어느정도 통하더군요.
하지만 전 테크닉부족이라 200마력대 동사양 전-후륜 주행시 전륜 기록이 훨씬 나은 관계로 전륜을 선호합니다ㅎㅎ LSD세팅된 전륜은 후륜못지않게 코너를 공략하는 재미가 있어요. 타이어는 빨리 마모되지만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