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항속이라면 그립이 좋을수록 연비가 나빠질꺼라는 이론은 이해를 했습니다만
만약 가속 상황에서는 하이그립이 아랫급보다 저항이 더 걸리는 상황일까요? 아님 그립이 좋아
가속에 유리한걸까요?(단순 직진 상황이며 드레그 형식이 아닌 주행중 가속이라 가정)
드레그나 서킷 와인딩같은 극강의 그립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배제하고
이해 쉽게 예를 들자면 공도에서 젠쿱3.8 이 시속 100km 주행중에 급가속을 한다 가정 한다면
1)Le 스포츠 2)미쉐린 pss 3)마제스티
만약 젠쿱이 위 상황에서 직진 급가속을 한다면 1-2-3 번중 어떤 타이어를 꼈을경우
가속력이 가장 좋을까요? 휠타이어는 동일 사이즈 차량 올 순정
***다시한번 강조 하지만 드레그가 아닌 상황이며 횡G도 필요없는 직빨에서의 경우 입니다***
2018.08.18 22:11:01 (*.195.197.190)

이론상으로는 저그립이 저항이 덜하니 가속에 유리하긴 할텐데
실제 상황에서는 저그립일때는 가속시 뒤가 털리는(?)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니 그립 좋은 타이어를 쓰지 않을까요?
출력에 맞춰 쓰는게 무엇보다 중요할 듯 합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저그립일때는 가속시 뒤가 털리는(?)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니 그립 좋은 타이어를 쓰지 않을까요?
출력에 맞춰 쓰는게 무엇보다 중요할 듯 합니다.
2018.08.18 23:16:57 (*.168.84.49)
뭐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300마리쯤 되는 차져차에 le스포츠가 껴져있는데 3단에서 급하게 풀가속시 땅 파는 경우가 좀 있습니다.
평상시엔 모든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주행하기에 크게 불편하진 않습니다만 제동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어느정도 수준의 마력 이상이면 적당한 고그립타이어가 필요하지않나 싶슴더..
평상시엔 모든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주행하기에 크게 불편하진 않습니다만 제동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어느정도 수준의 마력 이상이면 적당한 고그립타이어가 필요하지않나 싶슴더..
2018.08.19 09:17:02 (*.223.49.25)
굳이 드래그가 아니더라도 가속상황에서는 그립이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100키로 수준의 재가속은 에어로다이나믹이나 휠/타이어 회전관성 등의 요인보다는 그래도 타이어 그립의 영향 하에 있지 않을까요
100키로 수준의 재가속은 에어로다이나믹이나 휠/타이어 회전관성 등의 요인보다는 그래도 타이어 그립의 영향 하에 있지 않을까요
ps4s(구pss) 이거나
경제성을 고려해서 ps4 또는 말씀하진 le스포츠 ,s1 evo2등으로 사용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